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 한명석
  • 조회 수 3272
  • 댓글 수 7
  • 추천 수 0
2010년 8월 14일 17시 37분 등록

2기 연구원 한명석이라고 합니다. 작년에 첫 책 ‘늦지 않았다’를 펴냈고, 지금 두 번째 책으로 ‘나는 쓰는 대로 이루어진다’를 집필하고 있습니다. 지난 몇 년간 꾸준히 글쓰기를 하며 글쓰기에 대한 책도 50여 권 읽었습니다. 그랬더니 대가들이 말하는 글쓰기비법이 머리에 쏙쏙 들어오고, 누구나 글을 잘 쓸 수 있다는 확신도 점점 강해지네요.


그동안의 경험에 의해 글쓰기를 세 단계로 정리해 보았습니다. 


① 거침없이 쓰기

일단 무언가를 써서 종이를 채우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는 내용이 앞뒤가 맞는지 문법적으로 정확한지는 중요하지 않다. 무엇이 되었든 자신의 마음을 종이 위에 옮겨 놓을 수 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일상적인 소재를 가지고 생활문으로 연습하는 것이 좋다. 일기나 모닝페이지도 유효하다. 글을 쓰면서 자기감정을 쏟아내는 쾌감이나 생각이 정리되는 효과를 느끼는 것이 제일 중요하다.


② 꼼꼼하게 쓰기

너무 힘들이지 않고 종이를 채울 수 있게 되면 이제부터는 말하고자 하는 것이 잘 드러났는지, 주제에 맞게 일관성이 있는지, 읽을 만한 가치가 있는 글인지 따져가며 써야 한다. 문장이 어법에 맞는지도 보아야 한다.  나는 이 단계에 너무 많은 비중을 두지는 않는다.  자신이 하고 싶은 말을 다른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는 정도면 충분하다. 문장론에 갇혀 생명력을 잃어버리지 않도록 주의한다. 글쓰기에 대한 흥미를 잃지 않는 것이 훨씬 더 중요하다. 계속해서 쓰다 보면 표현은 훈련되기 마련이다.

③ 주제를 가지고 쓰기

처음에 글을 쓰기 시작하면 보통 자기 이야기를 쓴다. 자신의 기질이나 일상사, 살면서 겪는 경험들이 글감이 된다. 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면 소재도 떨어지거니와 좀 더 집약된 주제에 대해 글을 쓸 필요가 있다. 세상 모든 일이 그렇듯이 글쓰기도 업그레이된 목표를 가져야 더욱 발전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책쓰기에 도전하는 것이다. 글은 쓰고 싶은데 A4 한 장을 채우지 못해 힘겨운 사람에게는 어림도 없는 소리처럼 들릴지 몰라도 절대 그렇지 않다. 보통사람도 책쓰기를 통해 전문성을 인정받는 시대가 되었다. 당신의 경험을 당신의 시각으로 정리할 수 있다면 당신도 책을 쓸 수 있다. 하루에 두 시간씩 읽고 쓰는 일에 집중하여 3년이면 가능하다.



저는 제가 명명한 세 단계가 아주 마음에 듭니다. 글쓰기에 관심이 있지만 아직 글쓰기를 힘들어하는 분들에게 이 방법을 소개하고 싶어 안달이 날 정도입니다.^^


저는 초보저자로서 첫 책을 쓰고 싶은 사람들의 심정을 잘 알고 있습니다. 어떻게 어떤 강도로 준비하면 저자가 될 수 있는지도 알고 있습니다. 글쓰기에 숙달하고, 나아가 책쓰기에까지 도전하고 싶은 여러분을 뵙고 싶습니다.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강좌는 4주과정입니다. 내 안의 창조본능을 확인하고, 최소의 글쓰기원칙을 익히고, 서로의 글을 지켜봐 줄 수 있는 선의를 얻기에 맞춤한 기간입니다.


  기간: 9월 매주 금요일 저녁 7시~10시<24일은 1주일 미룰 수 있음>

  대상: 순수문학이 아닌 분야의 글쓰기, 책쓰기에 관심있는 분

  장소: 종로 윙스터디

  자세한 내용은 카페로 --->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http://cafe.naver.com/writingsutra

 


IP *.108.48.107

프로필 이미지
2010.08.15 11:58:27 *.72.153.58
요즘 글쓰기에 맛들인 사람들이 많아져서 좋아보여요. 뭔가를 하면서 얻어가는 기쁨을 맛보게 되면 중독되는 것 같습니다. 이번에 강좌도 명석님을 신나게 하는 일이 많았으면 합니다. ^^*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8.15 18:03:44 *.209.229.5
맞아요.  깨졍만 해도 워낙 진국이라 우직하게 뚜벅뚜벅 걸어가는 모습에 뿌듯하더라구요.
작은 성취와 쾌감으로 선한 중독에 이르게 되면  혼자 걸어갈 수 있겠지요.
그 후에는 1인기업들의 네트워킹으로 새로운 실험과 축제를 열며 신나게 살기!
정화씨! 응원 고마워요. 정화씨도 활기찬 나날~~~~~~
프로필 이미지
김재용
2010.08.24 11:04:49 *.176.235.3
'늦지 않았다'를 읽고 선생님과 인연이 되어 여기까지 왔지요.
1단계, 2단계 쉬지 않고 올라와보니 벌써 3단계...
제 스스로도 대견하고 선생님께도 감사한 마음이 절로 나네요.

가을과 함께 시작하는 '글을 통한 삶의 혁명',
한 선생님과 함께 하면 틀림없이 분명한 길이 보일꺼라 믿어요.
저처럼요~

글을 써보고 싶어하는 많은 분들이 오셔서
그 방법을 알아가시길 바랍니다^^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8.24 19:16:07 *.108.83.132
앗! 재용씨. 깜놀이네요.
이곳까지 찾아와서 지원사격을 해 주다니 정말 고마워요.
내 첫 강좌를 발견하고 선택해 준 1기에서 저자들이 빵빵 터져 준다면
얼마나 신이 날지 또 우리의 인연은 얼마나 애틋할지 생각만 해도 흐뭇하네요.
재용씨의 지고지순한 마음이 기쁨으로 물드는 날을 고대하며, 오늘도 고고싱! ^^
프로필 이미지
그레이스맘
2010.08.25 09:10:22 *.154.160.1
그러게요. 가르치는 선생님도 배우는 제자들도 어찌나 진지하고 열심인지. 정말 요즘같은 시대에 보기드문 모임입니다. 진짜 강추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명석
2010.08.26 17:11:37 *.88.56.230
진주처럼 빛나고, 이보영보다 더 예쁜 그레이스맘님!
어쩌면 하는 말도 그리 예쁜지!^^
프로필 이미지
1
2010.11.11 22:10:23 *.40.64.1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388 마음을 나누는 편지 배달이 안되요 [1] 곰인형 2012.04.18 2820
2387 뱅쿠버에서 [14] 이수 2011.08.15 2819
2386 [질문] 2009년 5기 연구원은 언제? [4] 나우리 2008.12.30 2819
2385 2019 도서관 프로젝트 상황보고 [3] 정승훈 2019.04.17 2817
2384 꿈꾸는 공동체를 위한 인문강좌(여수) file [2] 이헌 2013.03.23 2816
2383 슬픈 오후 햇빛처럼 2008.10.10 2816
2382 나의 검색어 - 퇴근 후 취미생활 [4] 신재동 2005.01.03 2814
2381 김점선님의 시 한편 [2] idgie 2008.10.28 2813
2380 [재무강좌] 차칸양의 <월급쟁이 짠테크 도전기>-한겨레교육문... file [2] 차칸양 2018.10.10 2812
2379 여행책쓰기- 무료 공개강좌입니다 id: 깔리여신 2014.03.23 2808
2378 <부고> 1기 연구원 오병곤 님 부친상 [4] 승완 2013.02.08 2807
2377 가족 [2] 푸른바다 2008.04.29 2807
2376 [아.특.인] - '죽은 시인의 사회' 존 키팅(전편) file [4] 亨典 이기찬 2007.01.12 2805
2375 [토크쇼] 재키가 만난 구본형의 사람들 - 박승오 file [10] 재키제동 2016.09.06 2804
2374 지금에 흘린땀이 머지 않아 결실이 되길 조영은 2011.09.15 2803
2373 1년 전 '오늘' 최우성 2008.11.14 2803
2372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8월 모임 긴급 연기 공지! [4] 운전 정희근 2011.08.26 2802
2371 궁금한것이 많습니다. [2] 공중그네 2008.04.08 2802
2370 NEWSis-동양과 서양을 잇는 '걷는 자의 꿈, 실크로드' id: 깔리여신 2013.02.12 2799
2369 (건의)홈페이지에 rss 넣어보면 어떨까요? 충구 2012.12.05 27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