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3446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08년 8월 5일 02시 54분 등록

“자기애를 자기중심적인 것이나 이기적인 것과 동일시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 자기애는 우리가 사랑을 실천할 수 있는 토대다. 자신을 사랑하지 않으면 결코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없다. 우리가 우리 자신을 사랑하면, 우리가 늘 누군가에게서 받고 싶어 했을지도 모를 무조건적인 사랑을 받을 기회를 우리 자신에게 줄 수 있다”

- '사랑의 모든 것' 중에서, 벨 훅스 -

------------------------------------------------

사랑은 조건적 사랑과 무조건적 사랑으로 나뉩니다. ‘성적이 올랐으니까, 내 말을 잘 들었으니까 너를 사랑한단다.’라고 한다면 이는 조건적 사랑이겠지요. 반대로 ‘성적이 오르지 않았음에도, 말을 듣지 않았음에도 너를 사랑한단다.’라고 한다면 그것은 무조건적 사랑일 것입니다. 신이 아니기에 인간의 사랑에는 부모자식간이라도 조건적 사랑과 무조건적 사랑이 섞여 있기 마련입니다. 그러나 이 배합이 너무 일방적이면 문제가 나타납니다. 특히 조건적 사랑이 지배적이면 이는 조건적 무관심 혹은 비난으로 이어지게 됩니다. 즉, 조건에 들면 사랑을 주지만 조건에 미달되면 사랑을 주지 않는 것입니다.

만일 부모가 조건적 사랑이 팽배한 경우, 본능적으로 무조건적 사랑을 원하는 아이의 기대는 좌절되고, 아이에게는 ‘무언가 부족한 느낌’이 떠나지 않게 됩니다. 정신분석학자인 M. 발린트는 이를 ‘기본적 결함(the basic fault)’이라고 표현합니다. 즉, 조건적 사랑이 지배적인 분위기하에 자란 아이들은 근원적인 애정결핍감과 아울러 사랑받을 수 없는 근원적 결함이 자신에게 있다는 느낌을 동시에 갖습니다. 결국 그 부족감이 큰 아이들일수록 어릴 적 받지 못한 ‘무조건적 사랑’을 만나고자 평생을 갈구합니다. 동시에 무조건적 사랑을 받으려면 현재의 모습으로는 절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에 ‘이상적 자아상’을 만들어내고 이를 이루기 위해 안간힘을 쓰게 됩니다. 하지만 이 기준은 그들의 부모보다 더 엄격하고 비현실적이라서 결코 도달할 수 없습니다. 불행의 연속입니다.

조건적 사랑 밖에 배우지 못한 이들은 자신에 대해서도 조건적 사랑만을 하게 되어 결국 자기비난의 수렁에 빠지게 됩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것은 '이상적 자아상’이 허상임을 깨닫고 자신에 대하여 무조건적 사랑을 베풀어 본연의 모습을 되찾는 것입니다. 당신이 자신에 대해 조건적으로만 사랑하고 있다면 유행가에 맞춰 이렇게 흥얼거려 보세요.

“나를 향한 나의 사랑은 무조건, 무조건이야!”

- 2008. 8. 5 週 2회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222호]-





IP *.189.235.111

프로필 이미지
써니
2008.08.05 15:12:10 *.36.210.11
"나를 향한 나의 사랑은 무조건, 무조건이야~ "

가장 내 마음에 와 닿는 컬럼이네요. 마음 속에 오려두어야지.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856 [일상에 스민 문학] 애틀란타 공항에서 - 마거릿 미첼 <바람과 함께 사라지다> 정재엽 2018.10.24 870
3855 [화요편지]2주차 워크숍_자극과 반응 사이 file 아난다 2019.07.16 870
3854 [금욜편지 112- 책쓰기는 기획이다] 수희향 2019.11.15 870
3853 [수요편지] 세월이 카톡에게 (월급쟁이 四龍天下 마지막 회) [2] 장재용 2020.02.26 870
3852 [월요편지 122] 아내와 유튜브를 시작한 이유 [6] 습관의 완성 2022.09.18 870
3851 [수요편지] 영상언어의 범람에 대해 불씨 2023.09.06 870
3850 [화요편지] 주시는 대로 받겠습니다. [2] 아난다 2019.02.19 871
3849 목요편지 - 모내기 운제 2020.05.21 871
3848 이제 막 인생2막에 발을 디디려는 너에게 [2] 차칸양 2017.10.24 872
3847 [금욜편지 91- 일은 진짜 프로답게] [2] 수희향 2019.06.07 872
3846 가족처방전 - 명절에 시댁에 가지 않습니다, 열여덟 번째 이야기 제산 2019.10.28 872
3845 홍합을 씹어 삼키며 버티다 장재용 2019.12.04 872
3844 세상의 모든 쿠키는 수제입니다 [2] 이철민 2017.12.14 873
3843 [금욜편지 111- 책쓰기는 책읽기다-인문고전편] 수희향 2019.11.08 873
3842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이번주 쉽니다 알로하 2020.08.30 873
3841 [라이프충전소]자꾸만 조급해지려고 할 때 [9] 김글리 2022.02.11 873
3840 하찮지만 하고 싶으니까 [2] 어니언 2022.08.25 873
3839 [일상에 스민 문학] - 수녀원에서 온 편지 정재엽 2018.01.24 874
3838 이렇게 살 수도, 죽을 수도 없는 서른 다섯 워킹맘의 선택 아난다 2020.02.18 874
3837 [화요편지] 엄마의 필살기, 가장 나다운 '사랑의 기술' 아난다 2020.03.17 8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