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0년 10월 1일 08시 48분 등록

  옛날 그라나다에 한 무어인 왕이 살고 있었다. 그에게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모두 아기 왕자가 큰 인물이 될 것이라고 믿어 그에게 알 카멜(완벽한 사람) 이라는 이름을 지어 주었다. 점성가들은 이 왕자가 성년이 될 때 까지 다정한 열정을 조심하여 사랑에 빠지지 만 않는다면 죽을 때 까지 한결같이 행복을 누릴 것이라고 예언했다. 왕은 이 왕자를 위대한 현자의 손에 맡겨, 성년이 될 때까지 알함브라 궁전의 여름 정원인 헤네랄리페에 갇혀 지내게 했다.

그러나 나이가 들어 왕자는 정원을 거닐며 생각에 잠기게 되고 시를 알게 되었다. 그리고 사랑에 빠진 비둘기 한 마리를 만나게 되었다. 비둘기는 왕자에게 사랑이 무엇인지 말해 주었다.

"그것은 혼자에게는 고통이고, 둘에게는 행복이며, 셋에게는 원한이자 싸움이랍니다. 그리움에 지친 낮이며 잠 못 드는 밤이랍니다. 두 존재를 끌어 당겨 하나로 모아 주는 것이지요"

비둘기의 말을 듣고 왕자는 깊은 여름 정원의 담을 넘어 멀고 험한 사랑의 길을 찾아 나서게 되었다. 그리고 그의 순례는 아름다운 알데곤다를 만남으로써 완성되었다. 알함브라 궁전의 많고 많은 전설 중에서 아흐메드 알 카멜 왕자의 사랑의 순례이야기는 백미에 꼽힌다.

워싱턴 어빙이라는 작가는 알함브라 궁정을 사랑하여, 몇 달간 그곳에 머물면서 '알함브라 이야기'라는 책을 쓰게 됩니다. 무어인들의 캐스터네츠에 맞추어 춤을 추며 은빛 목소리로 노래를 부르던 집시들의 축제에서 알 카멜 왕자의 이야기를 듣게 되고 그는 이 이야기에 깊이 빠져들게 되었던 것이지요.

자기 경영은 비둘기의 목소리를 듣는 것입니다. 어떻게 그럴 수 있는 지는 잘 모릅니다. 그러나 언제 어느 순간 우리는 그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종종 그것은 느티나무의 소리 일 수 도 있고, 흐르는 냇물의 목소리일 수도 있습니다. 우리는 우주와 분리되어 있지 않으니까요. 우리 속에 우주가 온전히 들어와 숨 쉬고 있고, 우리가 곧 인류 전체라는 것을 불현듯 깨달을 때가 있습니다. 그때 그 목소리를 따라 나서는 것이지요.

가을이 예뻐, 시간이 날 때 마다 산길을 걷습니다. 가끔 나는 사라지고 길을 걷고 있는 것은 내가 아닙니다. 나는 바람을 타고 나르기도 하고, 작은 다람쥐의 등에 올라 나무 사이를 휙휙 건너 뛰어 다니기도 합니다. 더없이 맑은 햇살에 익어가는 쥐똥나무 열매가 되기도 합니다. 내가 사라지고 없을 때, 바로 그 찰라에, 우리는 아마 루비 눈을 가진 산비둘기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것입니다.

IP *.160.33.180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10.01 12:54:41 *.10.44.47
루비눈을 가진 산비둘기도
한없이 깊고 그윽한 눈을 가진 그 남자의 목소리를 기다리고 있을지도 모르겠네요.  ^^
잘 지내시죠?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36 [수요편지 5- 죽음편지 1] [2] 수희향 2017.05.10 1034
3335 [수요편지 8- 로욜라의 메타노이아] [2] 수희향 2017.06.28 1034
3334 백열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이탈리아 여행후기 [6] 재키제동 2017.08.25 1034
3333 [수요편지] 인생은 험난한 항해다 [1] 불씨 2023.04.25 1034
3332 새로운 여행이 시작되었다 연지원 2016.10.17 1035
3331 '첫 경험', 많이 해보셨나요?(후편) [2] 차칸양 2017.09.12 1035
3330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신들의 자손이 먹는 치즈-페타(Feta) [3] 알로하 2019.03.02 1036
3329 [수요편지 4- 맨발의 면접여행] [4] 수희향 2017.04.26 1037
3328 2018 무술년의 새로운 시작, “어떻게 살 것인가?” [5] 차칸양 2018.01.02 1037
3327 어쩌다 그것이 된 우리는 김용규 2016.10.07 1038
3326 [라이프충전소] 부모님을 모시고 첫 해외여행을 다녀왔습니다 [5] 김글리 2022.12.03 1039
3325 우리가 ‘흙수저’라고? - 첫번째 이야기 [6] 제산 2017.02.26 1040
3324 머리를 아래로, 엉덩이를 위로 하는 사색 [1] 옹박 2017.07.10 1040
3323 [용기충전소] 자신만의 사막을 건너는 법 [4] 김글리 2020.08.28 1040
3322 [수요편지] 좋은 관리자가 되는 방법 불씨 2023.09.20 1040
3321 ‘시’로 말해요 – 두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4.24 1041
3320 일상에 스민 문학-대통령 후보 토론회와 고골의 <외투> file [2] 정재엽 2017.05.03 1041
3319 [용기충전소] 한글날, 쉬어갑니다 file 김글리 2020.10.09 1041
3318 [알로하의 맛있는 편지] 한 여름에 즐기는 우리나라 와인 2 file 알로하 2019.08.18 1042
3317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