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문요한
  • 조회 수 4630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1년 8월 31일 08시 09분 등록
“우리는 신체적인 것과 인지적인 것이 나란히 간다고 생각했고, 부분적으로 그 이유에 힘을 입어 교육적 자원들을 청년기에 쏟아붓죠. 그때가 자원으로부터 가장 큰 이득을 볼 수 있는 시기라고 생각하면서요. 하지만 지금은 모든 게 완전히 달라졌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해요.”

 

- 바버라 스트로치의 <가장 뛰어난 중년의 뇌> 중에서 -

-----------------------------------------------

 

어릴 때 ‘공부에는 때가 있다’라는 말을 들어본 적이 있으시지요? 나이 들면 머리가 안 좋아지니까 한살이라도 젊을 때 공부하라는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 말은 결국 우리의 두뇌가 청소년기에 가장 뛰어나다는 전제가 깔려 있습니다. 그런 문화에서 자랐기에 우리는 알게 모르게 20대를 넘어서면 뇌는 굳어지고 고리타분해지고 잘 회전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런데 정말 우리의 뇌는 20대가 넘어서면 한물 가는 것일까요?

  

펜실베니아 주립대학교의 심리학자인 셰리 윌리스Sherry Willis 등은 시애틀에서 40여년에 걸쳐 약 6,000명을 대상으로 정신기능 평가와 수명연구를 진행하여 왔습니다. 그 검사결과를 보면 중년의 나이(40세~65세)에 가장 인지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구체적으로는 어휘, 언어기억, 계산능력, 공간정향(물체의 회전에 따른 형태변화를 식별하는 것), 지각속도, 귀납적 추리 등 총 6개의 영역에서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는데 계산능력과 지각속도를 제외한 4가지 영역에서 중년의 나이 때 최고의 수행력을 보인 것입니다. 그녀는 두 가지 기능은 다소 떨어지지만 종합적으로 볼 때 뇌는 중년에 이르러서야 인지적 절정에 달하고 다양한 경험이 더 해져 가장 높은 수행력을 보이는 시기라고 이야기합니다.

 

스탠포드 대학교 경제학자인 존 쇼븐John B. Shoven은 길어진 인생의 변화를 감안해서 진정한 나이를 출생 이후의 햇수가 아니라 남은 삶의 햇수로 결정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그가 제안한 역 생애곡선에 따르면 1년 안에 죽을 위험이 1%미만이면 젊은이이고, 1년 안에 죽을 위험이 4%가 넘으면 늙은이라고 보았습니다. 결국 그의 기준에 따르면 중년기는 1년 안에 죽을 확률이 1~4%인 기간인데 2,000년 기준으로 남자는 58세경부터, 여자는 63세경부터 중년이라 부를 수 있습니다. 저는 남은 삶을 기준으로 인생의 시기를 구분하자는 그의 제안에 열렬히 동의합니다. 아직도 많은 중년들이 뇌의 전반적인 능력 향상을 살피지 못하고 물건을 두고 잘 찾지 못하는 것과 같은 부분적인 결함만 예민하게 지각함으로써 스스로 한계 안에 자신을 가둬두기 때문입니다.

 

중년의 뇌가 가장 똑똑합니다. 중년의 뇌에 찬사와 존경을 보낼수록 우리 삶은 나이가 들어가면서 더욱 풍요로워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유행가 가사처럼 ‘중년의 뇌가 제일 잘 나가!’라고 노래하면 어떨까요? 같이 부를 의향이 있으신가요?


 
 
 

- 2011. 8. 31.  '당신의 삶을 깨우는 ' 문요한의 Energy Plus 507호-


link.jpg








IP *.120.20.156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58
4335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16
4334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18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24
4332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42
4331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43
433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7
432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9
4328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53
4327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54
4326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54
4325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56
4324 [금욜편지 48-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1- 자기고백] [2] 수희향 2018.08.03 757
4323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57
4322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57
4321 목요편지 -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구두 운제 2019.01.18 758
4320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2. 기쁨의 책읽기를 잃어버린 사회 제산 2019.04.14 758
4319 [금욜편지 33- 1인회사 연구원들과 공저] [6] 수희향 2018.04.20 759
4318 목요편지 - 사람평가 운제 2018.07.19 759
4317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