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관리자
  • 조회 수 347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5월 11일 09시 45분 등록
“부끄러움을 이겨내기 위해서 사업을 시작했어요. 좋아하는 일을 할 때는 두려움이 없고 부끄러움에 사로잡히지도 않아요. 그래서 고통도 덜 느낍니다. 마음이 불편하면 안전지대를 찾습니다. 정말 긴장되고 붉어지면, 상대방에게 미소 지으며 조금 부끄러움을 탄다고 말합니다. 일단 그렇게 말하고 나면 혼자라는 느낌은 그다지 들지 않아요.”

- 버나도 카두치의 <부끄러움> 중에서 -
---------------------------------------------------------

 

말을 더듬는 형제를 만난 적이 있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이 있었기에 두 사람은 어려서부터 말을 더듬었습니다. 아이들이 흉내를 내며 놀리는 통에 자라면서 두 사람 모두 참 힘들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비슷한 말더듬을 가지고 있던 두 사람의 삶은 점점 차이가 벌어졌습니다. 형은 남 앞에 나서는 자리를 늘 피해 다녔습니다. 자신의 약점을 늘 감추는데 급급하느라 정작 대학 졸업 후에는 면접을 볼 수 없어 집에서 지냈습니다. 하지만 동생은 달랐습니다. 그 역시 부끄러웠지만 그는 부딪히는 것을 선택해 왔습니다. 

동생은 학교를 졸업 후에 세일즈맨이 되었습니다. 말 더듬는 그를 보며 회사 동료들은 은근히 무시를 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실적은 향상되었고, 해당 지점에서 몇 년 동안 세 손가락 안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동생의 이야기는 이러했습니다. “처음에는 저도 말 더듬는 것 때문에 긴장도 많이 해서 더 말이 안 나올 때가 많았습니다. 그러나 이를 인정하고 고객에게 양해를 구하면 대부분은 이해해주셨습니다. 그리고 말솜씨가 부족하기에 말을 잘하려고 하기보다는 필요한 자료를 꼼꼼하게 준비하거나 발로 뛰는 성실한 모습을 보여드렸습니다. 그런 저를 보고 말은 잘 못하지만 참 믿을 만한 사람이라고 인정을 해주셨습니다. 그리고 고맙게도 제가 부탁하지 않았는데도 주위 분들에게 소개를 많이 해주셨습니다.”


부끄러움처럼 우리는 모두 약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대부분의 약점은 인간적인 약점이며 밖으로 드러난다고 해서 스스로 걱정하는 것만큼 끔찍한 결과를 초래하지 않습니다. 약점이 있다면 이를 구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약점을 부정하거나 도망치지도 않고 그렇다고 반대로 사로잡혀서도 안 되며 그저 자신의 한 부분으로 인정하고 통합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리고 자신의 다른 강점으로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습니다. 


굳이 약점을 극복하지 않더라도 약점에 대해 생각하고 느끼고 행동하는 방식을 조금씩 바꿀 수 있다면 약점은 당신의 발목을 잡지 않습니다. 약점이 당신보다 더 큰 것이 아니라 당신이 약점보다 더 큰 존재이니까요. 그렇지 않나요? 
 




- 2011. 5. 11.  '당신의 삶을 깨우는' 문요한의 Energy Plus 481호-



link.jpg




   
<알림>
주말 워크샵안내 - 5월 21일(토) '의식전환을 위한 이미지 트레이닝' 

제가 운영하는 정신경영아카데미에서는 '부정적인 마음상태에서 벗어나 긍정적인 마음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이미지 트레이닝'을 주제로 5월 21일 4시간 동안 주말워크샵을 개최합니다. 주말 워크샵에 대해 관심이 있는 분은 안내(클릭!)를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IP *.128.203.197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57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16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16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24
4332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40
4331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42
433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7
432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9
4328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51
4327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52
4326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54
4325 목요편지 -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구두 운제 2019.01.18 754
4324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54
4323 [금욜편지 48-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1- 자기고백] [2] 수희향 2018.08.03 756
4322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56
4321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56
4320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2. 기쁨의 책읽기를 잃어버린 사회 제산 2019.04.14 757
4319 목요편지 - 친구여! 운제 2018.11.29 758
4318 한 해를 정리하고 새해를 맞이합니다. 제산 2018.12.24 758
4317 [금욜편지 33- 1인회사 연구원들과 공저] [6] 수희향 2018.04.20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