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승완
  • 조회 수 4512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09년 10월 13일 00시 24분 등록

‘공포 소설의 제왕’인 스티븐 킹은 고등학교 시절 신문기사를 쓴 적이 있었습니다. 리스본 주간신문의 편집장인 존 굴드는 그 기사를 수정하며 다음과 같이 조언했습니다.

“어떤 이야기를 쓸 때는 자신에게 그 이야기를 들려준다고 생각해라. 그리고 원고를 고칠 때는 그 이야기와 무관한 것들을 찾아 없애는 것이 제일 중요해.”

스티븐 킹은 <유혹하는 글쓰기>에서 이 조언에 대해 “존 굴드는 겨우 10분 사이에 그 어떤 강의 보다 많은 것을 가르쳐주었다”고 회고합니다. 저도 이 조언을 응용한 2가지 방법을 글쓰기에 활용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 방법은 구체적인 독자를 가슴에 품고 쓰는 것입니다. 여기서 독자는 두 사람을 가리킵니다. 하나는 바로 제 자신입니다. 저는 최대한 스스로에게 말하듯이 글을 씁니다. 그러니까 내가 첫 번째 독자인 셈입니다. 예를 들면 나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정리하고, 마음이 아픈 나를 치유하기 위해 글을 쓰는 겁니다. 나를 독자로 삼고 쓰면 다른 사람의 시선이나 평가에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른 한 명의 독자는 어느 ‘누군가’입니다. 나를 독자로 삼기 어려운 경우는 주변 사람이나 가상 독자 한 명에게 편지를 적듯이 씁니다. 이 방법은 글에 공감의 불씨를 심어주고 따뜻한 문체로 자연스럽게 이끕니다. 스티븐 킹은 말합니다.

“모든 소설가에게는 반드시 한 명의 가상 독자가 있다고 생각한다. 소설을 쓰는 동안에 작가들은 이따금씩 이런 생각을 하게 마련이다. ‘그 독자는 이 부분을 읽으면서 어떤 생각을 할까?’ 나에게 이 최초의 독자는 바로 내 아내 태비사이다.”

두 번째 방법은 고쳐 쓰기입니다. 저는 처음에는 한 번에 완전한 글 한 편을 완성하는 식으로 글을 썼습니다. 하지만 고쳐 쓰기의 힘을 체험하고 난 후부터는 고쳐 쓰기를 글쓰기의 기본으로 삼고 있습니다. 어떤 글이든 적어도 3번 이상은 고쳐 씁니다. 이렇게 고쳐 쓸 수 있는 동력은 고쳐 쓰기를 통해 글의 완성도가 점점 높아지는 걸 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고쳐 쓰기에서 가장 중점을 두는 규칙은 잘라내기입니다. 불필요한 단어와 문장을 삭제할수록 구성이 견고해집니다. 이에 대해 스티븐 킹은 어느 잡지사에 소설을 투고하고 받은 거절 쪽지를 ‘명언’으로 소개합니다.

“수정본 = 초고 - 10%. 행운을 빕니다.”

독자를 가슴에 품고 글을 쓰고 그 글을 고쳐 쓰는 습관을 들이면, 가독성이 좋고 흐름이 매끄러운 글을 쓸 수 있습니다.

sw1013.gif
* 오늘 소개한 책 : 스티븐 킹 저, 김진준 역, 유혹하는 글쓰기, 김영사, 2002년
 

IP *.255.183.149

프로필 이미지
2009.10.13 17:30:18 *.96.12.130
글쓰기에 대한 네 이야기를 듣다보면... 내가 참 무대뽀로 글을 쓰고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드네. '글'이라는 놈, 아직 내가 휘두를 수 있는 칼이 아닌 것 같기도 해. 더 많은 수련이 필요한 거겠지. 흠... 이 책 읽어 보고 싶다. 고마워~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10.13 20:54:14 *.255.183.149
형, 무슨 말씀!
형 글 가독성 좋고 구성도 좋잖아요.
형 글 참 좋아요!
프로필 이미지
병진
2009.10.14 11:06:32 *.242.62.1
교통사고 후 얘기에도 감명 받았어요. 특히 글쓰기에 대한 태도, 그리고 즐거움..

좋은 책 소개시켜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프로필 이미지
승완
2009.10.14 13:02:57 *.255.183.149
이 책에는 스티븐 킹이 대가임을 새삼 알 수 있어요.
말씀하신 것처럼 글쓰기에 대한 태도가 특히 그렇죠. ^_^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6 [월요편지 120] 임원이 되고 싶었던 나의 꿈을 짓밟은 사람들 [1] 습관의 완성 2022.08.21 943
3575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댄스 머스트 고 온 (Dance must go on)… file [2] 알로하 2020.09.06 944
3574 저의 전성기는 바로 지금입니다. [1] 어니언 2023.01.12 944
3573 백열다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반성 [5] 재키제동 2017.09.01 945
3572 [화요편지]6주차 미션보드_OO씨의 행복여행 아난다 2019.09.03 945
3571 [화요편지]6주차 워크숍_Shall we dance? 아난다 2019.09.10 945
357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와인과 음악, 설렘이 있는 11월 file 알로하 2019.11.17 946
3569 화요편지 - 종종의 종종덕질 "무취미한 당신에게 필요한 것은 오디션 프로그램!" [2] 종종 2022.01.11 946
3568 [금욜편지 103- 책쓰기준비 2- 시간] 수희향 2019.08.30 947
3567 라디오 생방송 출연 후기 [1] 제산 2020.01.19 947
3566 서천으로 강연 여행 다녀왔습니다 [1] 제산 2019.06.16 948
3565 목요편지 - 계절의 여왕 5월 운제 2020.05.07 948
3564 [용기충전소] 멀티페르소나, 팔색조 말고 십색조라 불러주오 김글리 2020.08.06 948
3563 [라이프충전소] 실패를 어떻게 설명하고 있나요? [1] 김글리 2023.01.07 948
3562 [화요편지] 굿바이, <아이를 기다리는 시간>! 아난다 2019.12.03 949
3561 [화요편지]바람이 너무 좋았어! file 아난다 2020.05.19 949
3560 [화요편지] 화폐중독 치유 솔루션 file 아난다 2020.06.15 949
3559 [내 삶의 단어장] 쵸코맛을 기다리는 오후 2 [1] 에움길~ 2023.05.07 949
3558 시즌 마케팅은 소비자의 '구매코드'를 정하는 것에서 시작 [2] 이철민 2017.12.28 950
3557 목요편지 -겨울준비 운제 2019.11.21 9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