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박승오
  • 조회 수 3299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3월 3일 07시 06분 등록



‘탁’ 하고 무엇인가 책상위로 떨어졌습니다. 나침반입니다. 충격 탓에 바늘은 빙글빙글 돌고 있었습니다. 하릴없이 앉아 물끄러미 바라보다가 재미있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바늘이 움직이는 모양을 네 단계로 제법 뚜렷이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이었습니다. 문득 그것이 ‘삶의 방향’을 찾을 때에도 똑같이 적용된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1) 혼돈: 나침반이 부딪히자 바늘은 빙글빙글 돌기 시작합니다
2) 모색: 천천히 돌다가 어느 시점에서 바늘은 꺾이고, 좌우로 몸을 크게 흔들기 시작합니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수렴해갑니다
3) 떨림: 한곳에 멈추기 직전, 바늘은 파르르 몸을 떱니다
4) 정착: 확고하게 멈추어 한곳을 가리키며 움직이지 않습니다

혼돈(Chaos)_ 저는 대학 4학년 때 실명(失明)을 경험했습니다. 어렸을 적부터 천재적으로 똑똑했던 형을 쫓아 하려다 무리하기 시작했고, 결국 잠을 거의 자지 않고 공부하다가 녹내장이라는 병을 얻게 되었습니다. 주저앉아 많이도 울었습니다. 눈은 잘 보이지 않았고, 어디로 가야 할지 종잡을 수가 없었습니다.

모색(Explore)_ 그 때에 구본형 선생님의 책을 읽게 되었지요. 그 때부터 ‘나의 길은 무엇인가?’ 라고 질문하기 시작했습니다. 우선 저 자신을 알기 위해 이것저것을 치열하게 실험하고 모색해야 했습니다. 결국, 제가 좋아하는 것과 잘하는 것의 조합은 ‘깨달음을 전하는 것’이라는 믿음을 갖게 되었습니다.

떨림(Tremor)_ 하지만 길을 찾았다 싶었을 때, 두려움과 공포가 엄습했습니다. 지금까지 공부해온 것과는 다른 분야라는 불안함, 먹고 사는 것에 대한 걱정, 가족을 설득해야 하는 문제 등 여러 현실적인 고민 때문에 저는 한동안 움츠린 채 몸을 떨어야 했습니다.

정착(Settle)_ 아버지의 조언으로 두려움을 이겨내었을 때, 비로소 저의 발견을 확고하게 일과 생활에 적용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제가 찾은 것을 바탕으로 계획적으로 직장을 알아보기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저는 지금 리더십 교육 기관에서 강의를 하고 있습니다.

너는 네 세상 어디에 있느냐?
너에게 주어진 몇몇 해가 지나고 몇몇 날이 지났는데,
그래 너는 네 세상 어디쯤에 와 있느냐?

- 마르틴 부버(Martin Buber)

흔들리는 나침반처럼 혼돈-모색-떨림-정착으로 귀결되는 춤추듯 찾아가는 여행: 이것이 자신의 길을 찾는 사람들이 거쳐가는 위대한 여정이 아닐까요? 그대는 지금 그대의 길 어디쯤에 와 있는지요?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moonshine
2008.03.03 15:37:18 *.221.152.177
나침반의 비유가 멋지네요. 나침반의 모습을 단지 떨림과 정지 이 두가지로 인식하고 있었는데, 4단계로 보니 더 풍부하고 의미있게 다가옵니다. 4단계가 순차적으로 전개되기도 하지만, 때로 뒤로 후퇴하기도 하고, 한 단계에서 오랫동안 머물기도 합니다. 삶이란 크고 작은 여러 개의 4단계 싸이클을 반복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어떤 단계에 있든지, 마르틴 부버의 표현대로 현재 나의 모습이 어떠한지를 알아 차리는 게 중요한 일이다 싶습니다.

좋은 글, 감사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376 영화 한 편을 추천 드립니다! 연지원 2014.02.24 3296
1375 단순함의 미학 [2] 김도윤 2008.06.26 3299
1374 슬픔에 기쁨으로 응답할 때 file [1] 부지깽이 2009.07.31 3299
1373 위대한 그가 바보에게 당하는 이유 [6] 부지깽이 2010.05.14 3299
1372 소중한 것은 멀리 있지 않다 file [1] 승완 2010.06.01 3299
» 춤추는 나침반 [1] 박승오 2008.03.03 3299
1370 때로는 그저 결정을 내려야 한다 신종윤 2010.09.27 3300
1369 마음을 살피는 또 하나의 마음 문요한 2007.05.01 3302
1368 오래 가는 사람은 매일하는 사람 file [6] 승완 2010.04.20 3304
1367 경계를 넘어서 -제1회 시민연극교실 file [2] 단경(소은) 2009.07.21 3305
1366 늘 나를 떨리게 하는 것은 사람이었습니다 구본형 2007.05.11 3306
1365 인생이 당신에게 요구한 것 file [1] 부지깽이 2009.08.21 3306
1364 농부는 죽을 때도 밭두렁을 베고 죽는다 [3] 부지깽이 2010.07.09 3309
1363 다시 시작하고 싶을 때 삼아야할 준거 하나 [1] 김용규 2014.02.06 3309
1362 누구도 관계를 피해갈 수 없다 [2] 한명석 2007.11.08 3311
1361 신이 머무는 그 곳 박승오 2008.02.04 3312
1360 무릇 자연 앞에 무릎 꿇기 위해서는… [1] 김용규 2011.03.03 3313
1359 축제 - 내 삶 속의 이 시(詩) 한 편 [2] 구본형 2008.04.25 3314
1358 노력은 다시 시작하는 것 [2] 연지원 2013.09.30 3316
1357 사랑할 때 겪기 쉬운 오류 김용규 2014.07.23 3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