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2959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4년 3월 20일 00시 23분 등록

 

 

엊그제 흥미로운 강의를 들었습니다. 강사는 한 시대를 풍미했던 개그맨 출신의 강연자였습니다. 20세기 말엽 그는 한 해에 열 개 가까운 광고모델로 활동을 요청받을 만큼 대중적으로 각광받았던 인물입니다. 나도 그를 좋아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인가부터 그는 텔레비전에서 사라졌습니다. 그리고 반 오십 년 만에 그를 강연자로 마주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자신의 과거가 어떻게 찬란했고 어떻게 추락했으며 그 사이 어떤 고통을 겪었고 지금 어떻게 살고 있는지, 지금의 삶이 또 어떻게 만족스럽게 유지되고 있는지를 들려주었습니다. 그의 말솜씨는 여전했습니다. 청중을 들었다 놨다하는 언변과 청중의 마음을 쥐락펴락하는 솜씨와 진정성으로 채워진 이야기가 결합되어 참석자들은 웃고 울고 감동하고 있었습니다.

 

들어보니 그가 한 순간에 텔레비전에서 사라지게 된 사건은 정치판에 초대받은 날의 코미디 때문이었습니다. 아주 거대한 정치 행사에서 주최 측이 권유한 내용의 개그를 했는데 그것이 개그가 아닌 발언으로 언론에 보도되면서 참변을 겪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 정치 행사를 주관한 사람들과 다른 정치색을 지닌 대중들로부터 아주 극심한 반격과 비난을 받아야 했고 결국 무대 아래로 내려오게 되었던 것이지요. 이후 긴 세월을 무참한 심정으로 견뎌 와야 했던 그는 강의에서 물었습니다. “화려한 시절이 더 불안할까요? 어두운 시절이 더 불안할까요?”

 

여러분은 어느 쪽이 더 불안할 것 같으신지요? “화려함? 어두움?” 나는 마음속으로 이렇게 답했습니다. “둘 다!” 강연자인 그도 그렇게 말했습니다. 삶이 그런 거라고, 화려할 땐 화려한대로 어두울 때는 어두운 대로 불안한 거라고! 둘 다의 시간을 경험한 그가 내놓은 해법은 내가 깊이 공감하고 있고 나 역시 강연 자리에서마다 역설하는 지혜였습니다. 달팽이처럼, 지렁이처럼, 혹은 뱀처럼 온 몸으로 땅을 기어 제 삶의 자국을 남긴 사람들만이 살아있는 지혜를 쏟을 수 있습니다. 그것은 책 수 백 권을 삼킨다고 나오는 지혜가 아닙니다. 그것은 온 몸으로 체득한 자만이 내놓을 수 있는 지혜, 그의 지혜는 그런 것이었습니다.

 

그 지혜의 핵심은 욕망에 흔들리지 않을 철학을 갖고 사는 것이었습니다. “나 한 놈 정도는 이렇게 살아야 한다는 철학! 나는 그것을 붙들고 삽니다.” 그래서 그는 충분한 돈이 있지만, 돈 벌면 다 모여든다는 서울의 어느 지역으로 이사 갈 생각 안하고 투박하지만 정든 동네를 지키며 살고 있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한 번 산 차는 십 년을 탄다고 했습니다. 그래서 그는 모두가 정치를 권유해도 그곳을 결코 기웃거리지 않고 살고 있다고 했습니다.

강의를 들어보니 그의 삶과 사유는 지혜로 농익어 있었습니다. 청중을 사로잡기에 그 내용이 충분했습니다.

 

청중 대부분은 그의 풍부한 장치들과 내용에 마음을 내어 박수를 보냈지만 나는 조금 다른 이유로 박수를 보냈습니다. 그가 형성한 바로 그 철학이 얼마나 뼈저린 직면에서 온 것인지를 알기에 보내는 박수였습니다. 그는 그 정치판에서 했던 개그를 불가피했다고 말했습니다. 서슬 퍼런 권력을 지닌 자들의 무언의 압박을 거부하지 못한 이유를 책임질 것이 있는 아비라서, 남편이어서, 가난 견디고 키워주신 어머니의 아들이기 때문이라고 변명했습니다. 나는 그 변명을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지만 그렇다 해도 나는 그것을 당시 가졌던 눈 먼 욕망에 대한 변명으로 평가합니다. 비록 그 과거에 대한 인식이 내 철학적 기준에서 다소 부실함을 가진 것으로 평가하더라도 나는 이후 그가 키워온 눈 뜬 본성과 그 본성을 따라 사는 모습에 큰 존경을 표하고 싶었습니다. 그날 보낸 나의 박수는 후자에 대한 존경의 표시였습니다.

 

우리가 원하지 않는 삶을 사는 이유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그 중에 핵심은 그의 표현대로 책임져야 할 그 현실적인 무엇 때문인 경우가 아마 가장 많을 것입니다. 책임져야 할 가족이 있고, 관계가 있으며 유지해야 할 삶이 있어서 그랬다고 변명하며 우리는 본성에서 들려오는 어떤 음성에 귀를 닫아 버립니다. 본성에서 보여주는 어떤 장면에 눈을 감습니다. 그리고 세상은 그런 눈 먼 욕망들을 집단적으로 정당화해주는 구조를 매일 굴리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눈 먼 욕망눈 뜬 본성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나는 그것을 차려진 밥상에서 숟가락을 내려놓느냐 놓지 않느냐의 차이 같은 것이라고 표현하고 싶습니다. 이미 적당히 음식을 먹었는데도 숟가락을 내려놓지 못하고 조금 더 음식을 먹은 경험이 있는 사람은 알 것입니다. ‘본성은 배가 고프면 밥을 먹어야 하는 것입니다. ‘눈 뜬 본성은 알맞게 배가 부를 때 조금 더 채워 넣으려 하지 않고 수저를 내려놓는 용기를 발휘하는 마음입니다. ‘눈 먼 욕망한 술만 더를 갈구하며 계속 수저질을 하는 마음이라 하겠습니다.

 

회갑을 훌쩍 넘긴 그는 지금 눈 뜬 본성을 따라 살고 있었습니다. 그의 아픈 고백처럼 당시 그는 그 요청을 지혜롭게 거부했어야 합니다. 그의 말처럼 필요하다면 고향으로 도망쳐 농사를 지으며 다른 날을 기다려야 했을 것입니다. 그 깨달음을 얻었기에 그는 상대적으로 가난하지만, 철학대로 사는 지금의 삶을 기뻐할 수 있는 것이라 짐작합니다.

그렇습니다. 새로운 삶을 살고자 한다면 그 사람은 반드시 눈 뜬 본성을 발견해야 합니다. 깊게 직면하면 누구나 그것과 마주할 수 있습니다. 그도 나도 경험한 부분이니 믿으셔도 좋습니다.

IP *.149.171.13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76 어기적거리며 걷고 있다면 연지원 2016.10.24 1022
1775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마지막편) 차칸양(양재우) 2016.10.25 1257
1774 학자나 문인이 아닌, 일반인이 쓴 책중 베스트 한 명석 2016.10.26 1323
1773 정의…2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0.27 953
1772 일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덜어내기 재키제동 2016.10.28 963
1771 다시 걷습니다 書元 2016.10.29 995
1770 심장의 두근거림을 듣는 독서 연지원 2016.10.31 1145
1769 인공지능의 시대, 경제는 어떻게 변하게 될까? 차칸양(양재우) 2016.11.01 1409
1768 정의…3 사회적 정의는 어디에서 싹트는가? 김용규 2016.11.03 1027
1767 일흔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운동 코칭 재키제동 2016.11.04 1353
1766 아뿔싸! 또 글이라니! 연지원 2016.11.07 1002
1765 노래 한곡이 내 맘으로 무찔러 들어왔다 [1] 차칸양(양재우) 2016.11.08 1319
1764 선수들 - 최인아책방에 다녀와서 file 한 명석 2016.11.09 1284
1763 정의4-일어서야 할 시간 김용규 2016.11.10 5531
1762 일흔여덟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한 편 file 재키제동 2016.11.11 1128
1761 가을 뒤안길 書元 2016.11.12 1015
1760 비전과 목표가 중요한가 연지원 2016.11.14 1186
1759 트럼피즘(Trumpism), 불확실성을 대표하는 키워드 file 차칸양(양재우) 2016.11.15 998
1758 이별은 불시에 찾아온다 file 한 명석 2016.11.16 1224
1757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김용규 2016.11.17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