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인희
  • 조회 수 232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0년 11월 3일 10시 47분 등록

*격일쓰기106 :회의와 토론이 회사 운명을 가른다 

“중요한 의사결정을 위한 전략회의든, 창의적인 소재를 찾기 위한 아이디어회의든 회의의 기본은 허심탄회하고 솔직한 대화다. 회의 참석자가 입을 닫아버리면 제 아무리 잘 디자인한 회의도 시간낭비일 뿐이다.”

  이는 매일경제신문에 최근 소개된 글이다. 

활발한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가장 경계해야 할 점은 회의에 '정치'가 개입하는 것을 막는 일이라고 강조한다.
또한 효과적인 회의를 위한 7가지 조언을 전한다. 

-전략 의사결정 회의와 운영 회의를 별도로 다뤄다.
-토론 대신 의사결정에 초점을 맞춰라.
-회의 때 논의할 이슈와 우선순위를 정해라.(이슈 1개 가치가 나머지 4개보다 20배 이상 높을 수 있다.)
-다룬 이슈를 회의 어젠더에서 신속하게 제거하라.(살아있는 대안 있어야 최선의 실행방안 고를 수 있다)
-공통된 의사결정 프로서스와 스탠더드를 적용해라.
-한 번 의사결정이 끝난 사안은 사수하라.(의사결정이 된 사안에 대해 논쟁이 있으면 안된다.) 

제프리 이멜트 GE 회장은 "회의를 하다 보면 의사결정 답이 머릿속에 떠오르는 경우가 있지만 참석자들이 정답을 찾아가거나 더 나은 방안을 찾아낼 수 있도록 조용히 듣고 있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많은 CEO는 회의 때 말을 하고 싶은 유혹을 버리지 못한다. 오히려 회의 대부분을 훈계와 지시로 '교육용'으로 만들어버리는 경우가 허다한데 이것은 실로 최악이다.  

인텔은 '원온원(One one One)'이란 회의 방식을 도입해 상급자가 아무런 준비 없이 회의에 들어와 떠들어대는 일을 막는다. 이는 회의가 필요한 사람이 같이 회의가 필요한 사람에게 회의를 직접 요청하는 방식이다. 회의를 요청하는 사람은 회의의 어젠더부터 역할에 이르기까지 회의와 관련된 모든 걸 준비해야 한다. 원온원은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진행되며, 회의 요청을 받은 사람은 거절할 수 없다. "쓸데없는 회의는 최소한으로 줄이고, 직위를 막론하고 준비 없이 떠들어대는 일은 있을 수 없다"는 장점이 있다.  

회의 참석자들이 입을 닫는 또 다른 이유는 '리스크'를 짊어지기 싫기 때문이다. 회의 때 자칫 말을 잘못했다간 불이익을 받게 될 것이라는 걱정이 바로 이 리스크다.  

회의는 복잡한 조직 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이런 문제를 없애는 건 쉬운 일이 아니지만 일부 '익명성'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부분적으로 해소하는 기업도 있다.  

실리콘밸리의 벤처기업 박스닷넷은 회의 때 7분 동안 직원들이 포스트잇에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와 제안을 적도록 한다. 익명으로 쓴 포스트잇을 모두 벽에 붙인 후 직원들이 읽고 재배치하면서 솔루션을 찾아간다. 돈이 얼마나 드는 제안이든, 어처구니없는 제안이든 모든 아이디어를 모을 수 있는 방법이다.

효율적인 회의는 회의 환경이나 물리적인 방식에 영향을 받기도 하는데, 이 때문에 기업마다 나름대로 독특한 회의 문화가 있다.  

딕슨 쉬와블 광고회사는 회의 때 직원들이 물총을 하나씩 가져오는데, 누구라도 상대방 얘기에 부정적인 코멘트를 날리면 바로 물총 세례를 받게 된다. "직원들이 비난받을 걱정을 하지 않고 마음껏 말을 하도록 하겠다"는 의도에서다.  

그러나 이와는 완전 반대인 사례도 있다. 
인텔의 창업자인 앤디 그로브는 회의의 중요성을 누구보다도 강조한 인물인데, 활발한 토론이 필요한 회의에서는 일부러 비판을 많이 하거나 격한 논쟁을 하는 직원을 참여시켜 토론을 유도하기도 했다.  

회의를 진행할 때 다양성을 인정하면서 유연함을 유지하되 때로는 강인함을 적절히 가미하는 것이 필요하다. 얼마나 회의와 토론을 잘 운영하느냐에 따라 회사의 운명이 바뀔 수 있다. 

IP *.123.34.18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40 딸기밭 편지 file 지금 2010.01.29 2321
1339 순간의 사건이 나의 시간이다.-3주 김창환. [2] 야콘 2010.02.28 2321
» 격일쓰기106 :회의와 토론이 회사 운명을 가른다 인희 2010.11.03 2320
1337 아빠의 손 햇빛처럼 2012.07.21 2321
1336 나라는 사람이 어떤 사람인가하면... [1] [2] 초심자 2008.12.15 2323
1335 너는 누구냐? [12] 향인 이은남 2010.03.26 2323
1334 딸기밭 사진편지 90 / 아! 아저씨 file [2] 지금 2010.09.06 2324
1333 [8기 지적레이스 4주차/ 정나라] 음악이 깃든 시, 33 - 서문 file [2] 터닝포인트 2012.03.12 2325
1332 [5기2차1회] 상사의 추억과 전략적 자아 개선 장성우 2009.02.15 2326
1331 한국의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다는 생각 안해보셨나요..? [2] 김동선 2004.01.18 2327
1330 오래된 새 길 [10] 백산 2008.04.05 2327
1329 나의 사람 이야기 [3] 신아인 2009.02.16 2327
1328 가출은 위험해! [4] 이헌 2010.07.01 2327
1327 [영원의 시 한편] 영혼에 관한 몇 마디 정야 2014.12.10 2327
1326 [7기 연구원지원] 나는 무엇으로 특별해 지고 싶은가 [3] 박주선 2011.03.07 2328
1325 매일쓰기36 : 참신성과 미래지향적 공동체 발전욕구 [1] 인희 2010.08.19 2329
1324 살다본께... [7] [2] 백산 2009.01.01 2331
1323 새로 태어난다는 것은 무엇인가? [2] 오경희 2011.02.20 2331
1322 고승덕 변호사의 글 [2] 김미영 2005.07.16 2332
1321 마지막 시험을 치고서 [10] 김귀자 2007.06.19 2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