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최우성
  • 조회 수 4494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3년 6월 7일 08시 46분 등록

오, 사라졌구나. 내게 무척이나 소중한 그대,

내 소망도 꿈처럼 날아가 버렸네

내 아름다움의 비결도 그대와 더불어 가 버렸네

 

그러나 여신인 나 자신은 죽을 수 없기에

그대를 따라갈 수 없네

한번만 더 입 맞추어 다오, 마지막 긴 이별의 입맞춤을

내 입술로 그대의 영혼 빨아들여

그대의 사랑 전부 들이키도록

 

이 시는 3세기 쯤 살았던 알렉산드리아의 한 시인의 시입니다. 사랑의 여신 아프로디테가 사랑하는 연인 아도니스의 죽음에 애통해 하는 장면이지요. 청년 아도니스는 사냥 중에 멧돼지 한 마리에게 상처를 입혔는데, 상처에 불같이 미친 그 멧돼지는 커다란 송곳니로 아도니스의 몸을 꿰뚫어 놓습니다. 높은 곳에서 백조가 이끄는 마차를 타고 가던 여신이 아도니스의 신음을 듣고 내려와 죽어가는 연인을 안고 입을 맞춥니다. 그리고 눈물과 함께 탄식합니다. 그게 바로 이 시입니다. 아도니스의 피가 흐른 곳에서 붉은 꽃이 피어 오르기 시작했지요. 그 꽃이 바로 아네모네입니다. 봄꽃이지요.

 

여름에는 꽃이 별로 없습니다. 배롱나무 꽃은 아직 피지 않았고, 능소화만 한참입니다. 그나마 어제 쏟아져 내린 장마비에 피어 있던 꽃들은 다 떨어졌습니다. 데크에 수북히 떨여져 누운 꽃들이 아직 싱싱한데, 문득 한 생각이 날 찾아들었습니다. 사람이 죽어 꽃이 된다면, 그리하여 내 죽은 자리에도 꽃이 핀다면, 어떤 꽃이 필까 ?

 

난 꽃이 귀한 여름에 피는 꽃이면 좋겠습니다. 시냇가에 하늘거리며 피는 흰 수술을 가진 파란 돛단배 같은 꽃이었으면 좋겠습니다.

 

자기혁명은 자신에 대한 멋진 이야기를 써 보는 것입니다. 그 이야기가 바로 자신의 신화입니다. 지웠다 맘에 들지 않아 다시 써 보고, 그 짓을 되풀이 하다 보면 정말 마음에 드는 아름다운 이야기를 하나 만들어 낼 테지요. 자신이 만든 이야기가 스스로의 운명이 될 때, 우리는 비로소 그 이야기 속의 주인공으로 살게 됩니다.

 

당신이 꽃이라면 어떤 꽃인지요 ?

 

(2009.7.10)

 

***

지난 5.31일 ‘웃고 노래하라, 춤추라’ 는 주제로 마지막 추모의 밤이 끝났습니다. 노래와 춤이 꽃으로 피어난 유쾌한 밤이었습니다. 대지는 꽃을 통해 웃고, 사람은 노래와 춤을 통해 꽃을 피운다는 것을 배웠습니다. 6차에 걸친 추모의 밤을 지내고 공식적인 추모행사를 종료합니다. 시로, 사연으로, 그림으로 함께 해 주신 여러분께 감사드립니다.

 

곧 다가올 7월,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가 새로운 모습으로 태어납니다.

새롭게 인사를 드리는 7월까지 구본형 선생님의 금요 앵콜편지를 연장합니다.

감사합니다. 

IP *.30.254.2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656 [화요편지]삶의 기쁨이 깨어나는 시간, 아난다 인요가 file 아난다 2020.12.22 6343
655 같이 오른다는 것에 관하여 (데날리 이야기) [2] 장재용 2020.12.22 1649
654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6
653 [용기충전소] 매일 매일이 새로워지는 비법 file [1] 김글리 2020.12.25 2109
652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0] 은퇴 후 나는 무엇으로 돈을 벌 수 있을까? [1] 습관의 완성 2020.12.27 1774
651 [화요편지]가장 사랑하는 그들이 나를 아프게 할 때 file [2] 아난다 2020.12.29 1864
650 캐나다 록키산맥 Mt. Cascade 등반기 [1] 장재용 2020.12.29 1597
649 마지막 편지 [4] 운제 2020.12.31 1576
648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41] 꿈을 찾아 퇴사부터 하려는 당신에게 [2] 습관의 완성 2021.01.03 1864
647 [화요편지] 책 속에는 답이 없다, 그러나 file [2] 아난다 2021.01.05 2116
646 에트나(Mt. Etna)에 있드나 [1] 장재용 2021.01.05 1950
645 목요편지를 시작하며 [2] 어니언 2021.01.07 1375
644 [용기충전소] 불안을 친구로 만들기 김글리 2021.01.08 1450
64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깨져야만 알게 되는 것들 file 알로하 2021.01.10 2152
642 [월요편지 42] 미래에서 온 아버지의 첫 편지 [1] 습관의 완성 2021.01.10 1652
641 [화요편지]'책 속에는 정말 답이 없는 거냐'고 묻는 당신에게 [2] 아난다 2021.01.12 1601
640 수틀리면 터져버리는 그녀, 에트나처럼 [1] 장재용 2021.01.13 1628
639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79
638 [용기충전소] 거북이가 이긴 이유 [1] 김글리 2021.01.15 1975
637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아프니까 프로다 [2] 알로하 2021.01.17 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