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좋은

함께

여러분들이

2011년 2월 15일 08시 16분 등록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알랭 드 보통 지음 | 정영목 옮김
청미래 2007.08.01
펑점


이 책은 소설이 아니다. 그렇다고 철학서적이나 심리학서적도 아니다. 철학과 심리가 흐르는 한편의 러브스토리라고나 해야할까? 직접 경험하지 않고도 절대 쓸 수 없는 그런 사랑의 감성을 보통아저씨(알랭 드 보통의 제가 붙여준 한국별명)의 지성으로 그 감성의 수십가래로 퍼지는 흐름을 철저히 글이라는 매체를 이용하여 분석하고 있다. 그래서 이 책을 읽다보면 마치 눈으로는 글을 읽고 있지만 마치 내가 보통아저씨의 머리와 가슴에 내 영혼이 함께 기거하는 듯한 일체감을 느끼게 하는 묘한 매력을 느낀다. 마치 이 책을 쓸려고 일부러 사랑을 해본 건 아니겠지라는 의심이 들 정도로 사소한 상황의 그 짧은 순간에 흐르는 긴 감성의 흐름을 수십장에 걸쳐 풀어내는 그는 감성을 지성으로 표현하는 천재임에 틀림없다. 참 감사할 일은 이런 천재작가가 적은 글을 내가 이해할 수 있다는 것, 그 자체로 너무 행복한 일이다. 역시 정말 똑똑한 사람은 결코 어렵게 설명하거나 꼬아서 이야기하지 않는다. 책한장한장 종이의 냄새와 함께 글씨가 나와 하나가 되어버린다.

 

보통아저씨의 사랑은 이별로 결론이 났지만, 이 사랑을 통하여 더 강해진 자아와 새로운 사랑을 위해 성숙한 모습으로 함께 성장한 것 같다. 이별은 항상 고통스러운 일, 평생 아물지 않을 것 같은 사랑의 상처도 시간이라는 우주가 흘러가는 자연앞에서는 또 다른 자아를 형성하도록 하는 계기가 될 뿐이다. 결코 아름답게만 묘사하지도 않았고 그렇다고 결코 냉소적으로만 묘사하지 않은 이루지 못한 사랑을 했던 청년과 아가씨의 러브스토리이다.

 

그러나 동시에 철학서이자 심리학 서적을 본 듯한 착각을 일으키는 퓨전, 새로운 영역의 책인듯 하다. 수필도 아니고 소설도 아니고 자서전도 아니고 전공서적도 아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심리적으로 분석적으로 끌고나간 이 책의 구성에도 불구하고 마지막 그의 마무리에는 결코 사랑이란 분석적인 심리학으로 판단할 수 없는 불합리와 부조리, 부조화를 내포하고 있는 사랑 그 자체라는 것을 강조한다.

요약 :
http://cafe.naver.com/harmonyleadership/670

 

 

IP *.242.137.9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북리뷰 안보이시는 분들 일단 파일첨부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4] 관리자 2009.03.09 92872
338 <9기 레이스 5주차, 세상을 유혹하는 책읽기>-오미경 file [1] 오로라 2013.03.04 4823
337 통쾌함을 안겨다주는 괴테의 지성 현운 2009.09.15 4826
336 9기 레이스 4주차 - 솔로몬 탈무드 - 강종희 file [1] 종종걸음 2013.02.25 4826
335 서양철학사 러셀 [1] 윤인희 2010.02.22 4827
334 젊음이 꿈을 향해 나아가지 못하는 7가지 이유 현운 2009.08.25 4828
333 여자로 산다는 것 [1] 김이미나 2010.04.30 4828
332 30대의 철학하기 : 철학자 그 '놈' [2] 현운 2009.07.03 4833
331 [먼별3-2] <1인기업가들의 필독서: 찰스핸디의 "코끼리와 벼... [1] 수희향 2010.12.20 4835
330 8기 예비연구원 1주차과제 - 헤로도토스의 역사 - 한승욱 file 한젤리타 2012.02.19 4835
329 늦지 않았다. – 한명석 – 북하우스 [1] yeajonghee 2012.11.06 4837
328 6-3리뷰 영혼의 절규(니진스키) [15] 윤인희 2010.06.20 4839
327 따뜻한 햇살을 머금고 흐르는 강물 같은 책 승완 2009.07.02 4840
326 [8기예비연구원 하영목]-깊은인생 [1] 학이시습 2012.02.27 4840
325 북리뷰 2. [러셀의 서양철학사] [1] [1] 박상현 2010.02.22 4841
324 [10기 레이스 3주차]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을 읽고 (박윤... [3] 녕이~ 2014.02.24 4843
323 [나쓰메 소세키의 <그 후>] 일본의 셰익스피어 수희향 2012.08.25 4846
322 2. 공감의 시대 [1] 미선 2011.02.27 4847
321 강점과 약점을 함께 수용해야 완전해진다 [4] 승완 2009.10.22 4849
320 [8기 레이스] 깊은인생_구본형 file [1] 펄펄 2012.02.27 4850
319 10기 레이스 - 구본형의 마지막 수업 - 강종희 file [2] 종종걸음 2014.02.23 4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