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3532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13년 10월 10일 00시 47분 등록

나는 사랑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사람인가 봅니다. 돌이켜보면 나는 참 많은 대상에 빠져들었고 빠져드는 모든 것들을 사랑하고자 애썼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안타깝게도 내 사랑은 어느 순간 늘 고독과 직면하곤 했습니다. 가족을 사랑하고 친구를 사랑하고, 인연이 되어 자연스레 빠져들었던 몇몇의 여인을 사랑했거나 하고, 억압과 부조리로 가득한 세상을 사랑하고, 마침내 생명에 대한 사랑에 빠져들고, 다시 내가 살아가는 지역과 이웃을 사랑하고...

 

하지만 내 마음을 뻗어 껴안으려했던 모든 사랑들은 어느 순간 내게 고독을 주었습니다. 먼저 가족은 구성원 저마다에게 아픔이 있거나 새로 생겨났고, 사랑하는 그들의 아픔들을 가녀린 내 힘으로는 도저히 어쩌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아프게 알게 되었지요. 친구들과의 사랑도 그랬습니다. 각별했던 우리는 각자 삶 앞에 부여된 무게에 짓눌리며 하나 둘 멀어져갔고 이제는 가슴에 지닌 그리움만큼 보고 살지 못하고 있습니다. 몇몇의 여인들에게 빠져들었던 내 마음은 또 번번이 얼마나 가난한 결과를 낳았는지요. 더 번듯한 가문의 사내를 찾아 떠난 여자, 더 온화하다거나 더 잘 난 사내를 찾아 떠난다며 나를 팽개친 여자도 있었지요. 숲을 사랑하고 있지만 이따금 찾아드는 고독은 어쩌지 못합니다. 숲에 온전히 스며들지 못하는 느낌이 드는 날 나는 자주 고독해 집니다. 이웃과 더불어 점점 참담해져가는 농산촌의 미래에 어떤 빛 한 조각 떨어질 수 있게 하고 싶다는 애정 역시 좌표를 잃고 힘겨워지는 날이 많습니다.

 

나는 그렇게 내 품은 사랑 때문에 자주 고독을 겪습니다. 너무 많이 고독해지면 더는 사랑하지 않고 살아야 할까 생각하는 날마저 있습니다. 하지만 이제 나이가 들어서일까요? 모든 사랑이 본래 고독한 것이라는 것을 나는 알게 되었습니다. 그것이 지금 내가 하고 있는, 혹은 앞으로도 계속하게 될 사랑의 희망입니다. 나 하나를 사랑하는 일도 어려운데 타자를 사랑한다는 것은 얼마나 고독할 수밖에 없는 것인가를 알게 되었습니다. 그와 하나가 된다는 것은 고사하고 그에게로 가 온전히 닿는 것조차 얼마나 어렵고 힘든 것인지 알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가 사랑하고 싶은 모든 타자가 품은 욕망과 관점과 기호와 방향 따위에는 그들이 키워온 긴 역사가 있고 고유의 자유와 운동성이 있으니 이 모든 것들이 나의 그것과 버무려지기는 너무도 어려운 것이라는 사실을 깨닫는 나이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무리 고독하다해도 내 사랑의 고독에는 희망이 있습니다. 그것 때문에 나는 사랑하지 않고는 살아갈 수 없는 사람입니다. 사랑하며 사는 삶이야말로 정말 살아있는 삶이라는 것, 그것이 사람답게 살고자하는 모든 자들의 숙명임을 아니까요. 고독이야말로 누군가를 무엇인가를, 모든 타자를 사랑할 때 감당해야 할 정수니까요.

IP *.20.202.74

프로필 이미지
2013.10.10 07:31:28 *.1.160.49

이 아침, 깊은 위안을 얻어 갑니다.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3.10.10 11:17:17 *.142.242.20

'나의 그것과 버무려지기는 너무도 어려운 것'

버무려지기에 꽂혀 한 참 이 단어가 속한 문장을 읽었습니다. 

사랑에 관한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위로를 받고 갑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58
4335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16
4334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16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24
4332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40
4331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42
433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7
432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9
4328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52
4327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53
4326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54
4325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54
4324 목요편지 -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구두 운제 2019.01.18 755
4323 [금욜편지 48-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1- 자기고백] [2] 수희향 2018.08.03 756
4322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56
4321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57
4320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2. 기쁨의 책읽기를 잃어버린 사회 제산 2019.04.14 757
4319 목요편지 - 친구여! 운제 2018.11.29 758
4318 한 해를 정리하고 새해를 맞이합니다. 제산 2018.12.24 758
4317 [금욜편지 33- 1인회사 연구원들과 공저] [6] 수희향 2018.04.20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