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 박상현
  • 조회 수 3435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0년 5월 31일 05시 29분 등록

1. 저자 소개

 

이순신(李舜臣, 1545-1598). 자는 여해(汝諧), 시호는 충무(忠武)

 

충무공이 태어나기 전 조선은 4대 사화로 인해 사회가 매우 혼란스러웠다. 충무공의 할아버지인 이백록은 기묘사화 때 누명을 쓰고 혹독한 고초를 당하고 세상을 떠났다. 이에 충무공의 아버지 이정은 관직에 대한 생각을 일체 버리고 독서에 매진하는 가난한 선비로 살았다. 그는 중국의 어진 임금들인 복희씨, 요임금, 순임금, 우임금의 이름을 따서 네 형제의 이름을 지었다. 이순신이 태어난 한성부 건천동은 사대부들이 주로 사는 동네로 든든한 후원자역할을 한 서애 유성룡은 그의 죽마고우였다. 가세가 기울면서 이순신은 처가가 있는 충남 아산으로 이사하게 되는데 들과 산을 뛰놀며 전쟁놀이를 즐기던 기억이 훗날 그가 무인의 길에 들어서게 된 계기가 된다.

 

그는 32살의 늦은 나이에 무과에 급제한데다가 인맥과 지연에 초연한 태도 때문에 변변한 관직을 얻지 못하고 떠돌다가 37살에 발포의 수군 만호로 발령받아 수군과 인연을 맺게 된다. 사십 세에 함경도 녹둔도에서 여진족을 경계하는 둔전관으로 부임한다. 여진족의 침입 기미를 알아챈 이순신은 북병사 이일에게 증병을 요청했으나 묵살되고 훗날 이일은 자신의 책임을 면피하고자 누명을 씌워 이순신은 마흔 세 살에 백의종군하는 고초를 겪는다. 스스로 공을 세워 관직에 복직한 이순신은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일년 전에 진도군수, 가리포첨사를 거쳐 전라수군절도사에 오른다. 전쟁의 기미를 재빨리 포착한 그는 거북선 제작 등 전쟁 준비에 착실히 힘써 연전연패하던 육군과는 대조적으로 옥포해전을 시작으로 왜군과의 해전에서 전승을 거두어 조명연합군에게 반격할 여유를 주고 전라도를 왜군으로부터 지켜내는데 혁혁한 전과를 올린다. 그가 이끄는 수군이 아니었다면 명나라의 개입에도 불구하고 조선의 운명은 훨씬 암울했을 것이다. 여러 전투 중에서도 임진년 7월 남해의 제해권을 완전히 장악하게 된 한산도대첩은 군율의 행주대첩, 김시민의 진주성대첩과 함께 임진왜란의 3대첩으로 불린다.

 

1597년 왜군의 간교와 경상우수사 원균의 모함으로 공직을 박탈당하고 서울로 압송되었다가 간신히 풀려난다. 백의종군하는 아들을 만나러 오던 어머니를, 10월에는 왜군의 손에 막내아들 면을 차례로 잃는다. 그가 백의종군하는 동안 부산 정벌에 나선 조선 수군은 칠천량에서 전멸을 당하고, 원균 또한 왜병에게 살해당한다. 다급해진 선조는 지휘할 배와 병력이 거의 남지 않은 삼도수군통제사에 이순신을 재임명한다. 간신히 구한 12척의 배와 120명의 군사로 133척의 왜선을 물리친 명량해전은 왜군의 수륙병진을 차단한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598 8, 적의 마지막 숨통을 끊기 위해 양쪽을 합쳐 1,000여대가 넘는 배가 맞부딪친 노량 전투에서 적탄에 맞은 충무공은 나의 죽음을 적에게 알리지 말라.”는 말을 남기고 54세의 생애를 마친다.

 

충무공 이순신은 국내는 물론 임진왜란의 가해자인 일본 내에서 특히 영웅으로 각광받고 있다. 서양사회에서도 이순신은 탁월한 지휘통솔력과 정확한 전략판단 면에서 트라팔가 해전의 영웅 영국의 넬슨 제독에 비견되고, 인격적인 면과 기계 발명에 있어서는 넬슨을 압도하는 인물로 평가받고 있다.

 

2. 내 마음을 무찔러드는 글귀

 

역자 서문

충무공은 임진왜란에 미리 대비하여 그 전년(1591)부터 거북선 제조에 착수하고 군대를 정비하였다. 수군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해상과 육지전을 모두 염두해야 한다며 전쟁 대비에 만전을 기한 결과, 왜란(1592) 발생 후 옥포해전을 비롯한 당포ㆍ한산도ㆍ명량 등의 여러 해전을 지휘하여 승리할 수 있었다. 전쟁에 대한 신속 정확한 대비와 파악으로 작전하는 모습에서 충무공의 철저한 유비무환의 정신을 엿볼 수 있다. 6

 

『난중일기』란 바로 그 당시에 충무공이 전쟁을 몸소 체험하며 기록한 진중(陳中) 일기다. 임진년(1592) 11일부터 무술년(1598) 1117일까지 7년 동안 부득이 출전한 날은 쓰지 못한 경우도 있지만 날짜마다 간지 및 날씨를 빠트리지 않고 틈나는 대로 적었다. 일기 내용에 그의 전반적인 활약상이 담겨 있는데, 가족과 관계된 일은 물론 상관과 장수 및 부하들 간의 갈등 문제를 비롯하여, 당시의 정치, 경제, 사회, 군사 등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다루어져 있다. 또한 전쟁을 수행하며 느낀 심중의 변화가 구체적으로 잘 드러나 있는데, 무능한 조정에 대한 탄식과 전쟁에 시달리는 민중에 대한 사랑, 그리고 국난 극복에 대한 강원 염원 등을 서슴없이 드러내었다. 6

 

충무공이란 무관 출신의 장수로서 이러한 일기를 남길 수 있었던 것은 어려서부터 유학을 배워 문인적 기질도 뛰어났기 때문이다. 6

 

조선 정조 19(1795)에 이 초고본을 정자로 해독하여 『이충무공전서』 『난중일기』(전서본)가 나왔지만, 그 원문에 상당한 누락과 오독이 있게 되었다. 그후 1935년 조선사편수회에서 이를 다시 해독하여 『난중일기초』가 나왔는데, 이는 전서본보다 진전된 작업이었으나 해독상의 문제점이 완전히 해결되지는 못했다. 7

 

2007년에 『충무공유사』를 해독하여 『난중일기』 초록 내용이 들어 있는 일기초(日記抄)에서 새로운 일기 32일치를 찾아내었고, 이 내용으로 초고본 및 전서본과 『난중일기초』의 문제점을 상당수 해결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7

 

해제

그 후 조정은 일본의 움직임을 근심하여 변방을 철저히 대비하기 위해 비변사에 장수가 될 만한 인재를 추천하라고 명하였다. 그때 성룡이 정읍 현감으로 있던 이순신(李舜臣)을 담력과 지략이 있고 말타기와 활쏘기를 잘한다고 천거하여 전라좌도수사(全羅左道水使)에 임명하게 되었다. 10

 

이순신은 전라좌수영(全羅左水營, 지금의 여수)에 부임하여 왜적의 내침에 대비하여 무기를 정비하고 거북선 제조에 착수, 왜구를 막기 위해 수군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해상과 육지전을 모두 대비해야 한다고 조정에 보고하였다. 이듬해 임진년(1592) 327일에는 새로 만든 거북선에서 대포를 쏘는 시험도 하였다. 드디어 413일에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왜군은 20여 만 명을 동원하여 배로 대마도로부터 온 바다를 뒤덮고 몰려오는데 이를 바라보아도 끝이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10

 

그처럼 성실하고 면밀하게 작성된 일기에는 특이한 점도 발견된다. 예로 전쟁은 임진년 413일에 일어났지만 전서본 『난중일기』에는 11일자부터 적혀 있다. 이러한 사실은 이순신이 왜군의 침입에 대비하여 전년에 귀선을 만들고 군대를 정비한 것처럼 일기도 전쟁에 대비하여 기록한 것임을 알게 해 준다. 오극성의 『문월당유고』 권2, 「임진일기」 상편을 보면, “왜군의 내침 징후가 보이기 시작하여 이미 백성들의 움직임에서 실제 확인되었다.”라고 하였다. 11

 

이러한 이순신에 대한 후대의 평가는 각 시대마다 끊이지 않았다. 그것은 한 역사적인 인물이 임진왜란사에 오랫동안 자리매김한 결과이다. 이제 이순신에 대한 이해는 곧 임진왜란에 대한 이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또한 후대인들이 일기 문학 작품 중에서 특히 「난중일기」를 대표작으로 손꼽는 이유는 결코 임진왜란연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이순신의 유일한 저작이라는 사실에 더해 작자 자신이 7년 동안 전쟁을 직접 체험하며 남긴 사실 기록이라는 점을 더욱 중요하게 인식하기 때문이다. 12

 

친필 초고본 『난중일기』

원래는 연도별 「임진일기」, 「계사일기」, 「갑오일기」, 「을미일기」, 「병신일기」, 「정유일기」, 「무술일기」란 이름으로 각각 분책되어 있다. , 「을미일기」는 초고본이 전하지 않고 전서본이 있으며,

『충무공유사(忠武公遺事)』는 일기초에 일부 초록된 내용이 있다. 12

 

초고본은 전편이 초서로 적성되어 있어 알아보기가 쉽지 않다. 이순신이 평소에 주로 사용한 서체이긴 하지만, 이 일기에는 긴박한 상황에서 심하게 흘려 적은 글씨들과 삭제와 수정을 반복한 흔적이 자주 보인다. 13

 

아래의 표를 보면 큰 전쟁이 일어난 해에는 누락이 심한 반면, 큰 전재이 없었던 해는 비교적 일정하게 이어져 있다. 「임진ㆍ계사 ㆍ정유일기」가 전자에 속하고 「갑오 ㆍ병신일기」가 후자에 속하는데, 「갑오 ㆍ병신일기」의 초고상태는 전자의 일기들보다 훼손이 훨씬 적다. 「을미일기」는 큰 전쟁이 없었던 해에 작성한 것이므로 후자에 속할 것이나 초고본이 전하지 않으므로 원본 상태를 확인할 수가 없다. 14

 

   『충무공유사』의 일기초

첫 번째 목차 제목이 재조번방지초이므로 서지학의 제명(題名)방법을 따라 붙인 이름이다. 이로 인해 지금까지는 이 책이 『재조번방지초』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 책의 표지를 자세히 살펴보면 충무공유사라고 초서로 희미하게 적혀 있는데, 영인본을 간행할 당시에 이를 미처 발견하지 못한 것이다. 17

 

또한 일기초에는 그간 소실로 인해 볼 수 없었던 초고본 「을미일기」 30일치와 「병신일기」 1일치, 「무술일기」 1일치가 수록되어 있다. 특히 「을미일기」는 지금까지 전서본만을 의지해 온 것이 주지의 사실인데, 최근에새로 밝힌 내용 중에 당초 전서본을 만들 당시 삭제한 내용으로 추정되는  「을미일기」가 들어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 만한 일이다. 지금까지의 『난중일기』가 전쟁 상황을 위주로 한 기록이었다면, 이것은 개인적이고 가족적인 내용을 위주로 적은 것이다. 특히 상관과 동료에 대한 불만과 감정을 직접적으로 토로한 내용들은 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이순신의 새로운 면모를 알게 해 준다. 19

 

   전서본 『난중일기』

정조는 임자년(792) 윤음에서 우리나라를 재건하게 한 황은(皇恩)을 길이 생각하고 충신에게 미치어 빗머리에 전자(篆字)를 써서 충무공 이순신의 공업을 표창하고자 한다, “요즘 이 충뮤사를 읽으면 노량해전을 회상하게 되어 나도 모르게 다리를 어루만지며 길게 탄식을 하게 된다. (중략) 충무가 남긴 사적을 요즘 내각에 명하여 전서를 판찬하게 하였으니, 그것이 활자로 인쇄되거든 그 한 본을 이 충렬사에 간직해 두면서 제사 지내도록 하라.”고 하였다. 21

 

1934

   청주에서 『이충무공전서속편』간행. 국내 유사(有司) 40여 명이 합작하여 보유한 석인본으로 2권이 추가되어 전 16권으로 간행됨. 그러나 1516권의 일부가 일본인들에 의해 조정되었다고 한다.

 

이 전서본 활자본들은 초간본을 비롯하여 후대에 총 여섯 차례 간행되었다. 초간본 간행 시에는 당시의 정유자판을 사용하여 간행했고, 1915년 간행본부터는 일본에서 들여온 신연활자(新沿活字)롤 간행하였으며, 1934년에는 석판본(石板本)으로 간행하였다.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활자는 바뀌었어도 내용은 모두가 거의 동일하다. 『난중일기』는 바로 전서본 안에 들어 있는 것이고, 초고본에 대한 탈초 작업이 처음 이루어진 것이며, 난중일기란 말도 이때 처음 생긴 것이다. 그러나 이 전서본은 이서하는 과정에서 상당수의 내용이 누락되었고, 내용에서 약간씩 다르며 없거나 많이 적혀 있는 등의 차이를 보이기도 하였다. 27

 

이 전서본 『난중일기』를 초고본과 비교해 볼 때 상당한 차이가 있는데, 그때 당시 정자로 옮겨 전서본을 판각할 때 글의 내용을 많이 생략했기 때문이다. 29

 

   조선사편수회의 『난중일기초(亂中日記草)

이순신의 『난중일기』가 1935년 12월 20 경성에서 조선총독부의 관할하에 있던 조선사편수회에 의해 판독 간행되었는데, 『이충무공전서』가 간행된 이후, 140년 만에 두 번째로 이루어진 일이다. 이 책은 기존에 따로 되어 있던 『난중일기』와 『임진장초』를 한 책으로 묶어 『조선사료총간』 제6, 『난중일기초ㆍ임진장초』라는 이름으로 만들어졌고, 전서에서 사용한 난중일기라는 명칭을 그대로 따랐다. 이는 당시 서울에서 일본인이 경영한 근택인쇄부에서 간행하였고, 일본 동경이 제일서방이 1945년에 영인하고 1978년에 『조선사료총간 제6』의 이름으로 복각(復刻)하였다.

이 『난중일기초』는 초고본과 형태와 체제를 그대로 살려 비교적 완벽에 가깝게 편집되었다. 31

 

, 우리나라 학자로서 조선사편수회에 참여한 사람으로는 박영효(朴泳孝)ㆍ이윤용(李允用)ㆍ어윤적(魚允迪)ㆍ이능화(李能和)ㆍ이병소(李秉韶)윤영구()ㆍ정만조(鄭萬朝)최남선(崔南善)ㆍ임번장(林繁藏)엄창섭(嚴昌燮)김대우(金大羽) ㆍ홍희(洪憙)등이다.

 

〔연혁〕 대정 11(1922) 12월 총독부훈령 제64호로 조선사편찬위원회규정을 공포하고, 다음 해 121월 조선 역사에 조예가 깊은 내선(內鮮)의 학자를 선발하여 위원으로 한 것이 조선사 편수 사업의 발단이다. 조선의 문화는 그 연원이 매우 오래되엇고 탁월한 것이 적지 않지만, 학술적 견지에서 자료를 수집하고 편찬한 역사서 중에 볼 만한 것이 없다. 또 고기록, 고문서 기타 사료로 될 만한 문헌류가 해가 감에 인멸되어 가고 있는데도, 아무런 조치가 없는 것은 매우 유감이다. 본 사업이 기획된 거슨 실로 그 결락을 보충하기 위함이다. 32

 

『난중일기초』는 조선 선조 당시 임진ㆍ정유의 역을 치를 때 수군의 명장으로 칭송받던 이순신이 전란 중에 스스로 필록한 일기이며, 『임진장초』는 이순신이 전황을 기록한 장계와 장달의 등록이다.

   기타 『난중일기』 이본(異本) 및 번역서

후대의 『난중일기』 연구자들이 전서본과 『난중일기초』를 가장 표본으로 삼고 있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36

 

1960 4월에 이은상이 초고본에 대한 원문 교열을 마치고 문교부에서 문화재 자료 『이충무공난중일기』란 이름으로 간행하였다. 이 책의 서문을 보면, “공이 초고와 전서 중 채록되어 잇는 난중일기의 내용과는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지적하고, 『난중일기초』에서 오독한 글자와 구두점을 모두 바로잡았다.”고 하였다. 특히 『무술일기』 부분에서 초고본은 107일까지만 있지만, 장계 초본 별책 속에 107일 이후 1117일까지의 친필 일기초 2면이 부철되어 있는 것을 첨가하여 공의 친필 초고를 완전히 채록하였다고 하였다. 여기서 말한 장계 초본 별책이란 바로 『충무공유사』의 일기초를 말한다. 37

 

1968이은상은 초고본에 없는 내용을 전서본의 내용으로 보충하여 하나로 합본한 『난중일기』를 만들어 현암사에서 간행하였다. 이 때에 이르러 비로소 이본에 의해 보유 및 집일(輯佚)이 이루어진 것인데 이렇게 편집된 원문을 변역한 내용도 함께 실었다. 그는 서문에서 공의 친필 초고를 표준으로 하였고 전서에만 수록되어 있는 부분은 부득이 그것으로써 보충하였으며, 정유년의 일기는 초고 두 책이 모두 공의 친필 기록이므로 그대로 다 번역하였다.”고 하였다. 37

 

2005년 필자는 초고본 해독 과정에서 발견한 오류 100여 곳을 발견하여 전서본 『난중일기초』와 비교하고, 기존 해독의 문제된 곳을 교감(校勘)하여 완역을 시도하였다. 인명 지명 등의 잘못된 표기와 동형의 글씨를 오독한 경우 새롭게 해독하였는데, 대부분 초고본의 훼손 상태가 심하거나 수정을 반복하고 난필로 알아보기 어렵게 씌어진 글자들이었다. 이런 이유로 후대의 활자본에는 오독의 글자가 그대로 남아 있었거나 미상의 기호로 표기되어 있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난중일기 완역본』 역자 후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38

 

전서본에 상당한 누락과 오독의 문제점을 인식하여 『난중일기초』가 나오게 되었고, 다시 이은상이 이를 교감 보완하여 번역한 내용이 오늘날에까지 이르게 된 것이다. 현존하는 이본이 몇 가지인 것에 비해 번역서는 총 30여 종인데, 그 내용은 대부분 전서본과 『난중일기초』를 저본으로 한 것이기 때문에 초고본에서 발견되는 문제점들을 미해결 과제로 남게 되었다.

이로 인해 결국 번역상에서 서로 다른 이견들이 나오게 되었다. 근본적으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초고본을 저본으로 한 이본 간의 비교 분석을 통해 분제되는 내용들을  교감하는 일이 절실히 필요하였다. 그러므로 초고본과 이본 및 번역서들을 종합 검토하여 거기서 발견되는 문제들을 해결하고 초고본의 결손 부분을 복원함으로써 정본화 작업을 시도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필자의 박사 학위 논문 「난중일기의 교감학적 검토-그 정본화를 위하여」에서 상세히 다루었다. 40

 

전서본은 초고본 내용이 요약되거나 누락된 부분이 많아서 실제 초고본이 교감하는 데 별 도움이 안 되었고, 다만 전서본으로 교감한 부분은 주로 『난중일기초』는 전서본과 달리 초고본형태를 따라 활자화한 이본으로서 초고본의 문제점은 바로 『난중일기초』의 문제점과 상관된 것이었으므로, 『난중일기초』문제에 관한 것은 초고본에 대한 검토 작업이었다. 일기초에서 을미ㆍ병신 ㆍ무술일기의 새로운 32일치 일기를 포함한 초록 내용도 초고본의 결손 및 보유 문제를 상당수 해결할 수 있었다. 40~41

 

임진년(1592)

기회를 놓치면 후회해도 소용없을 것이다.

 

1

16일 정축 성 밑에 사는 토병(土兵) 박몽세는 석수로서 선생원의 쇄석(쇠사슬 박을 돌)을 뜨는 곳에 갔다가 이웃집 개에게까지 피해를 끼쳤으므로 곤장 여든 대를 쳤다.

 

25일 병술 맑음. 동헌에 나가 공무를 본 뒤 활을 쏘았다.

 

2

29일 경신 맑으나 바람이 거세게 불었다. 동헌에 나가 공무를 보았다. 순찰사의 공문이 왔는데, 중위장을 순천 부사로 교체하라는 것이니, 한심스럽다.

 

3

4일 갑자 승군들이 돌 줍는 일을 성실히 하지 않으므로 우두머리 승려를 잡아다가 곤장을 쳤다. 아산에 문안 갔던 나장이 돌아왔다. 어머니께서 편안하시다는 소식을 들으니 매우 다행이다.

 

5일 을축 좌의정 유성룡이 편지와『증손전수방략』이라는 책을 보내왔다. 이 책을 보니 수전(水戰), 육전(陸戰)과 화공법 등에 관한 전술을 일일이 설명했는데, 참으로 만고에 뛰어난 이론이다.

 

6일 병인 아침 식사를 한 후 나가 앉아 군기(軍器)를 점검하니 활, 갑옷, 투구, 화살통, 환도(環刀)가 대부분 깨지고 훼손되어 제 모양을 이루지 못한 것이 매우 많았기 때문에 색리, 궁장(弓匠), 감고 등을 논죄하였다. 58

 

20일 경진 사도 첨사(김완)에게도 만남을 기약할 일로 공문을 보냈는데, 혼자서 수색하고 검토했다고 했다. 또 반나절 동안에 내나로도, 외나로도 와 대평도, 소평도를 모두 수색, 검토하고 그날로 포구에 돌아왔다고 하니, 이 일은 너무도 거짓된 것이다. 이를 조사하려는 일로 흥양 현감과 사도 첨사에게 공문을 보냈다. 60

 

23일 계미 보성에서 보내올 널빤지가 아직 들어오지 않았기에 색리에게 다시 공문을 보내 담당자를 수색하여 잡아들이게 했다. 순천에서 사환으로 온 소국진(소국진)에게 곤장 여든 대를 쳤다. 순찰사가 편지를 보내어, “발포 권관은 군사를 거느릴 만한 인재가 못 되므로 조치하겠다고 하므로 아직 갈지 말고 그대로 유임하여 방비하도록 하라고 답장을 보냈다. 60

 

24일 갑신 순찰사의 편지 가운데, “영남 관찰사(김수)의 편지는 쓰시마 도주(島主, 宗義智)의 문서에, ‘일찍이 배 한 척을 내어 보냈는데, 만약 귀국에 도착하지 않았다면 틀림없이 바람에 부서진 것이다라고 했다.’는 것이다. 그 말이 매우 음흉하고도 거짓되다. 61

 

4

15일 갑진 맑음. 나라 제삿날 이라 공무를 보지 않았다. 순찰사에게 보낼 답장과 별록을 써서, 곧바로 역졸을 시켜 달려 보냈다. 해 질 무렵에 영남 우수사(嶺南右水使, 원균)가 보낸 통첩에, “왜선 구십여 척이 와서 부산 앞 절영도에 정박했다.”고 한다. 이와 동시에 또 수사(경상 좌수사 박홍)의 공문이 왔는데, “왜적 삼백오십여 척이 이미 부산포 건너편에 도착했다.”고 하였다. 그래서 즉각 장계를 올리고 겸하여 순찰사(이광), 병마사(최원), 우수사(이억기)에게 공문을 보냈다. 영남 관찰사의 공문도 왔는데, 역시 이와 같은 내용이었다. 63

 

18일 정미 미시(未時, 오후 2시경)에 영남 우수사의 공문이 왔는데, “동래도 함락되고, 양산(梁山, 조영규), 울산(蔚山, 이언함) 두 수령도 조방장으로서 성으로 들어갔다가 모두 패했다.”고 했다. 분하고 원통함을 이루 다 말할 수가 없다. 경상 좌병사(이각)와 경상 좌수사(박홍)가 군사를 이끌고 동래 뒤쪽까지 이르렀다가 급히 회군했다니, 더욱 원통했다. 저녁에 순천 군사를 거느린 병방이 석보창에 머물러 있으면서 군사들을 인도하지 않으므로 잡아 가두었다. 64

 

5

2일 신미 삼도 순변사 이일과 우수사 원균의 공문이 도착했다. 송한련이 남해에서 돌아와서 하는 말이, “남해 현령(기효근), 미조항 첨사(김승룡), 상주포ㆍ곡포ㆍ평산포 만호(김축) 등이 왜적의 소식을 한 번 듣고는 벌써 달아났고, 군기 등의 물자가 모두 흩어져 남은 것이 없다고 했다. 참으로 놀랄일이다. 오시(오시, 정오경)에 배를 타고 바다로 나가 진을 치고, 여러 장수들과 약속을 하니, 모두 기꺼이 나가 싸울 뜻을 가졌으나, 낙안 군수(신호) 만은 피하려는 뜻을 가진 것 같아 한탄스럽다. 그러나 군법이 있으니 비록 물러나 피하려 한들 그게 될 법한 일인가.

 

3일 임신 이날 여도 수군 황옥천이 왜적의 소식을 듣고 집으로 도망갔는데, 잡아다가 목을 베어 군중 앞에 내다 걸었다.

 

29일 무술 왜적이 정박한 곳을 물으니, “왜적들은 지금 사천 선창에 있다.”고했다, 바로 그곳에 가 보았더니 왜인들은 이미 뭍으로 올라가서 산봉우리 위에 진을 치고 배는 산봉우리 밑에 줄지어 매 놓았는데, 항전하는 태세가 재빠르고 견고했다. 나는 여러 장수들을 독려하여 일제히 달려들며 화살을 비 퍼붓듯이 쏘고, 각종 총통을 바람과 우레같이 어지러이 쏘아 대니, 적들은 무서워서 물러났다. 화살에 맞은 자가 몇 백 명인지 알 수 없고, 왜적의 머리도 많이 베었다. 군관 나대용이 탄환에 맞았고, 나도 왼쪽 어깨 위에 탄환을 맞아 등을 관통하였으나 중상에 이르지는 않았다. 활꾼과 격군 중에서도 탄환을 맞은 사람이 많았다. 적선 열세 척을 불태우고 물러나왔다. 68

 

8

국가가 호남과는 마치 제()나라의 거, 즉묵과 같은 것이니, 이는 바로 온몸에 폐질(廢疾)이 있는 자가 〔기맥만 남아〕 구원하기 어려운 다리 하나만을 겨우 간호하고 있는 것과 같습니다. 그러나 많은 군사와 말들이 이곳(호남)을 휩쓸고 갔습니다. 75

 

계사년(1593)

만 번 죽어도 한 삶을 돌아보지 않을 계책을 내고 보니 발분한 마음 그지없네.

 

2

3일 무자 여러 장수들이 거의 다 모였는데, 보성 군수(김득광)는 오지 않았다. 동쪽 상방(上房)으로 나가 앉아 순천 부사, 낙안 군수, 광양 현감과 한참 동안 의논하고 약속하였다. 이날 영남에서 옮겨 온 귀화인 김호걸과 나장 김수남 등이 명부에 오른 격군 팔십여 명이 도망갔다고 보고하면서도, 뇌물을 많이 받고 붙잡아 오지 않았다. 그러 까닭에 군관 이봉수, 정사립 등을 몰래 파견하여 칠십여 명을 찾아서 잡아다가 각 배에 나누어 주고, 김호걸, 김수남 등을 그날로 처형했다. 78

 

8일 계사 맑음. 아침에 영남 우수사가 내 배로 와서 전라 우수사(이억기)가 기약 어긴 잘못으로 지금 먼저 떠나간다.”고 극언했다. 내가 애써 말려 기다리게 하고 오늘 해가 중천에 뜰 때 도착할 것이다라고 약속했더니, 과연 오시에 돛을 달고서 모임에 왔다. 79

 

3

6일 신유 맑음. 새벽에 출발하여 웅천에 이르니, 적의 무리가육지로 다급하게 도망쳐 산 중턱에 진을 쳤다. 관군들이 쇠 탄환과 편전을 비 오듯 마구 쏘아 대니 죽은 자가 매우 많았다. 포로로잡혀 갔던 사천 여인 한 명을 빼앗아 왔다. 칠천량에서 잤다. 87

 

제가 곧 바로 나아가 문안을 드리고자 했으나 지난번 교전할 때 격분하여 조심하지 않고 먼저 시석(矢石)에 나아갔다가 거기서 탄환을 맞은 자리가 매우 컸습니다. 비록 죽을 만큼 다치지는 않았으나 어깨 앞 우묵한 곳의 큰 뼈를 깊이 다쳐 고름이 줄줄 흘러 아직도 옷을 입지 못하고 온갖 약으로 치료하지만 아직까지도 차도가 없어 또한 활시위를 당길 수 없으니 무척 걱정스럽습니다. 96

 

5

16일 기사 맑음. 아침에 적량 만호 고여우, 감목관 이효가, 이응화, 강응표 등이 와서 만났다. 각 관청의 공문과 소장을 작성해 주었다. 조카 해와 아들 회가 돌아갔다. 몸이 몹시 불편하여 베개를 베고 누워 신음하던 중 명나라 장수가 중도에서 오래 체류하는 것은 반드시 교묘한 계책을 내기 위한 것이다.”라는 말을 들었다. 나라를 위한 걱정이 많던 차에 일마다 이와 같으니, 더욱더 탄식이 일고 눈물에 잠겼다. 점심 때 윤 봉사에게서 서울 관동의 숙모가 양주 천천으로 피난 갔다가 거기서 세상을 떠났다.”는 말을 듣고 통곡을 참지 못했다. 어찌 세상사가 이렇게 가혹한가. 장사는 누가 맡아서 치렀을까. 대진이 먼저 세상을 떠났다고 하니 더욱더 애통하다. 109

 

27일 경진 경상 우병사(최경회)의 답장이 왔는데, 원 수사가 송 경력(송응창)이 보낸 화전(火箭)을 혼자서 쓰려고 계책을 꾸몄다고 한다. 우습고도 우습다.

 

30일 계미 원 수사가 송 경략이 보낸 화전을 혼자만 쓰려고 꾀하기에 병사의 공문을 통해서 나누어 보내라고 하니, 그는 공문도 내는 것을 심히 못마땅해하고 무리한 말만 많이 했다. 가소롭다. 명나라의 배신이 보낸 화공 무기인 화전 천오백서른 개를 나누어 보내지 않고 혼자서 모두 쓰려고 하니 그 잔꾀는 심히 다 말로 할 수가 없다. 저녁에 조붕이 와서 이야기하였다. 남해 현령 기효근의 배가 내 배 옆에 댔는데, 그 배에 어린 계집을 태우고 남이 알까 봐 두려워하였다. 가소롭다. 이처럼 나라가 위급한 때를 당해서도 예쁜 여인을 태우기까기 하니 그 마음 씀이는 무어라 형용할 수가 없다. 그러나 그 대장이라는 원 수사 또한 이와 같으니, 어찌하겠는가. 115

 

6

10일 계사 사경에 경상 원 수사의 공문이 왔는데, “내일 새벽에 나아가 싸우자.”는 것이었다. 그 흉악하고 음험하고 시기하는 마음은 이루 말로 하지 못하겠다. 이날 밤 바로 대답하지 않았다. 119

 

7

실은 왜적들이 아니고, 영남의 피란민들이 왜군 차림을 가장하고 광양으로 마구 들어가서 여염집을 분탕질하였다.”는 것이었다. 128

 

28일 경진 원 수사가 음흉하게 속임수를 쓰는 것은 아주 형편없다. 정여흥이 공문과 편지를 가지고 체찰사 앞으로 갔다. 순천 부사, 광양 현감이 와서 만나고 곧 돌아갔다. 사도 첨사(김완)가 복병했을 때 사로잡은 포작 열 명이 왜군 옷으로 변장하여 한 짓이 준비된 것이기에 추궁하여 물으니, 어떤 근거가 있을 듯하더니 경상 우수사가 시킨 것이라고 하였다, 발바닥을 여남은 대씩 때리고는 놓아주었다. 133

 

 

29일 신사 맑음. 새벽꿈에 사내아이를 얻었다. 이는 포로로 잡혀간 사내아이를 얻을 징조이다. 133

 

2일 계미 또 원사(원균)가 망령된 말을 하며 나에게 도리에 어긋난 짓을 많이 하더라고 말했다. 모두가 망령된 짓이나, 무슨 상관이 있겠는가. 아침부터 아들 염의 병도 어떠한지 모르는 데다가 적을 소탕하는 일도 늦어지고 마음의 병도 침중하여 밖으로 나가 마음을 풀고자 하였다. 탐후선이 들어왔는데, “아들 염의 아픈 데가 종기가 생겨 침으로 쨌더니 고름이 흘러나왔는데, 며칠만 더 늦었어도 치료하기 어려울 뻔했다.”고 한다. 매우 놀랍고 한탄스러운 심정을 이기지 못했다. 지금은 조금 생기가 났다고 하니, 다행임을 어찌 말로 할 수 있으랴. 의사 정종의 은혜가 매우 크다. 134

 

30일 신해 원 수사가 또 와서 영등포로 가기를 독촉했다. 참으로 음흉하다고 할 만하다. 그가 거느린 배 스물다섯 척은 모두 다 내보내고 다만 칠팔 척을 가지고 이런 말을 하니, 그 마음 씀씀이와 일하는 것이 다 이따위다. 140

 

9

15일 병인 오랑캐의 근성은 경박하고 사나우며 칼과 창을 잘 쓰고 배에 익숙하다. 육지에 내려오면 문득 결사의 마음을 품고 칼을 휘두르며 돌진하므로, 아군의 〔정예하기 훈련되지 않은〕겁에 질린 무리들은 일시에 놀라 달아나니, 그래서야 죽음을 무릅쓰고 항전할 수 있겠는가. 143

 

하나, 지난해부터 변란이 일어난 뒤로 수군이 적과의 접전을 수십 차례나 자주 가졌는데, 큰 바다에서 교전할 때면 저 왜적들은 무너져 파괴되지 않은 적이 없었고, 우리는 한 번도 패한 적이 없었다. 143

 

갑오년(1594)

작은 이익을 보고 들이친다면 큰 이익을 이루지 못할 것이다.

 

1

1일 경진 비가 퍼붓듯이 내렸다. 어머니를 모시고 함께 한 살을 더하게 되니, 이는 난리 중ㅇ에서도 다행한 일이다. 147

 

14일 계사 아침에 조카 뇌의 편지를 받아 보니 아산의 산소에서 설날 제사를 지낼 때 패를 지어 모여든 무리들이 무려 이백여 명이나 산을 둘러싸고 음식을 구걸하므로 제사를 뒤로 물렸다.”고 한다. 매우 놀라운 일이다.

 

15일 갑오 동궁(광해군)의 명령이 있었는데, 군사를 거느리고 가서 적을 토벌하는 일을 감독하라는 내용이었다. 149

 

18일 정유 전윤이 말하기를 수군을 거창으로 붙잡아 왔는데, 이 편에 들으니 원수(권율)가 방해하려 한다.”고 했다. 우스운 일이다. 예부터 남의 공을 시기하는 것이 이와 같았으니, 한탄한들 무엇하랴! 여기서 그대로 잤다.

 

19일 무술 원 수사, 공연수, 이극성이 서로 눈독 들인 여자들을 모두 다 관계했다고 한다. 150

 

21일 경자 저녁에 녹도 만호가 와서 보고하는데, “병들어 죽은 이백열네 명의 시체를 거두어 묻었다.”고한다. 사로잡혔다가 도망쳐 나온 두 명이 원 수사의 진영에서 와서 적의 정세를 상세히 이야기했지만, 믿을 수 없었다. 151

 

30일 기유 나는 몸이 몹시 불편하여 종일 식은땀을 흘렸다. 154

 

2

3일 임자 맑음. 새벽꿈에 한쪽 눈이 먼 말을 보았다. 무슨 징조인지 모르겠다. 155

 

5일 갑인 원수(권율)의 회답공문이 왔는데, 심 유격(심유경)이 벌써 화해할 것을 결정했다고 한다. 그러나 간사한 꾀와 교묘한 계책은 헤아릴 수 없다. 전에도 놈들의 꾀에 빠졌었는데 또 이처럼 빠져드니 한탄스럽다. 156

 

9일 무오 또 백성들이 굶주려서 서로 잡아먹는 참담한 상황에 앞으로 어떻게 살 것인지를 물었다. 158

 

12일 신유 미시에 선전관(송경령)이 진에 도착했다. 유지 두 통과 비밀 문서 한 통, 도합 세 통인데, 한 통에는 명나라 군사 십만 명과 은 삼백 냥이 온다.”고 하였고, 한 통에는 흉적의 뜻이 호남에 있으니, 힘을 다하여 차단하고 형세르 보아 무찌르라.”고 하였다. 그 안의 비밀 문서를 내 보니 여러 해 동안 해상에서 나라를 위해 애쓰는 것을 내가 늘 잊지 못하니, 공이 있는 장병으로서 아직 큰 상을 받지 못한 자들을 치계(馳啓, 보고)하라.”는 것이었다. 159

 

21일 경오 맑고 따뜻함. 몸이 몹시 불편하여 종일 신음했다. 162

 

3

6일 갑신 늦게 거제로 향할 때 바람이 거슬러 불어 간신히 흉도에 도착하니, 남해 현감(기효근)이 보고한 내용에, “명나라 군사 두 명과 왜놈 여덞 명이 패문을 가지고 왔기에 그 패문과 명나라 병사를 올려보낸다.”고 하였다. 그것을 가져다가 살펴보았더니 도사부 담종인의 금토패문(禁討牌文)이었다. 나는 몸이 몹시 괴로워 앉고 눕기조차 불편했다. 166

 

 

5

7일 갑신 침 열여섯 군데를 맞았다. 176

 

6

4일 신해 저녁이 겸사복이 유지를 가지고 왔다. 내용은 수군의 여러 장수들과 경주의 여러 장수들이 서로 협력하지 않으니, 이제부터는 예전의 폐습을 모두 바꾸라는 것이었다. 통탄하는 마음 어찌 다하랴. 이는 원균이 술에 취하여 망령된 짓을 했기 때문이다. 181

 

15일 임술 신경황이 영의정(유성룡)의 편지를 가지고 들어왔다. 나라를 근심하는 마음이 이보다 더한 이가 없을 것이다. 182

 

7

3일 기묘 음란한 계집을 처벌했다. 각 배에서 여러 번 양식을 훔친 사람들을 처형했다. 186

 

14일 경인 비가 계속 내렸다. 어제 저녁부터 빗발이 심대처럼 내리니 지붕이 새어 마른 데가 없어서 간신히 밤을 지냈다. 점괘에서 얻은 그대로니 참으로 절묘하다. 189

 

8

17일 임술 원수(권율)정오에 사천에 와서 군관을 보내 대화를 청하기에 곤양의 말을 타고 원수가 머무르는 사천 현감(기직남)의 처소로 갔다. 교서에 숙배한 뒤에 공사간의 인사를 마치고서 함께 이야기하니 오해가 많이 풀리는 빛이었다. 원 수사를 몹시 책망하니 원 수사는 머리를 드맂 못하였다. 가소로웠다. 198

 

30일 을해 이날 아침 탐후선이 들어왔는데, 아내의 병세가 매우 위중하다고 했다. 이미 생사가 결정났는지도 모르겠다. 나랏일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다른 일에 생각이 미칠 수는 없으나 아들 셋, 딸 하나가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 마음이 아프고 괴로웠다. 201

 

9

3일 무인 새벽에 비밀유지가 들어왔는데, “수군과 육군의 여러 장수들이 팔짱만 끼고 서로 바라보면서 한 가지라도 계책을 세워 적을 치려고 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삼 년 동안 해상에서 있으면서 절대로 그럴 리가 없었다. 여러 장수들과 명세하여 목숨 걸고 원수를 갚을 뜻으로 하루하루 보내고 있지만, 다만 험한 소굴에 응거하고 있는 왜적 때문에 가볍게 나아가지 않을 뿐이다. 202

 

10

4일 무신 선전관 이계명이 표신과 선유교서를 가지고 왔는데, 임금님이 담비의 털가죽도 내려 주셨다.

 

6일 경술  일찍 선봉을 장문포 적의 소굴로 보내었더니, 왜놈들이 패문을 써서 땅에 꽂아 놓았는데, 그 내용은 일본은 명나라와 더불어 바야흐로 화목하고자 하니, 서로 싸울 것이 없다.”는 것이다. 209

 

14일 무오 새벽꿈에 왜적들이 항복을 청하면서 육혈총통(六穴銃筒) 다섯 자루와 환도를 바쳤다. 말을 전해 준 자는 그 이름이 김서신이라고 하는데, 왜놈들의 항복을 모두 받아들이기로 한 꿈이었다. 211

 

을미년(1595)

장수의 자리에 있으면서 공로는 티끌만큼도 보탬이 되지 못했고, 입으로 교서를 외우고 있으나 군사들에 대한 부끄러움이 있을 뿐이다.

 

1

21일 갑오 장흥 부사가 와서 만났다. 그에게 들으니 순변사 이일의 처사가 지극히 형편없고 나를 해치려고 몹시 애쓴다고 한다. 참으로 가소롭다. 230

 

 

5

4일 병자 아들의 편지를 보니, “요동의 왕작덕이 왕씨(왕건)이 후예로서 군사를 일으키고자 한다.”고 했다. 참으로 놀랄 일이다. 245

 

7

1일 임신 내일은 돌아가신 부친의 생신이신데, 슬픔과 그리움을 가슴에 품고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떨어졌다.(일기초) 256

 

7일 무인 그런데 경은 적과 마주하여 진을 치고 있는 장수로서 조정이 명령하지도 않았는데 함부로 적과 대면하여 감히 도리에 어긋난 말을 지껄이는가. 도 누차 사사로이 편지를 보내어 그들을 높여 아첨하는 모습을 보이고 수호, 강화하자는 말을 하여, 명나라 조정에까지 들리게 해서 치욕을 끼치고 사이가 벌어지게 했음에도 조금도 거리낌이 없도다.(……) 이것을 보니, 놀랍고도 황송한 마음을 이루 다 말할 수 없었다. 김응서란 어떠한 사람이기에 스스로 회개하여 힘쓴다는 말을 들을 수가 없는가. 만약 쓸개 있는 자라면 반드시 자결이라도 할 것이다. 258

 

9

25일 갑오 미시에 녹도의 하인이 불을 내 대청과 다락방에까지 불길이 번져 모두 타 버렸다. 271

 

11

1일 기사 김희번이 서울에서 내려와서 영의정의 편지와 조보 및 원흉의 답서를 가져와 바치니, 지극히 흉악하고 거짓되어 입으로는 말할 수 없었다. 기망하는 말들은 무엇으로도 형상하기 어려우니 천지 사이에는 이 원흉처럼 흉패하고 망령된 이가 없을 것이다.(일기초) 277

 

병신년(1596)

만일 서쪽의 적이 급한데 남쪽의 적까지 동원된다면 임금이 어디로 가시겠는가.

 

1

12일 기묘 사경에 꿈을 꾸었는데 어느 한곳에 이르러 영의정과 함께 이야기를 나누고 있었다. 한동안 둘 다 의관을 벗고 앉았다 누웠다 하며 서로 나라를 걱정하는 생각을 털어놓다가 끝내는 억울한 사정까지 쏟아놓았다. 얼마 후 비바람이 억세게 퍼붓는데도 꼼짝하지 않고 있었다. 조용히 이야기하는 사이 만일 서쪽의 적이 급한데 남쪽의 적까지 동원된다면 임금이 어디로 가시겠는가를 되풀이하며 걱정하다가 말할 바를 알지 못했다. 289

 

3

22일 기축 그 편에 들으니 작은 고래가 섬 위로 떠밀려 와서 죽었다고 하므로 박자방을 보냈다. 308

 

4

19일 을묘 이날 아침에 남여문을 통해 풍신수길이 죽었다는 말을 들었다. 기쁘기 그지 없었지만 아직 믿을 수 없었다. 이 말은 벌써 퍼졌었지만, 아직은 확실한 기별이 오지 않았다. 313

 

5

13일 기묘 부산의 허내은만의 고목이 왔는데, “가등청정(加藤淸正)이란 왜적이 이미 10일에 그의 군사를 거느리고 바다를 건너갔고, 각 진에 있는 왜적들도 또한 장차 철수해 갈 것이며, 부산의 왜적들은 명나라 사신을 모시고 바다를 건너가려고 그대로 남아 있는 것이다.”라고 했다. 318

 

6

20일 병진 어제 아침 곡포 권관 장후완이 교서에 숙배한 뒤에 평산포 만호(김축)에게 제때에 진에 도착하지 않은 까닭을 문책할 때에, 날짜를 정해주지 않았기에 오십여 일을 물러나 있었다고 답하였다. 해괴하기 짝이 없어서 곤장 서른 대를 쳤다. 324

 

9

8일 신축 아침 식사에 쇠고기 반찬이 올랐는데 나라 제삿날(세조의 제사)이라 먹지 않고 도로 내놓았다. 344

 

정유년(1597)

어머님의 부고를 전했다.

달려나가 가슴을 치고 뛰며 슬퍼하니 하늘의 해조차 캄캄해 보였다.

 

4

11일 신미 새벽꿈이 매우 심란하여 이루 다 말할 수가 없었다. 덕이를 불러서 대강 이야기하고 또 아들 울에게도 말했다. 마음이 몹시 언짢아서 취한 듯 미친 듯 마음을 가눌 수 없으니, 이것이 무슨 징조인가. 병드신 어머니를 생각하니, 나도 모르게 눈물이 흐른다. 종을 보내 어머니의 소식을 듣고 오게 했다.

 

13일 계해 얼마 후 종 순화가 배에서 와서 어머님의 부고를 전했다. 달려나가 가슴을 치고 뛰며 슬퍼하니 하늘의 해조차 캄캄해 보였다. 바로 해암으로 달려가니 배는 벌써 와 있었다. 길에서 바라보며 가슴이 찢어지는 슬픔을 이루 다 적을 수가 없다. 후에 대강 적었다. 356~357

 

5

3일 계사 아침에 둘째아들 울의 이름을 열로 고쳤다. 열의 음은 열()이다. 싹이 처음 트거나 초목이 무성하게 자란다는 뜻이니 글자의 뜻이 매우 아름답다. 361

 

15일 을사 비가 오다 개다 했다. 주인집이 너무 낮고 추하여 파리가 벌떼처럼 들끓어 사람이 밥을 먹을 수가 없었다. 366

 

21일 신해 과천의 좌수 안홍제 등이 이상공에게 말과 스무 살 난 계집종을 바치고 풀려나 돌아갔다고 한다. 안은 본디 죽을죄도 아닌데 여러 번 형장을 맞아 거의 죽게 되었다가 물건을 바치고서 석방되었다는 것이다. 안팎이 모두 바치는 물건의 많고 적음에 따라 죄의 경중을 결정한다니, 아직 결말이 어떻게 날지 모르겠다. 이것이 이른바 백전(백전)의 돈으로 죽은 훈을 살게 한다.”는 것이리라. 368

 

7

22일 신해 아침에 배설이 와서 보고, 원균의 패망한 일을 많이 말했다. 390

 

8

3일 신유 이른 아침에 선전관 양호가 뜻밖에 들어와 교서와 유서를 주며 당부하는데, 그 내용은 곧 삼도통제사를 겸하라는 명령이었다. 392

 

9

16일 갑진 이른 아침에 망군이 와서 보고하기를, “무려 이백여 척의 적선이 명량을거쳐 곧바로 진치고 있는 곳으로 항해 온다.”고 했다. 어려 장수들을 불러 거듭 약속할 것을 밝히고 닻을 올리고 바다로 나가니, 적선 백서른세 척이 우리의 배를 에워쌌다. 상선(지휘선)이 홀로 적선 속으로 들어가 포탄과 화살을 비바람같이 쏘아 대지만 여러 배들은 바라만 보고서 진군하지 않아 일을 장차 헤아릴 수 없었다. 배 위에 있는 군사들이 서로 돌아보며 놀라 얼굴빛이 질려 있었다. 나는 부드럽게 타이르면서 적이 비록 천적이라도 감히 우리 배에는 곧바로 덤벼들지 못할 것이니, 조금도 동요하지 말고 힘을 다해 적을 쏘아라.”하고 말했다. 그러고서 여러 배들을 돌아보니, 한 마장쯤 물러나 있었고, 우수사 김억추가 탄 배는 멀리 떨어져 있어 묘연했다. 배를 돌려 곧장 중군 김응함의 배로 가서 먼저 목을 베어 효시하고자 했으나, 내 배가 머리를 돌리면 여러 배들이 차츰 더 멀리 물러나고 적선이 점차 다가와서 사세가 낭패될 것이다. 중군의 영하기(令下旗, 군령 내리는 기)와 초요기를 세우니 김응함의 배가 점처 내 배로 가까이 오고 거제 현령 안위의 배도 왔다. 내가 뱃전에 서서 직접 안위를 불러 말하기를, “네가 억지 부리다 군법에 죽고 싶으냐?”고 하였고, 다시 불러 안위야, 군법에 죽고 싶으냐? 물러나 도망가면 살 것 같으냐?”고 했다. 이에 안위가 황급히 적과 교전하는 사이를 곧장 들어가니, 적장의  배와 다른 두 척의 적선이 안위의 배에 개미처럼 달라붙었고, 안위의 격군 일고여덟 명은 물에 뛰어들어 헤엄치니 거의 구할 수 없었다. 나는 배를 돌려 곧장 안위의 배가 있는 데로 들어갔다. 안위의 배 위에 있는 군사들은 죽기를 각오한 채 마구 쏘아 대고 내가 탄 배의 군관들도 빗발치듯 어지러이 쏘아 대어 적선 두 척을 남김없이 모두 섬멸하였다. 매우 천행한 일이었다. 우리를 에워쌌던 적선 서른 척도 부서지니 모든 적들이 저항하지 못하고 다시는 침범해 오지 못했다. 401

 

정유년 Ⅱ

너희 여러 장수들이 조금이라도 명령을 어기는 일이 있다면

즉시 군율을 적용하여 조금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

 

8

21일 기묘 사경에 곽란이 일어났다. 몸을 차게 해서 그런 것으로 생각하여 소주를 마시고 치료하려 했는데, 인사불성이 되어 거의 깨어나지 못할 뻔했다. 구토를 여남은 차례 하고 밤새도록 고통스러웠다.

 

23일 신사 병세가 매우 위중해져 배에 머무르기가 불편하였다. 실제로 전쟁터도 아니기에 배에서 내려 포구 밖에서 잤다. 411

 

9

2일 경인 배설이 도망쳤다.

 

15일 계묘 조수를 타고 여러 장수들을 거느리고 우수영 앞바다로 진을 옮겼다. 벽파정 뒤에 명량이 있는데 수가 적은 수군으로써 명량을 잊고 진을 칠 수 없었기 때문이다. 여러 장수들을 불러 모아 약속하되, “병법에 이르기를 반드시 죽고자 하면 살고 반드시 살려고 하면 죽는다.〔必死卽生, 必生卽死〕고 하였고, 또 한 사람이 길목을 지키면 천 명도 두렵게 할 수 있다.’고 했는데, 이는 오늘의 우리를 두고 이른 말이다. 너희 여러 장수들이 조금이라도 명령을 어기는 일이 있다면 즉시 군율을 적용하여 조금도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하고 재삼 엄중히 약속했다. 이날 밤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가르쳐 주기를 이렇게 하면 크게 이기고, 이렇게 하면 지게 된다.”고 하였다. 416

 

16일 갑진 내가 무상 김돌손을 시켜 갈구리로 낚아 뱃머리에 올리게 하니, 준사가 날뛰면서 이자가 마다시입니다.”라고 말하였다. 그래서 바로 시체를 토막내라고 명령하니, 적의 기세가 크게 꺾였다. 418

 

10

14일 신미 사경에 꿈을 꾸니 내가 말을 타고 언덕 위로 가다가 말이 발을 헛디뎌 냇물 가운데로 떨어지긴 했으나 거꾸러지지는 않았는데, 막내 아들 면이 끌어안은 형상이 보이는 듯하다가 깨었다. (……) 저녁에 어떤 사람이 천안에서 와서 집안 편지를 전하는데, 봉함을 뜯기도 전에 뼈와 살이 먼저 떨리고 마음이 조급하고 어지러웠다. 대충 겉봉을 펴서 열이 쓴 글씨를 보니, 겉면에 통곡(통곡)’ 두 글자가 씌어 있어서 면이 전사했음을 알게 되어 나도 모르게 간담이 떨어져 목 놓아 통곡하였다. 하늘이 어찌 이다지도 인자하지 못하신고, 간담이 타고 찢어지는 듯하다. 내가 죽고 네가 사는 것이 이치에 마땅하거늘, 네가 죽고 내가 살았으니, 이런 어긋난 이치가 어디 있겠는가. 천지가 캄캄하고 해조차도 빛이 변했구나. 슬프다. 내 아들아! 나를 버리고 어디로 갔는냐. 영특한 기질이 남달라서 하늘이 이 세상에 머물러 두지 않는 것이냐. 내가 지은 죄 때문에 화가 네 몸에 미친 것이냐. 이제 내가 세상에 살아 있은들 누구에게 의지할 것인가. 너를 따라 죽어 지하에서 함께 지내고 함께 울고 싶건만, 네 형, 네 누이, 네 어미가 의지할 것이 없어 아직은 참고 연명한다마는 내 마음은 죽고 형상만 남은 채 부르짖어 통곡할 따름이다. 하룻밤 지내기가 한 해를 지내는 것 같구나. 이날 밤 이경에 비가 내렸다. 425

 

12

5일 신유 도원수의 군관이 유지를 가지고 왔는데, “이번에 선전관을 통해 들으니, 통제사 이순신이 아직도 권도(權道)를 쫓지 않아서 여러 장수들이 민망히 여긴다고 한다. 사사로운 정이야 비록 간절하지만 나라 일이 한창 바쁘고, 옛사람의 말에도 전진(戰陣, 전쟁 진터)에서 용맹이 없으면 효가 아니다.’라고 하였다. 전진에서의 용감함은 소찬(素饌)이나 먹어서(行素) 기력이 노곤한 자가 능히 할수 있는 일이 아니다. 예법에도 경(, 원칙)과 권(, 방편)이 있으니, 꼭 고정된 법(常制)만을 고수할 수는 없는 것이다. ()은 내 뜻을 깊이 깨달아서 소찬 먹기를 그만두고(開素) 권도(權道, 방편)을 따르도록 하라.”고 하였다. 유지와 함께 고기반찬을 하사하셨는데, 마음은 더욱 비통하였다. 436

 

무술년(1598)

나의 임무는 철수하라고 호령함인데, 앞에 있는 배들의 함성이

하늘에까지 울리고 대포 소리는 우레와 같아서 호령을 듣지 못하였다.

 

10

3일 을묘 도독(전린)이 유 제독의 비밀 서신에 의하여 초저녁에 나가 싸웠는데, 삼경에 이르도록 공격하다가 명나라의 사선(沙船) 열아홉 척, 호선(虎船) 이십여 척이 불에 탔다. 도독의 안절부절하는 모습을 이루 말할 수 없었다.

 

6일 무오 도원수(군율)가 군관을 보내 편지를 전하는데, “유 제독(유정)이 달아나려고 한다고 했다. 통분할 일이다. 나랏일이 장차 어떻게 될 것인가. 446

 

11

17 왜적은 한산도 기슭을 타고 육지로 올라가 달아났고, 포획한 왜선과 군량은 명나라 군사에게 빼앗기고 빈손으로 와서 보고했다. 449

 

3. 내가 저자라면

난중일기는 두 번 쓰여졌다. 충무공 이순신이 임진년(1592) 1월부터 무술년(1598) 11월까지 7년 동안 기록한 전쟁일기가 첫 번째요, 어려서부터 한학을 배우고 초서를 연구한 마흔 한 살의 젊은학자 노승석이 초고본과 전서본 『난중일기초』와 비교하고, 이본 및 번역서들을 종합 검토하여 기존 해독의 문제된 곳을 교감하여 완역한 이 책 『교감 완역 난중일기』가 두 번째다. 물론 이은상, 조선사편수회 등 그보다 앞서 난중일기를 번역한 선례는 있다. 하지만 노승석이 『난중일기』에 들인 정성과 세월은 난중일기라는 텍스트뿐만 아니라 교감본 난중일기, 난중일기 교감기 등의 이름으로 이 책의 목차가 되었다. 조선의 역사, 나아가 한민족의 역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임진왜란과 그 사건의 키워드가 되는 인물이 작성한 기록임에도 불구하고 후손들의 무관심으로 훼손되고 왜곡된 난중일기가 그의 손을 거치며 잃어버린 얼개를 일부 회복했다. 이 책은 친필 초고본 이후 지금까지의 난중일기 중 가장 완벽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필사본 난중일기 325일분(충무공유사 일기초·1693년 이후), 최초 활자본인 정조시대의 전서본(全書本) 난중일기(1795), 1935년 조선총독부 산하의 어용학술단체인 조선사편수회가 1935년 간행한 난중일기초() 10건에, 20세기에 나온 난중일기 번역본 30여 건과 이순신 장군 관련 문헌들을 다 뒤진 결과다.

이제 초고본에서 판독할 수 없는 부분은 없다.”라는 자부심의 근간이 된 그의 정성스러운 노고 덕분에 『난중일기』가 나중일기가 될 뻔할 일이 없어졌다.

 

o 보완할 점
이순신 1545년부터 1598년까지를 살았다. 헌데 이 책에서는 1592년부터 1598년까지 행적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역사적으로나 개인적으로 가장 중요한 시기이기는 하지만, 인간 이순신을 입체적으로 조명하려면 나머지 40여 년의 기록을 합쳐 총체적으로 그를 바라보는 시도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순신에 대해서는 그간『난중일기』에 치우쳐 평가가 이뤄지다 보니 전쟁영웅으로서의 치적, 忠孝의 표상이라는 측면이 주로 다루어져 왔다. 그러나 『난중일기』를 찬찬히 들여다보면 복잡다단한 내면의 풍경과 인간적 고뇌가 시대와 어우러진 다채로운 색깔들을 엿볼 수 있다. 이순신 만큼 현대성을 보유한 봉건시대의 영웅을 찾기란 쉽지 않다. 최근 들어 경영학, 리더십 등 자기계발의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소설 등 문학의 영역에서 그가 각광받고 있는 것은 프리즘에 따라 걸러낼 수 있는 그의 스펙트럼이 그만큼 다양하기 때문일 것이다.

 

이런 면에서 이순신 개인에 대한 연구가 좀더 진전될 필요를 느낀다. 『난중일기』는 전쟁을 주제로 한 기록이다.  몰론 사람이 주인공이고 사건을 통하여 인간 군상이 가진 다양성이 표출되기는 하지만 다양한 결을 가진 이순신을 이해하기에는 관점이 단순명료하다.   이순신이란 퍼스낼러티에 영향을 준 시공간적 요소는 없었는지, 어떤 인물과 사상이 그의 삶에 관여했는지 관심의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역사와 개인의 연결고리를 구조적으로 파악하는데 중요한 단초가 될 것으로 보인다.

IP *.212.98.17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092 닥터 홀의 조선회상 [1] 박영희 2005.06.15 3427
1091 [29] 버리고 갈 것만 남아서 참 홀가분하다 - 박경리 [1] 촌년지혜 2008.11.09 3427
1090 3-19. 살아있는 미로 - 제레미 테일러 콩두 2014.12.21 3427
1089 단테 신곡 학이시습 2012.05.28 3428
1088 빈곤의 종말-그것은 가능하다 [3] 도명수 2007.01.15 3431
1087 북 No. 3 – 조셉 캠벨 '천의 얼굴을 가진 영웅' file [2] 유재경 2011.04.17 3434
1086 우리 속에 있는 지헤의 여신들 file [4] id: 깔리여신 2013.02.04 3434
» 북리뷰 13. 난중일기_이순신 지음(노승석 옮김) 박상현 2010.05.31 3435
1084 21st Review - 경영의 미래 (개리해멀) file 사샤 2011.09.18 3436
1083 스티브잡스_구달리뷰#34 구름에달가듯이 2014.12.16 3436
1082 스무살에 만난 유태인 대부호의 가르침 하지웅 2005.04.28 3438
1081 [죽은 경제학자의 살아 있는 아이디어] 토드 부크홀츠 [2] 오세나 2005.05.23 3438
1080 [23] 칼리 피오리나, 힘든 선택들 - 칼리 피오리나 file 최지환 2008.09.28 3438
1079 [13]오쇼 라즈니쉬 자서전: 길은 내 안에 있다 오현정 2008.06.30 3439
1078 서구 정치사상 고전읽기 -강유원- 장재용 2013.06.18 3439
1077 인간과 환경의 문명사-데이비드 아널드-한길사 우제 2008.01.21 3443
1076 [29] 누가 하늘을 보았다 하는가 - 신동엽 양재우 2008.11.09 3443
1075 39. 소설과 소설가(오르한 파묵 지음, 이난아 옮김) [3] [1] 한젤리타 2013.01.28 3445
1074 열하일기 (中, 下)-박지원 학이시습 2012.11.19 3446
1073 [2-18] 알레프 - 보르헤스 한정화 2013.10.28 34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