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자유

주제와

2014년 1월 15일 09시 56분 등록

직장인, 책에서 길을 묻다

 

후회는 나쁜 것일까? 많은 직장인들이 “후회 없는 삶을 살고 싶다”고 말하는 걸 보면, 후회는 분명 나쁜 것이다. 사람들은 후회를 ‘지나간 버스에 손 흔드는 것’으로 여긴다. 하지만 우리가 아무리 후회를 하고 싶지 않아도 완전하게 후회를 피할 수는 없다. 인생이 모순이고 어려운 이유다. 여기서 좋은 소식 하나. 저자인 닐 로즈는 “후회는 필요한 것”이라고 강조한다.

 

“후회는 음식을 먹는 것만큼이나 건강한 삶을 위해 필수적인 것이다. 그리고 너무 지나치거나 모자라면 문제가 생긴다. 너무 후회가 많으면 과거를 극복해 미래로 전진하지 못하고, 너무 후회를 안 하고 자신의 감정 경험에서 오는 교훈을 계속 무시하면 비생산적인 행동을 고집하여 성장과 발전의 기회를 놓친다.”

 

후회는 사후가정사고(事後假定思考)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사후가정(counterfactual)은 이미 일어난 사실에 대해 반대 상황을 가정하는 것을 말한다. 사후가정사고는 이미 일어난 사실과 다르게 ‘…할 수도 있었는데’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우리가 일상에서 흔히 하는 ‘만약에 … 하기만 했다면’, ‘거의 … 할 뻔했는데’와 같은 말들은 사후가정사고의 표현이다.

 

후회는 사후가정사고에 수반되는 감정이다. 사후가정사고는 ‘상향적 사후가정사고’와 ‘하향적 사후가정사고’ 이렇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상향적(upward) 사후가정사고’는 실제 상황을 더 바람직한 상황과 비교하는 것이다. ‘내가 그때 주식을 팔았으면 더 높은 수익률을 기록했을텐데’, ‘내가 그때 그런 말을 하지 않았으면…’과 같은 생각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에 속한다. 반대로 일어난 일이 더 나쁘게 되었을 수도 있었다고 가정하는 것을 ‘하향적(downward) 사후가정사고’라고 부른다. 정리하면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비판적 사고에 가깝고,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낙관적 사고에 가깝다.

 

두가지 사후가정사고 모두 우리에게 유용하다. 이미 일어난 사실을 더 좋은 결과와 비교하는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잘못한 선택이나 행동에 대해 분석하고 반성함으로써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도와준다. 그래서 로즈는 상향식 사후가정사고에 대해 ‘개선, 향상, 발전으로 가는 지름길’이라고 말한다. 그에 비해 하향적 사후가정사고는 실제 상황을 더 나쁜 상황과 비교함으로써 지금 상황을 보다 긍정적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해준다. 예를 들어, 회사 일에서 기대한 성과를 내지 못한 사람이 “그래도 프로젝트 결과가 최악은 아니야”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비판적으로 생각하는 사람은 상향적 사후가정사고를 많이 한다. 이런 사람일수록 후회의 밝은 면을 보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래야 과도한 죄책감이나 좌절감에 빠지지 않을 수 있다. 반대로 낙관적으로 생각하는 경향을 가진 사람은 긍정적인 면뿐만 아니라 상향식 사후가정사고도 해야 한다. 그래야 현실을 직시할 수 있고, 성찰을 통한 성장이 가능하다. 과도한 좌절감과 마찬가지로 대책 없는 낙관주의도 성장에 도움이 안 된다. 뭔가에 대해 후회하는 과정은 괴롭지만, 자기 자신과 어떤 일에 대한 후회를 이해하고 활용함으로써 스스로를 더 나은 존재로 만들 수 있다.

 

홍승완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kmc1976@naver.com

 

 1389611425_00493724201_20140114.JPG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이름으로 한겨레 신문에 연재하고 있는 열여섯번째 칼럼이 1월 14일자에 실렸습니다.

아래 링크 참고하시고 많은 관심과 성원을 부탁 드립니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working/619577.html

 

IP *.252.144.139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448 그림( 글.그림 옮겨 발췌) 2003.10.01 2013
1447 맛있는 만화 신영숙 2003.09.02 2013
1446 세상의 어떤 소중한 가치 주의 이념 사상이 있었다해도 삶... id: 숲기원숲기원 2013.08.18 2012
1445 [한겨레신문] 유재경 칼럼 '승부는 관중을 위한 정보일 ... file 재키제동 2014.10.02 2011
1444 가고 보내고 우리는 돌아고고 그분은돌아가갔다. [1] id: 숲기원숲기원 2013.09.03 2011
1443 모기 구본형 2003.07.07 2010
1442 -->[re]어떤 분인지 무지하게 궁금했습니다. POSTURE 2003.06.20 2010
1441 <글쓰기강좌 입문 19기모집> 8/31,9/1,9/7,9/8 주말반 file 한 명석 2013.08.21 2009
1440 개강1주전>> 철학, 예술, 음악, 프랑스어 등 강좌가 6월 ... file 글쓴이 2013.06.18 2007
1439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세번째 모임 공지! [6] 운전 정희근 2007.11.21 2007
1438 영남에 계신 분 손 드세요. [19] 정희근 2007.07.05 2007
1437 [당신의 창업을 성공으로 이끌 수만 있다면] / 셋 [2] 이철민 2014.10.25 2006
1436 구변경연-함성 영남권 5월(추모)모임 공지! [2] 운 전 2013.05.24 2006
1435 아쉬운 한해를 보내는 마음 [8] 어당팔 2005.12.29 2005
1434 치유와 코칭 백일쓰기 29기 지원안내 효우 2017.01.04 2004
1433 2014년 봄동안 Love Virus 그림엽서 보내드려요. 신청하세... file 타오 한정화 2014.02.12 2004
1432 아주 특별한 인터뷰 - 제리 멕과이어 file [7] 亨典 이기찬 2006.12.07 2003
1431 한 주에 책 한권을 읽는다는 것... [1] 조윤택 2006.03.21 2003
1430 -->[re]데이트..좋았겠당 낭만공주 2003.08.07 2003
» [한겨레 신문] 홍승완 칼럼 '후회, 합시다' 재키제동 2014.01.15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