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 신재동
  • 조회 수 5083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08년 12월 11일 23시 34분 등록
아주 오래 전, 막연하지만 책을 한번 써보고 싶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있었다. 나의 삶이 다른 사람들에게 내보일만큼 훌륭한 것도 아니었고 그렇다고 파란만장한 경험을 한 것은 아니었다. 다만 나의 일대기를 혹은 나의 일상을 정리해보면 그 나름대로 의미가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었다. 그렇게 막연하고 미약했지만 내게는 책을 쓰고 싶은 욕구가 잠재해 있었다.
 
그러던 중, 실제로 책을 써내기 좋은 기회가 찾아왔다. 3년전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으로 뽑혔고 자신의 이름으로 된 책을 출간하라는 과제가 주어졌다. 1년간의 연구원 활동 끝에 많은 연구원들이 자신의 이름으로 쓰여진 책을 발간 했지만 천성이 게을러서 그런지 나는 아직까지 책을 쓰지 못하고 있다.
 
책을 함께 쓴 두 저자와는 잘 아는 사이다. 작년에 두 사람 모두 각자 자신의 이름을 책을 출간했다. 평범한 직장인에서 저술가라는 새로운 호칭을 부여받는 모습은 주위 사람들에게 귀감이 되기에 충분했다. 내심 어떤 과정을 거쳐 책을 내게 되었는지 궁금하기도 했지만 대화를 통해서 그 과정을 전해 듣기에는 시간도 부족했지만 막상 들어도 느낌이 잘 전해지지 않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던 중 두 사람이 함께 자신들 첫 번째 책의 저술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책쓰기 노하우에 관한 글을 쓴다는 얘기를 들었고 또 한번의 결실을 맺어냈다.저자의 배려로 초고도 읽어 보았고 책으로 출간된 글도 다시 한번 읽어 보았다.
 
책 내용은 책을 왜 써야 하는지와 책에 대한 구상, 글을 쓰는 자세,기획, 출판사 선정 등 실제로 책을 내는 상황에서 겪을 수 있는 모든 과정을 총 망라해 서술해 놓았다. 아무래도 아직 본격적으로 출판계획을 잡지 않은 상황에서 집필이나 출판사 컨택 등의 내용을 담은 책의 뒷부분보다는 구상과 기초 다지기 등을 언급해 놓은 책의 앞부분에 더 관심이 끌렸다.
 
특히 글을 쓰기 전 의식을 만들어 보라는 제안은 좀 특별하게 다가 왔고 주제 선정에 필요한 경구 (쓰고 싶은가, 쓸 수 있는가, 써야만 하는가) 도 내가 쓰고자 하는 책의 전반적인 주제를 잡을 때 유용한 도구가 될 것 같다.
 
무엇보다도 직장인으로서 근무 시간 외의 개인시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해가며 공동 작품을 만들었다는 데에 큰 점수를 주고 싶다.
 
그들은 직장에서 한가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이 절대 아니다. 다만 자신의 삶과 자신의 일을 사랑하는 사람들이며 그것이 책이라는 결실로 나타난 것이라고 생각한다.
IP *.142.182.240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08.12.14 20:28:49 *.209.32.129
나는 연구소 안에서 '동반성장'이 가능하다는 것에 주목하고 싶어요.

10년 전에는 운전하는 여자가 희귀했지만,
지금은 운전하지 않는 여자가 희귀한 것처럼,
주위의 많은 사람이 하고 있는 일에는
도전하고 성취할 수 있는 분위기가 무르익는 것이지요.

앞서가는 연구원들 덕분에 속속 노하우가 쌓이고
북페어 등으로 기회가 확장되고,
서로 격려하고 자극을 주는 분위기 속에
연구소가 어디까지 나아갈 지 정말 흥미진진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8.12.15 10:09:41 *.232.127.164
재동 형, 언젠가 우리도 따듯한 책 한 권을 같이 쓰게 되겠지?
우린 좋은 책을 쓸 수 있을 거야.
난 자신있어.
이 책을 쓴 경험이 날 도와줄거야.
형, 형도 쓰고 싶다면 계속 써.
그게 책이든 뭐든 써둔 것은 잊혀지지 않고
언젠가 자신을 도와주니까.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804
258 [책읽기 세상읽기] 나무야 나무야 [2] 2010.04.02 5033
257 [북] 뼛속까지 내려가서 써라 - 나탈리 골드버그 - 인생... [1] 하모니 리더십 2010.11.19 5033
256 THE BOSS- 쿨한 동행 [3] 박안나 2009.02.14 5046
255 [10기 4주차 레이스] 괴테와의 대화 file [1] 녕이~ 2014.03.03 5047
254 <9기 레이스 북리뷰 3주차 - 닥터 노먼 베쑨 - 김준영> file [1] 델게르마아 2013.02.18 5055
253 <마흔세살에 다시 시작하다> 를 읽고 - 김영숙 [3] 김영숙 2010.02.24 5067
252 [예비8기 2차 레이스 1주차_권윤정] 헤로도토스 역사 file [1] 권윤정 2012.02.20 5068
251 [제8기 레이스 4주차 '내 인생의 시집 한 권']이길수 file [4] 길수 2012.03.11 5071
250 기억,꿈,사상 Review [1] 박현주 2010.03.08 5074
249 여행자인 내게 그는 베테랑 선생입니다 [1] 현운 2009.10.06 5078
248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 진지한 삶... 한정화 2011.04.29 5078
247 선의 황금시대 [2] 김미성 2009.03.02 5082
» 내 인생의 첫 책 쓰기 - 자신의 삶을 사랑한 결과물 [2] 신재동 2008.12.11 5083
245 <북리뷰>부의 제국 록펠러 [1] 구름을벗어난달 2010.11.19 5084
244 10기연구원 2주차, 죽음의 수용소에서 - 김종호 file [6] 구름에달가듯이 2014.02.15 5088
243 제9기 레이스 <솔로몬 탈무드> -최재용 file [1] jeiwai 2013.02.25 5102
242 삶이라는 악보의 쉼표, 휴식(休息) [1] 승완 2009.09.10 5106
241 비범성을 탄생시키는 3가지 요소 [4] 승완 2010.02.03 5109
240 나는 아이보다 나를 더 사랑한다 file [2] 문경춘 2010.07.31 5110
239 [그림책] 적 - 누가 적인가? file 한정화 2012.05.11 5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