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2950
  • 댓글 수 4
  • 추천 수 0
2009년 11월 25일 11시 46분 등록
"단지 할 수 있다는 이유만으로 모든 것을 빠르게 하는 것은 헛된 일입니다. 삶의 비결은 항상 템포 기우스토(알맞은 속도를 뜻하는 음악용어)를 찾는 것이지요. 속도는 우리에게 강한 흥분을 줄 수 있으며, 생활이든 음악이든 그것이 필요한 부분이 있어요. 하지만 어느 선을 지켜야 하고, 언제나 속도를 이용해서는 안 됩니다. 와인 한 잔을 재빨리 털어 넣는 것은 어리석은 짓입니다. 마찬가지로 모차르트를 너무 빠르게 연주하는 것도 어리석은 짓이지요. 세계는 우리가 다양한 속도를 위한 여지를 만들 때 풍부해집니다."


-피아노 연주자, 우베 클림트 ‘느린 것이 아름답다’ 중에서 -

------------------------------------------------


얼마 전 가족과 함께 한 음식점을 찾았습니다. 가정집을 개조한 아늑한 식당이더군요. 주문을 마치자 식당의 주방장은 음식이 천천히 나온다는 점을 설명하며 양해를 구했습니다. 그리고 우리의 먹는 속도에 따라 음식을 하나씩 내오면서 일일이 음식에 대한 설명을 해 주었습니다. 그날 저녁은 최근 몇 년 동안에 가장 느린 식사였고 우리는 음식의 맛과 식탁의 즐거움을 제대로 만끽할 수 있었습니다. 가게 문밖까지 나와 손을 흔들어주는 주방장을 뒤로 하면서 집으로 돌아올 때, 그 날의 즐거움은 휘발되지 않고 뇌에 깊숙이 뿌리를 내리고 있음을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었습니다.    


‘빠름’은 그 자체로 묘한 중독성이 있습니다. 생산적인데다가 그 자체로 쾌감을 줍니다. 하지만 내성도 그 만큼 빨리 생겨 우리를 자꾸 ‘더 빨리’로 나아가게 합니다. 그렇다보니 굳이 바쁘지도 않고 빨리 할 필요도 없는 상황에서조차 우리는 서두르게 됩니다. 결국 삶의 속도가 빠를수록 우리의 감각은 흩어지고 얕아지게 되며, 행위만이 남고 느낌은 사라지게 됩니다. 즉, 우리의 마음이 점점 빈곤해지고 있다면 그 원인 중의 하나는 속도인 셈입니다. 그렇다고 대다수가 ‘느림의 숭배자’가 되어 살아가자는 이야기는 아닙니다. 다만 모든 것을 맹목적으로 더 빨리 하는 것이 아니라 빨리 할 것과 천천히 할 것을 구분하여 삶을 다양한 속도와 알맞은 속도로 살아가는 것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스무살이라는 젊은 나이에 난치병으로 세상을 떠난 사사다 유키에라는 일본 여성에게서 그 작은 해답을 찾습니다. 이 여성은 어려서부터 병과 싸웠기 때문에 자신에게 주어진 남은 삶을 보다 깊이 있게 음미하고 싶었나 봅니다. 그래서 모든 행동에 1초를 더 하자는 메시지를 우리에게 남기고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녀의 메시지를 다시 음미해면서 나는 어떤 행위에 1초를, 1분을, 1시간을 더할지 떠올려봅니다.    


“느긋한 것이 좋습니다. 허둥지둥 두서없이 지내는구나 싶을 때 ‘더하기 1초의 생활’을 합니다. 모든 행동에 1초를 더합니다. 서랍을 열 때 순간 더하기 1초, 펜을 책상에 놓을 때 순간 더 하기 1초, 옆을 볼 때 순간 더하기 1초. 단 1초지만 필요한 시간 외에 1초를 더해 행동하는 거죠. 더하기 1초의 생활이 너무 좋습니다. 한번 시도해보세요.” 

  


- 2009. 11. 25.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342호-

IP *.131.5.204

프로필 이미지
소녀윰
2009.11.25 14:59:14 *.196.56.187
좋은말씀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햇빛처럼나무처럼
2009.11.26 11:38:15 *.190.122.223
오늘 아침 아이를 1초 더 안아 주었습니다.

좋은 말씀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09.12.02 17:13:36 *.248.91.49
아이를 둘을 키워봤어요.
아이들이 어렸을때의 일입니다.

큰아이는 " **야, 밥먹어라" 라는 말이 끝나지마지 이미 식탁에 와서 앉습니다.
그리고 잘도 맛있게 먹어줍니다. 죽을 빼고는 다 잘먹어요.

둘째는 "##야, 밥먹자!"  아침에 부르면 한낮이나 되어야 식탁앞에 나옵니다.
혼내지 않으면 밥을 찾아나서지를 않습니다.
그래서 울면서 밥먹는 사진도 남겨놓았습니다.

엄마의  걱정은
아이들이 커감에 따라
제 밥벌이도 혹시 밥에 대한 욕망처럼 느리게 갈까봐 ...... 그래서 마음을 쓰며 기다렸지요.

지금은 두 아이가 어떻게 되었을까요?
프로필 이미지
전서영
2009.12.23 11:34:22 *.236.70.202
진심으로 매우 강렬하게 답이 궁금해져 늦은 답글을 답니다.
두 아이는 어떻게 되었을까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816 <여름독서3> 서울염소 한 명석 2016.08.24 1173
1815 반대를 대하는 어느 인문주의자의 자세 김용규 2016.08.26 1295
1814 예순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책방 추천 file 재키제동 2016.08.26 1551
1813 당분간은 그와 함께 연지원 2016.08.29 1224
1812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2편) 차칸양(양재우) 2016.08.30 1783
1811 여름을 끝내주는 책- 문요한, 여행하는 인간 한 명석 2016.08.31 1624
1810 위대한 스승을 만나는 방법, 질문 김용규 2016.09.01 1375
1809 예순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출장 재키제동 2016.09.02 1339
1808 마흔아홉, 무엇으로 승부를 걸까요 書元 2016.09.03 1175
1807 나는 3가지 원칙으로 책을 산다 연지원 2016.09.05 1245
1806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3편) 차칸양(양재우) 2016.09.06 1446
1805 애욕이 잦아든 자리에 후진양성이 들어서다 한 명석 2016.09.07 1384
1804 얼마나 무서운 일인가? 김용규 2016.09.08 1261
1803 일흔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코칭 재키제동 2016.09.09 1438
1802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4편) 차칸양(양재우) 2016.09.13 2003
1801 마흔아홉, 나는 어떤 사람인가요 書元 2016.09.17 1288
1800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5편) file [2] 차칸양(양재우) 2016.09.20 2343
1799 박보검이 내 눈길을 잡아챈 이유 한 명석 2016.09.21 1330
1798 어쩌다 아내, 어쩌다 남편, 어쩌다 부모 김용규 2016.09.23 1350
1797 일흔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초심 재키제동 2016.09.23 1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