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북

연구원들이

2010년 12월 14일 05시 52분 등록
세계가 좁아졌다. 하지만 같아진 것은 아니다. 미국남자와 미국여자가 만나서 아이를 낳으면 미국아이를 낳는다. 한국남자와 한국여자가 만나서 아이를 낳으면 한국아이를 낳는 것과 같다. 국적만이 아니라 생각까지 그렇다는 말이다. 고유의 문화 속에서 성장할 것이기 때문이다. 6

문화가 다르면 생각도 다르다. 생각이 다르면 동일한 사물에도 다르게 반응한다. 감정은 학습의 결과인 셈이다. 7

컬쳐코드란 우리가 속한 문화를 통해 일정한 대상-자동차와 음식, 관계, 나라 등-에 부여하는 무의식적인 의미다. 18

일단 하나의 각인이 이루어지면, 그것은 우리의 사고 과정을 강하게 규정하고 미래의 행동을 만들어낸다. 각인은 저마다 우리를 더욱 우리답게 만드는 데 이바지한다. 각각의 각인들이 결합되어 우리를 '정의'한다. 19

각인과 코드의 관계는 자물쇠와 비밀번호의 관계와 같다. 자물쇠는 올바른 숫자를 바른 순서로 맞춰야 열 수 있다. 광범한 각인의 코드를 찾아내는 일에는 아주 깊은 의미가 있다. 코드를 찾아내면 우리의 가장 근본적인 문제중 하나, 즉 "우리가 현재와 같은 방식으로 생동하는 이유"를 알 수 있다. 코드를 이해하면 놀랍고 새로운 도구가 생긴다. 우리 자신과 우리의 행동을 볼 수 있는 '새로운 안경'을 얻게되는 것이다. 이 안경을 쓰면 우리 주변의 모든 사물을 보는 방식이 달라지며 우리가 항상 의심해왔던 것이 사실임을 입증해준다. 즉 전 세계 인류는 공통적인 인간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서로 '다르다'는 사실을 알게 되는 것이다. 코드는 사람들이 어떻게 다른가를 이해하는 방법을 제시해준다. 27

자신의 관심사나 취향에 대한 질문을 받으면 자신의 생각이 아니라 질문자가 원하는 답변을 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행동은 일부러 속이려고 그러는 것이 아니라, 질문에 답할 때 감정이나 본능보다 지성을 관장하는 대뇌피질이 먼저 작용하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질문을 받으면 깊이 생각하고 검토해서 답변을 내놓는다. 그리고 자신들이 진실을 말하고 있다고 믿는다. 실제로 거짓말 탐지기를 사용해도 진실이라는 결과가 나온다. 그러나 그들이 말하는 것들은 대체로 진실이 아니다. 31

우리는 자기 성찰을 할 때에도 대개 잠재의식에까지 도달하지 못한다. 행동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이 강력한 힘과 상호 작용하는 일이 좀처럼 없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는 질문을 받으면 논리적으로 보임직한, 혹은 질문자가 기대함직한 답변을 하게 된다. 그러나 이런 답변으로는 우리의 감정을 조정하는 무의식적인 힘이 드러나지 않는다. 이것이 바로 여론조사와 시장조사가 자주 판단을 그르치게 하거나 무용지물이 되는 이유다. 32

감정은 학습의 열쇠이자 각인의 열쇠다. 감정이 강할수록 경험도 명확하게 습득된다. 36

행동의 배후에 있는 참된 의미를 찾아내는 열쇠는 구조를 이해하는 데 있다. 41

어린 나이에 잠재의식 속에서 이루어지는 강력한 각인은 그들이 어떤 문화에서 성장하고 있느냐에 따라 결정된다. 미국의 어린이는 미국이라는 환경에서 가장 활발한 학습 기간을 보내며, 이 학습기간에 형성된 정신구조가 잠재의식을 지배하게 된다. 그리고 당연히 이 어린이는 미국인으로 자라난다. 
이것이 바로 문화가 다르면 동일한 사물에도 서로 다르게 반응하는 이유다. 43

독특한 방식으로 우리 각자를 자신이 속한 문화에 의존하게 하는 이 제3의 무의식은 바로 '문화적 무의식'이다. 이러한 문화적 무의식은 또한 모든 문화에는 독자적인 정신적 경향이 있음을, 즉 프랑스인에게는 프랑스의 정신이 미국인에게는 미국의 정신이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 정신적 경향에 따라서 자신의 정체성을 알게 된다. 49

문화는 시간이 흐르면서 창조되고 발전해가지만 변화의 속도는 더디다. 문화는 여러 세대 동안 의미 있는 변화를 겪지 않을 수도 있다. 문화가 정말로 변화할 때, 그 변화는 우리의 뇌처럼 강력한 각인 장치를 통해 일어난다. 이러한 강력한 각인을 통해 문화의 준거 체계가 바뀌며, 그 의미는 다음 세대로 전달된다. 52

"기상천회하고, 우리와 전혀 다르고, 사람들이 이해하지 못하는 심오한 현실을 사는 창조적인 예술가들은 그들의 능력과 천재적 재능에 대해 찬사와 보살핌, 인정을 받을 자격이 있다. 다양성 만세!" 57

청년기적 경험의 가장 중요한 요소는 순수성의 상실일 것이다. 모든 젊은이들은 자신의 이상이 한때 생각했던 것처럼 그리 찬란하지 않다는 사실을 언젠가는 깨닫는다. 이런 깨달음은 보통 새로운 성숙으로 이어지고 현실에 대처하는 새로운 수단을 얻게 해준다. 그러나 이러한 깨달음은 환멸감과 함께 찾아오는 경우가 많다. 63

성형수술과 지방흡입, 치아표백과 교정, 끊임없는 운동 등으로 타고난 외모를 바꾸려고 애쓰는 미국 여자들과는 달리, 프랑스 여자들은 타고난 외모 그대로를 돋보이게 하려고 애쓴다. 이들은 화장을 전혀 안한 것처럼 보이려고 거울 앞에서 두 시간씩 보낸다. 프랑스 여자들의 목표는 되도록 자신의 매력에 무관심한 것처럼 보이는 것이다. 69

감정은 학습의 열쇠다. 각인을 일으키는 감정이 부정적일 때, 그 각인도 부정적일 가능성이 높다. 미국 사회 전반에는 유혹의 개념에 관한 부정적인 각인이 있다. 미국인은 유혹을 생각할 때 하고 싶지 않거나 해서는 안 될 일을 강요받는 것을 떠올린다. 유혹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조종(MANIPULATION)'이다. 76

삶은 곧 긴장이다. 우리가 삶에서 경험하는 모든 것은 양극단 사이를 잇눈 축선 위의 한 지점에 놓여 있다. 사람은 쾌락을 알면 반드시 고통도 알게 된다. 기쁨을 느끼면 슬픔도 느끼게 되는것이 당연한 이치다. 우리가 하나의 경험을 어느 정도로 느끼는가는 그 경험이 축선 위의 어느 지점에 있는가에 달렸다. 가학, 피학성 변태성욕자라면 다 알겠지만, 우리 뇌에 고통을 전달하는 체계는 동시에 쾌감도 전달한다. 
이러한 긴장들이 바로 문화를 규정한다. 문화는 수많은 원형들, 그리고 각 원형과 그 반대의 원형 사이에 존재하는 긴장으로 이루어진다. 86

한 남자가 단순히 한 여자를 떠받드는 것으로 그치지 않고 그녀의 아름다움까지 알아보게 된다면, 그리고 그녀의 육체적인 화려함만을 찬양하지 않는다면, 그의 영혼은 한 단계 더 고양된다. 여자가 남자에게 자신의 아름다움을 영원히 각인 시킬 수 있다면, 여자가 남자에게 자신의 아름다움을 영원히 각인시킬 수 있다면, 여자가 남자의 눈에 늘 아름답게 보일 수 있다면 그녀는 남자를 더 훌륭한 인물로 만들 수 있다. 그녀는 남자에게 시각적인 즐거움을 주는 이상의 보다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즉 남자를 발정한 동물에서 더욱 고상한 존재로 향상시키고 있는 것이다. 94

비만이 해롭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왜 이처럼 비만에서 벗어나는 것이 어려운 걸까? 비만은 문제가 아니고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심리학자들은 오래전부터 비만이 문제라기보다 해결책의 하나라는 사실을 알고 있었다. 100

긴장은 늘 있기 마련이다. 우리는 비만에 대해 뼈대가 크다거나 신진대사가 느리기 때문이라고 변명할지도 모른다. 또한 '아랫배 군살'이라거나 참된 아름다움은 '내면에 있다'는 따위의 구실을 댈지도 모른다. 하지만 체중과 씨름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어떤 관계와-사랑하는 사람, 스스로의 역할, 생존 경쟁 등과 - 씨름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그러니까 비만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도피(CHECKING OUT)'다. 105

비만해지는 것은 생존 경쟁을 피하고, 싸우지 않고도 강한 개성을 얻고 (뚱뚱이라는), 적극적인 태도에서 수동적인 태도로 돌아서기 위해 무의식이 가장 일반적으로 이용하는 방법이다. 비만해지면 우리가 어떤 사람인지(뚱보), 왜 이런 일이 일어났는지 (우리에게 '강요된' 식품 과잉 섭취), 누구에게 책임이 있는지 (우리에게 패스트푸드를 먹게한 맥도널드나 다른 간이 음식점들), 우리의 정체가 무엇인지(희생자) 알 수 있다. 106

우리는 스트레스를 받거나, 우울하거나, 사람들에게 치일 때 과식하게 된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스트레스가 도피의 원인이 된다는 사실을 이해하면 근본적인 문제에 더욱 관심을 기울일 수 있다. 과식으로 문제가 해소되는가? 비만해지면 문제의 원인이 된 상황으로부터 벗어나게 되는가? 예컨대 이성에게 매력을 잃게 되거나 승진에 적합하지 않는 '인물 유형'으로 변하면 문제가 해결되는가? 여러분은 진실로 이런 해결책을 원하는가? 108

인간에게는 '좋은 감정을 느끼는 것'이나 '올바로 이해하는 것'보다는 '살아남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따라서 삶의 대부분을 지배하는 것은 바로 파충류 뇌다. 파충류 뇌는 대뇌피질, 대뇌변연계와의 싸움에서 언제나 승리한다. 본능, 논리, 감정과의 싸움에서 늘 승리하는 것은 본능이다. 이는 개인의 행복과 인간관계, 구매 결정, 심지어 지도자 선택의 문제를 다룰 때도 마찬가지다. 

문화 역시 생존의 차원에서 변화하고 발전한다. 문화는 우리가 한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이어지는 데 필요한 일종의 생존 수단이다. 114

미국인은 행동파다. 미국의 위대한 철학자(?)인 나이키의 표현을 빌리자면, 미국의 아젠다는 "일단 해보라(Just do it)."라는 말로 요약할 수 있다. 미국에서는 운동선수, 기업가, 경찰관, 군인이 찬양을 받으며, 이들은 모두 행동하는 사람들이다. 미국인 역시 위대한 사상가를 존경하지만, 행동하는 인물들에게 보내는 찬양만큼은 아니다. 117

병원에 대한 미국인의 태도를 이해하기 위한 열쇠는 바로 '활동'이다. 의사와 간호사들은 우리를 다시 활동할 수 있게 해주고, 그래서 그들을 좋아한다. 반면에 병원은 우리를 꼼짝 못하게 속박하기 때문에 무시무시한 생각밖에 안 든다. 128

코드라는 새로운 안경은 건강과 관련된 사업을 하거나 관련 제품에 대한 마케팅을 펼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하나의 통찰력을 제공한다. 그거은 바로 운동성이나 기동성과 관련이 있다. 즉 건강과 관련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려면 가능한 한 사람들의 활동을 촉진할 수 있는 제품을 내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바로 건강에 대한 코드에 부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128

미국인이 젊음에 그토록 매혹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한가지 이유는 미국이 이주민들로 가득 찬 문화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주민들은 미국으로 와서 과거와 단절하고 새롭게 출발한다. 이주민들은 새로운 꿈과 새로운 일거리를 가지고 다시 태어난다. 미국은 많은 수의 이주민들을 계속 받아들이기 때문에 미국 문화에는 여전히 갱신과 재창조 의식이 살아 있다. 이런 상황이 미국을 늘 젊게 만든다. 또한 미국은 청년기적 문화를 갖고 있으므로 60대가 되어도 청년과 같은 사고방식으 지니고 있기 쉽다. 미국 문화는 성장하기를 바라지 않으며 성인기에 정착하려 하지 않는다. 131

미국인에게 젊음은 인생의 한 단계가 아니라 가장할 수 있는 어떤것, 실제 나이를 감출 수 있는 어떤 것이다.젊음에 대한 미국으니의 코드는 '가면(MASK)'이다. 134

코드를 이해하게 되면 우리는 여기서 한 거음 물러서서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을 던져볼 수 있다. 나는 정말 가면을 쓴 채 인생을 마감하고 싶은가? 가면을 벗으면 어떤 일이 일어날까? 나는 성숙을 받아들이고 탐구하기보다 계속해서 젊음에 매달림으로써 무엇인가를 잃고 있는 것은 아닐까? 그 답은 충분히 예측할 수 있다. 가면을 씀으로써 우리는 거울에 비친 새로운 모습을 볼 수도 있겠지만, 그것은 아주 잠시일 뿐이다. 140

모든 종(種)은 유전자 구조로 구별된다. 나는 이를 생물학적 체계 (biological scheme)라고 부른다. 그리고 모든 문화에는 생물학적 체계의 연장인 문화적 체계가 있다. 생물학적 체계가 어떤 필요성을 확인하면 문화적 체계는 특정한 문화의 범위 안에서 그 필요성을 해석한다. 142

일단 생물학적 요구가 충족되면 문화적 체계가 문화 안에서 진화해갈 수 있다. 144

미국인들이 가정에 이토록 중요한 의미를 두는 데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다. 미국은 이 나라에 와서 새로 가정을 이룬 사람들이 세웠다. 그들이 미국에 처음 왔을 때는 집도, 도로도, 가정도 없었다. 그들 대부분은 고향으로 돌아갈 수도 없었다. 정치적 이유 때문이든, 돈 때문이든, 아니면 식량 때문이든, 그들은 떠나온 곳으로 다시 돌아갈 수 없었다. 그들에 이어 물밀듯이 들어온 이주민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이들은 신세계에서 새로운 출발의 기회를 얻기 위해 기존의 모든 소유물을 포기한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익숙한 생활을 모두 버리고 미국으로 왔다. 이런 과정에서 가정은 그들 자신뿐 아니라 그들이 이루어낸 문화 전체에 대단히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되었다. 147

가정은 어떤 일을 되풀이할 수 있고, 아무것도 예측할수 없는 외부 세계와 달리 결과를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장소다. 가정은 어떤 일은 반복하면 의미가 더해지는 장소다. 이것이 미국 문화에서 귀향이 그토록 중요한 이유이고, 군대나 위험에 처한 우주비행사들을 귀환시키는 일을 생각할 때 그토록 강한 감정적 반응을 보이는 이유다. 152

미국에서 저녁식사는 하나의 중요한 의식이다. 1년 중 가장 규모가 큰 저녁식사인 추수감사절 만찬은 미국 문화의 출발을 기념하는 의식이기도 하다. 미국인들은 풍성한 가족 만찬으로 축제일과 생일을 기념하며, 축하 식사는 승진이나 좋은 성적표처럼 성취를 기리는 가장 일반적인 방식의 하나다. 157

사람에게는 은신처가 필요하고, 또한 먹어야만 살 수 있다. 미국인은 이러한 기본적인 욕구를 한 차원 높여서 가정을 만들었고, 또한 저녁식사를 중요한 가족 행사로 만들었다. 가정을 생각할 때 맨 처음 떠오르는 이미지는 대부분 풍성한 가족 식사다. 부모를 만나러 집으로 가는 행위는 가족들과 함께 식사하는 모습을 연상시킨다. 저녁식사를 하나의 '의식'으로 만든 것이 가정에 대한 코드와 잘 맞는것처럼, 좀더 가정적인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것도 저녁식사에 대한 코드와 잘 맞는다. 비록 요즘엔 워낙 분주하게 살다 보니 저녁 식탁이 대부분 인스턴트 식품으로 차려지고 있긴 하지만 말이다. 168

미국 문화에서 "무엇을 하십니까?" 하고 묻는 방식에는 깨달음을 주는 매우 강한 무언가가 있다. "당신의 목표가 무엇입니까?" 하고 묻는 또 하나의 방식이기 때문이다. 170

직업이 있으면 사람들과 친해지거나, 아이들에게 자극을 주거나, 가족을 부양하거나, 미래를 설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된다. 직업이 있으면 여왕이 된 기분을 느낄 수도 있고, 중요한 인물이 되거나, 이미 성공한 듯한 기분을 느낄 수도 있다. 그리고 그 직업만이 전부인 것처럼 느낄 수도 있고, 실직을 하면 아무것도 할 일이 없는 듯한 기분이 들 수도 있다. 175

미국인들에게 직업이란 단지 생계를 꾸리기 위해 의무적을 해내야 하는 일이 아니다. 자신의 직업이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그 일에는 훨씬 강력한 차원, 즉 삶을 규정하는 차원이 있었다. 직업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정체성 (WHO YOU ARE)'이다. 

코드라는 새 안경을 쓰면 "직업이 무엇입니까?"라는 질문은 더 깊은 의미를 지니게 된다. 본질적으로 누군가에게 직업이 무엇이냐는 질문을 던질 때, 우리는 그가 어떤 사람인가를 묻는 것이다. 미국인들은 사람이 직업을 통해 하는 일이 곧 그 사람임을 굳게 믿고 있다. 175

직업이 의미하는 바가 '정체성'이라면, 미국인이 직업에서 그토록 많은 의미를 찾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자신의 직업을 무의미하게 느낀다면 '정체성'도 무의미해진다. 그러나 자신의 직업에 고무되어 있다면, 그리고 자신의 직업이 진정한 가치가 있는 일이며 그 직업을 통해 스스로 무엇인가 가치 있는 일을 하고 있다고 믿는다면, 그런 믿음은 자신의 정체성을 좀더 분명하게 느끼도록 해준다. 그리고 이것은 경영자들이 직원들에게 지속적으로 만족감을 주고 동기를 부여해야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가 되기도 한다. 176

미국인이 이토록 열심히 일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그것은 무의식적으로 직업과 정체성을 동일시할 뿐만 아니라 열심히 일해서 지위가 높아지면 더 나은 사람이 된다고 믿기 때문이다. 178

코드라는 새로운 안경을 쓰면 미국인이 크게 성공한 기업인들을 찬양하는 이유를 이해하게 된다. 사람들은 빌 게이츠가 차고에서 열심히 연구하고, 위대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내고, 결국 세계 최대의 부자가 되었다는 이야기를 좋아한다. 왜 그럴까? 그것은 자신도 빌 게이츠처럼 정체성을 발전시켜갈 수 있으리란 생각을 강화시켜주기 때문이다. 자수성가한 억만장자가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이유는 그들의 이야기가 우리 모두 적성에 맞는 일을 찾아 열심히 일하기만 한다면 비범한 인물이 될 수 있음을 입증해주기 때문이다. 179

미국인들이 기업가를 옹호하는 까닭은 그들이야말로 가정 적극적으로 정체성을 추구하는 사람들이기 때문이다. 그들은 누군가가 바람직한 인물상을 제시해주기를 기다리지 않고, 오히려 자신이 바람직하다고 믿는 인물이 되기 위해 과감하게 모험을 한다. 

기업가들이 사람들에게 감화를 주는 것은 정체성 발전을 향한 길을 그들 스스로 정하기 때문이다. 180

미국인은 자신이 훌륭한 사람이며 참된 가치를 갖고 있다는 사실을 과시하기 위해 돈에 의지한다. 186

빌 게이츠가 영국 여왕보다 돈이 많다는 사실에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까닭은 그가 그 재산을 혼자 힘으로 이루어냈기 때문이다. 189

유럽의 여러 문화는 돈과 그 기능에 관한 견해가 다르다. 유럽 문화에서 막대한 재산을 모은 사람은 일정한 때가 되면 비즈니스를 접고 개인적인 생활로 돌아간다. 반면에 미국인들은 자신의 능력이 언제까지나 변함없다고 믿으며, 수십억 달러를 번 뒤에도 자신이 얼마나 유능한지를 입증하기 위해 수십억을 더 벌려고 한다. 190

프랑스의 우아한 만찬회에서 오고가는 대화 주제는 대게 섹스다. 프랑스인들은 손님을 접대하면서 성교의 체위와 상대가 여럿인 성생활, 여성의 다양한 속옷을 주제로 대화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러나 돈을 주제로 삼는 것은 천박하게 여기며, 누가 돈을 얼마나 많이 벌었는지 또는 어떤 물건을 얼마에 샀는지 따위를 묻는 것은 대단히 무례한 것으로 받아들인다. 물론 미국에서는 저녁식사 시간에 섹스를 대화의 주제로 삼는 것은 질겁하지만, 돈 이야기라면 밤새도록 해도 괜찮다. 이렇듯 코드가 다르면 행동도 달라지는 것이다. 191

우리가 진실로 원하는 것은 직업을 통해 정체성을 확인하는 것이며, 또한 스스로의 능력을 입증함으로써 성공에 대한 구체적인 증거를 얻는 것이다. 194

미국인은 일본인과 전혀 다른 방식으로 품질이라는 개념을 각인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실제로 미국인의 경우 품질에 관한 최초의 각인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무엇인가가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 각인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게임기가 망가지고, 컴퓨터가 먹통이 되고, 접시 닦는 기계가 자주 고장나는 바람에 수리공이 뻔질나게 들락거릴 때다. 품질에 관한 미국인의 긍정적인 각인은 화려한 디자인이나 탁월한 성능보다 기본적인 기능에 한정되어 있다. 리모컨은 장소의 제약은 있지만 적어도 채널을 바꿀 수 있다. 시계 라디오는 라디오의 기능은 썩 훌륭하지 않지만 시간은 정확하게 알려준다. 그리고 자동차는 사치스러운 장식은 없지만 계속 굴러간다. 199

품질에 관한 각인 발견 작업 과정에서 나온 이러한 이야기들과 그밖의 다양한 이야기들을 보면 미국인이 생각하는 품질의 의미는 일본인과 다르며 차원이 더 낮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품질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작동한다(IT WORKS)'이다. 200

신세계에 도착했을 때 미국인들에게는 상황에 대처하는 법을 가르쳐주는 안내서가 없었다. 모든 것을 스스로 배워야 했고, 그들이 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 즉 시행착오를 통해 배워나갔다. 시행착오를 통해 얻은 지식으로 그들은 살아남을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크게 성공해 강대국으로 성장할 수 있었다. 그리고 바닥에서 일어나 두 번, 세 번 더 나은 성공을 거둘 수 있는 능력에 대해 보상을 받았다. 
도전하고, 실패하고, 실수를 통해 배우고, 그리고 더욱 강해져서 돌아도는 것이 미국인의 본질이다. 202

그렇다면 미국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회사의 입장에서는 품질에 대한 코드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활용해야 할까? 가장 중요한 메시지는 미국인은 기능성을 중시한다는 점이다. 그렇다고 해서 특수 기능을 좋아하는 것은 아니다. 미국인은 사진을 찍고, 음악을 들려주며, 텔레비전 동영상을 내려 받을 수 있게 해주는 휴대전화기보다 통화중에 제대로 작동하는 휴대전화기를 훨씬 더 좋아한다. 그리고 직장이나 슈퍼마켓, 축구 연습장에 안전하게 데려다주는 자동차를, 모퉁이를 부드럽게 돌거나 비를 감지하는 유리닦이가 장착된 자동차보다 춸씬 더 가치 있게 본다. 206

미국인은 완벽함과 죽음을 동일시하기 때문에 아무에게도 완벽한 제품을 기대하지 않는다. 그러면서도 제품에 문제가 생기면 즉시 해결되어 번거로움이 최소화되기를 기대한다. 그것은 품질에 대한 코드가 '작동하다'이기 때문이다. 미국인들은 완벽함보다 훌륭한 서비스에 훨씬 더 민감하게 반응한다. 208

미국인은 품질을 중시하지 않는다. 제대로 작동하는 제품을 원한다. 완벽함을 믿지 않기 때문에 무결점이라는 생각은 환상이라고 본다. 일본인에게는 생존 도구의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는 사고방식이 미국의 코드와는 전혀 맞지 않는 것이다. 210 

미국에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음식 - 고기와 생선, 채소, 죽, 때로는 과일과 치즈까지-을 한 접시에 담는다. 그렇게 하는 것이 음식을 차리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 때문이다. 프랑스에서는 음식 종류마다 각기 다른 접시들을 써서 음식 맛이 뒤섞이지 않게 하고, 손님이 준비된 요리들을 따로따로 즐길 수 있게 한다. 미국인들은 어떤 음식이든 풍부한 양을 좋아하며, 차려진 음식을 남김없이 먹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프랑스 음식은 1인분의 양이 매우 적은데도 저녁식사가 끝났을 때 접시나 포도주잔이 비어 있으면 천박하게 여긴다. 미국인들은 식사가 끝나면 "배가 부르다."고 말하고 프랑스인들은 "맛있었다."고 말한다. 213

미국에서 음식은 '안전한 섹스'다. 무의식적으로는 섹스를 부정적으로 생각하지만, 쾌락을 위해 몸에 음식을 집어넣는 것은 일반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행위로 여긴다. 아마 이것이 수많은 사람들이 자주 폭식하는 이유일 것이다. 215

음식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연료(FUEL)'다. 218

미국인들이 음식을 다 먹고 나서 "배가 찼다."고 말하는 까닭은 무의식적으로 음식 먹는 것을 연료 공급으로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들의 사명은 자신의 연료통을 가득 채우는 일이므로, 그 일이 완료되면 임무를 완수했다고 알리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미국 어디에서나 고속도로에서 주유소와 음식점을 겸한 휴게실을 찾아볼 수 있다는 것이다. 218

흥미로운 사실은 미국인은 연료의 품질에는 별로 관심이 없어 보인다는 점이다. 건강에 관한 많은 경고가 있지만 미국인은 패스트푸드를 즐긴다. 219

맛이나 영양가에 관해 어떻게 느끼든 패스트푸드는 확실히 음식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와 맞는다. 패스트푸드점은 사람들의 배를 빨리채워준다. 음식을 기다릴 필요도 없고 연료가 채워지면 계속 다른 일을 하러 갈 수 있다. 이런 점이 당장 모든 것을 가지려는 미국인의 청년기적 용망뿐만 아니라 활동 욕구도 채워준다. 220

다른 여러 문화에서는 음식은 도구가 아니라 세련됨을 경험하는 수단이다. 프랑스에서는 음식을 먹는 목적이 쾌락이며, 가정에서 만든 음식도 손님들이 오랜 시간 감상하는 훌륭한 요리가 된다. 프랑스 레스토랑의 요리는 많은 연주자들 (요리사와 웨이터, 포도주 담당자, 지배인)이 도잇에 연주하는 예술성 높은 교향악이다. 실제로 프랑스인들은 훌륭한 요리사와 교향악단의 지휘자에게 모두 셰프(chef)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일본에서 요리를 마련하고 즐기는 것은 완벽함에 접근하는 수단이다. 스시 요리사들은 생선을 완벽한 솜씨로 저며야 뛰어난 맛과 씹히는 느낌을 준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칼 다루는 법을 혹독하게 연마한다. 일본인들은 최고의 스시 요리사를 장인-최고 수준의 예술가-으로 여긴다. 221
 
어릴 때 술 마시는 것이 금지되고 "술은 몸에 나쁘다."는 사실밖에는 배운 것이 별로 없는 미국인들은 결국 반항기에 술을 각인하게 된다. 그들은 술을 마실 기회가 생기면, 술이 주는 쾌감이나 신비로움, 음식 맛을 돋우는 역할 따위는 전혀 모른 채 취하는 성질이 있다는 사실만 발견하게 된다. 그들에게 술의 맛은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것은 취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는 점뿐이다. 게다가 부모가 술 마시는 것을 원하지 않기 때문에, 그들이 술에 취하는 것은 곧 반항을 의미하기도 한다. 224

술은 삶을 변모시키고 상황을 변화시키는 능력과 함께 매우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들에게 술은 참혹한 기분이 들게 하고, 죽을 것 같게 만들고, 곧 몽에 변화가 오게 하고, 그 자리에서 주저앉게 하고, 근심을 앚게하고, 용기를 되찾게 해주는 멋진 약이 될 수 있는 어떤 것이다. 술은 연료 이상이며, 매우 강력하고 즉각적이며 극단적인 무엇이다. 술에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권총(GUN)'이다. 228

술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를 알면 10대들이 술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10대에 특히 위함한 장난에 매력을 느끼는 이유는 무적의 존재가 된 기분이 들기 때문이다. 권총을 가지고 노는 것보다 무적의 힘을 더욱 멋지게 입증할 수 있는 방법이 무엇이겠는가? 229

명분은 놀리적이고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으므로 자신이 하는 일에 안도감을 갖게 해준다. 234

쇼핑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세상과의 재결합(RECONNECTING WITH LIFE)'이다. 이것이 '물건을 사기 위해서'라는 명분 뒤에 있는 진정한 메시지다. 그렇다. 사람들은 물건이 필요해서 쇼핑을 하지만, 쇼핑은 물질적인 필요를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그치지 않는다. 이는 사회적 경험이다. 가정에서 나와 세상 속으로 들어가는 방법이다. 쇼핑은 친구 혹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다.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 텔레비전에서 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사-새로운 제품과 새로운 스타일, 새로운 유행 등-를 배우는 방법이다. 쇼핑하러가면 온 세상이 거기에 있는 것처럼 보인다. 238

쇼핑은 삶을 확인하는 신기한 경험이지만, 구매는 매우 다른 무의식적인 메시지를 전한다. 특히 여성들에게 그렇다. 구매는 쇼핑의 끝, 즉 세상과의 관계를 끝내고 다시 집으로 돌아가는 순간을 의미한다. 쇼핑하는 동안은 무수한 선택이 가능하지만 구매할 때는 선택이 하나로 좁혀진다. 나는 아내가 세 시간씩 쇼핑을 하고, 물건을 수십가지나 고르고, 그러다가 결국 아무것도 사지 않는 모습을 보고 놀랍고 실망스러웠다. 그러나 코드라는 새 안경을 쓰고 보면 이런 모습을 충분히 이해하게 된다. 아내는 상품이 아니라 세상과의 재결합을 추구한 것이며, 물건을 구매하지 않기로 결정한 것은 나중에 다시 쇼핑을 가기 위한 명분-그 제품이 여전히 필요하다는-을 그대로 남기기 위한 행위였다. 240

나는 쇼핑에 대한 프랑스인의 코드는 '자신의 문화 배우기(LEARNING YOUR CULTURE)'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프랑스인은 쇼핑을 자손들에게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적인 경험으로 본다. 어머니는 딸을 데리고 쇼핑하러 가서 물건 사는 법을 가르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문화가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가르친다. 
프랑스인의 쇼핑 경험에서 중요한 대목은 "그래서는 안된다."이다. 프랑스 여자들은 어머니나 할머니와 함께 쇼핑을 함으로써 생활규범을 배우고, 그러는 동안 변화에 적응하게 된다. 쇼핑이 '문화를 가르치는 학교'의 역할을 하는 셈이다. 242

쇼핑의 경험을 즐겨라. 삶을 다시 회복하라. 마음에 드는 물건이 없으면 아무것도 사지 않아도 괜찮다. 여러분은 항상 다시 쇼핑을 나갈 수 있는 명분을 댈 수 있을 것이다. 243
 
미국에는 귀족계급이 없다. 사회적을 지위를 나타내는 칭호도 없다. 귀족제도는 예나 지금이나 미국적인 방식이 아니다. 그러나 미국에는 대단히 강한 근면성과 성공하려는 치열한 열정이 있으며, 청년기적 문화의 특성으로 사람들에게 자신이 이룬 것을 알리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가 있다. 미국에서는 아무리 이름을 날려도 기사 작위같은 것은 주지 않으므로, 세상에 계급을 나타낼 다른 수단이 필요하다. 또한 미국인들은 성장에는 끝이 없다고 믿고 있으므로, 계습은 여러 단계로 이루어져서 업적이 클수록 높이 올라가야 한다. 미국 사회에서 계급을 나타내는 방법은 사치룸을 소유하는 것이다. 사치품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군대 계급장(MILITARY STRIPES)'이다. 247

미국인들은 무의식적으로 훌륭한 사람이 성공하며, 그 성공은 하나님이 주는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성공은 하나님에게 사랑을 받았다는 증거다. 248

명분은 타당하게 보일 때만 효과가 있다. 어쨌든 명분은 사람들이 하고 싶은 일을 할 수 있도록 휼륭한 이유를 젝동해준다. 세상 사람들과 재결합할 수 있게 해주고 계급장을 과시할 수도 있게 해준다. 254

공교롭게도 프랑스의 강한 반미주의 감정은 (그리고 조지 부시에 대한 증오는) 두 나라의 코드 대립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조지 부시는 전형적인 미국 지도자다. 그는 경솔하고, 청년기적인 성향이 강하며, 교양도 부족하다. 그는 총을 먼저 쏜 다음 질문을 던지는 행동파이며, 일을 처음부터 제대로 해야 한다는 데는 관심이 없다. 한편 프랑스인들은 사색가형이다. 그들은 지성과 이성으로만 중요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믿는다. 달리 말해 조지 부시는 무의식적인 차원에서 프랑스인을 지배하는 모든 원리와 정반대되는 인물이다. 따라서 현재 프랑스와 미국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가장 좋지 않는 상태라는 것은 전혀 이상한 일이 아니다. 257

각인 발견 작업에서 거듭 나타난 주제는 어린이들에 대한 미국인의 친절이었다. 세계 어린이들을 대하는 미국인의 태도는 독일은들을 감동시킨다. 독일인은 미국인에 대해 해방자이며 인정 많은 카우보이로 각인하고 있다. 독일인의 미국에 대한 코드는 '존 웨인(JOHN WAYNE)'이다. 262

세계 시장에서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하나의 제품을 위한 전략 안에서 여러 가지 코드를 한꺼번에 아룰 수 있어야 한다. 268

미국의 지도자는 반란을 이끄는 사람이다. 이런한 지도자는 건강과 활동을 동일시하는 문화에서는 필수적이다. 미국인들은 변화하고, 전진하고, 재창조하는 과정을 지도할 수 있는 대통력을 원한다. 대통령은 무엇이 망가졌는지 알아야 하고 그것을 고치는 방법도 알아야 한다. 그리고 문제에 맞서 싸워야 한다. 반란의 본질은 변화하는 것이다. 미국인들은 이 점을 가장 잘 이해하는 대통력을 선출하는 경향이 있다. 275

미국인은 연설로 대중의 관심을 끌 수 있는 훌륭한 비전을 갖춘 인물을 원한다. 국가를 보살필 수 있는 파출류 뇌가 강한 인물을 원하고, 문제점과 그 문제점을 바로잡는 방법을 알고 국민들로 하여금 문제에 맞서 싸우게하고, 국민을 약속된 땅으로 인도할 수 있는 인물을 원한다. 미국인으 아버지와 같은 인물을 원하지 않는다. 성서적 인물을 원한다. 미국 대통력에 대한 미국인의 코드는 '모세(MOSES)'다. 279

미국인들에게 대통령은 '최고의 연예인'이라는 의식이 있다. 대통령의 일차적 임무는 국민을 격려하고, 용기를 북돋워주며, 계속 생산적으로 활동하게 하는 것이다. 미국의 원형에 깊이 공감하는 대통력이야 말로 가장 뛰어난 연예인이다. 283

미국인은 미국을 어떻게 생각할까? 미국인은 스스로를 '새롭다(new)'고 생각한다. 물론 청년기에 속한 미국인은 새로울 것이다. 미국에는 숲과 대협곡을 빼면 오래된 것이 없다. 미국인은 늘 무엇인가를 건설하고 깅신하며, 보존하는 것보다는 부수는 것을 더 좋아한다. 286

미국에 대한 미국인의 문화 코드는 '꿈(DREAM)'이다. 꿈은 맨 처음부터 미국 문화를 움직여온 동력이었다. 신세계를 발견한 탐험가들의 꿈, 서부를 개발한 개척작들의 꿈, 새로운 연합국가를 상상한 건국의 아버지들의 꿈, 산업혁명을 이루어낸 기업가들의 꿈, 희망의 땅을 찾아온 이주민들의 꿈, 달에 안착한 새로운 참험가들의 꿈 등 미국 헌법은 더 나은 사회를 위한 꿈의 표현이다. 291
IP *.123.110.13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52 [20] 다이앤 애커먼의 <천개의 사랑> -저자 및 내가 저자라면 [1] 먼별이 2009.09.06 2226
3551 '프로페셔널의 조건' - 피터 드러커 [1] 희산 2009.10.13 2226
3550 27. 경영의 미래(두번째), 게리 해멀 강훈 2011.10.31 2226
3549 철학 이야기_구해언 어니언 2014.06.17 2226
3548 열정과 기질_8-2 [4] 개구쟁이 2008.06.10 2227
3547 북리뷰32-서양철학사 [2] 박경숙 2010.10.31 2227
3546 거대한 미래지도 [2] 한명석 2006.10.30 2228
3545 미완의 시대(에릭홉스봄의 자서전) [2] 강종출 2007.03.11 2228
3544 당나귀 인생을 치료하다. [3] 余海 송창용 2007.03.30 2228
3543 코끼리와 벼룩 - 찰스 핸디 혁산 2009.10.26 2228
3542 <갈림길에서 삶을 묻다> 윌리암 브리지스 file 최재용 2013.10.13 2228
3541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 삶을 '의도대로' 살게 하는 부추김 file [1] 보따리아 2017.12.30 2228
3540 북리뷰 42. 신화의 힘_조셉 캠벨(심층 읽기) 박상현 2011.01.10 2229
3539 <한승원의 글쓰기 비법 108가지> file 제이와이 2014.02.04 2230
3538 아니타 로딕의 남다른 비지니스 [1] 김귀자 2006.04.03 2231
3537 1. <신화와 인생> 조셉캠벨 미나 2011.04.03 2231
3536 [01]신화의 세계 - 조셉 캠벨 [4] 양재우 2008.04.08 2232
3535 '미래의 물결' - 자크 아탈리 [1] 희산 2010.03.29 2232
3534 북리뷰 11. 역사 속의 영웅들(Heroes of History)_윌 듀런트 박상현 2010.05.17 2232
3533 [36] 국화와 칼 /루스 베네딕트(수정) [1] 한정화 2007.12.14 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