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어니언
  • 조회 수 300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4년 4월 26일 14시 32분 등록

  지난 4 13일은 아버지 기일이었습니다. 하루 전이었던 12일 토요일에 추모 미사와 추모회가 있었습니다. 미사 시간보다 조금 일찍 절두산 성당에 가보니 아버지의 유골함을 덮고 있던 석판이 치워져 있었습니다. 이곳은 설, 추석, 본인의 기일에만 고인의 유골함을 볼 수 있게 되어있습니다. 몇 안 되는 날 중 하루입니다. 날씨도 따뜻했고 제단 앞에 장식할 아름다운 꽃도 도착했습니다. 작년에 장례미사와 백일미사를 치러주신 신부님께서 1주기 미사도 맡아주셨습니다. 이번에도 강론은 모든 참석자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고, 함께 했던 각자의 추억들을 맑게 닦아낼 수 있었습니다. 미사가 끝나고 맛있는 밥과 과일, 떡을 나눠 먹고는 살롱9로 향했습니다.


이미 자리가 절반쯤 차있었고, 먹음직스러운 음식과 음료들이 잔뜩 차려져 있었습니다. 그곳에서 우리는 함께여서 아주 멋졌던 여행에 대한 이야기를 몇 시간에 걸쳐서 나눴고, 아주 특별한 밴드와 흥겹게 노래도 불렀습니다. 많은 분들이 애써 준비해주신 덕택에 아주 멋진 축제가 완성되었습니다.

작년 4 13일 저녁 7 50, 주치의가 사망선고를 했을 때 좋아했던 목소리로 내 이름을 부르는 것을 다시는 듣지 못한다는 생각과 함께 가슴속에 촛불 같은 것이 하나 켜지는 것을 느꼈습니다. 그것은 막연한 이미지 같은 것으로 당시에는 그것이 무슨 의미인지 잘 몰랐습니다.


1년이 지나 돌이켜보니 그 촛불은 이런 연유로 나타난 것 같습니다. 아버지가 살아계실 때에는 매일 새벽 4시에 문을 열고 침실을 나서면 늘 제가 마음 속으로 존경하던 삶의 본보기를 살아나가는 사람의 뒷모습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제가 스스로 그 삶을 살아내지 않으면 그 뒷모습을 보며 느꼈던 뿌듯함과 안도감을 잡을 수 없었습니다. 그런 감정들이 내게서 사라져버리게 두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느꼈습니다. 가슴 속의 촛불은 그 그리움을 좇으라는 욕망과 추진력이었던 게 아닐까 추측해봅니다.


저는 이 그리움과 허전함을 채우기 위해 움직였습니다. 지난 1년 동안 가족들과 서로에게 기대어 슬픔을 견디고, 지리산에 가서 단식을 하고, 아빠의 저서들을 읽고 또 읽고, 연구원을 시작했습니다. 그러면서 아빠가 늘 곁에서 지켜주심을 느끼고 믿게 되었습니다. 저는 다시는 아버지를 만나지 못한다는 것이 두려웠지만, 사실 아버지는 늘 제 곁에 계셨고 제가 몰랐을 뿐이었습니다.


  슬픔을 밝혀줄 촛불 하나 킬 수 있는 용기를 얻는 것이 사람입니다. 더욱 중요한 것은 1년 뒤 4월이 돌아왔을 때 부끄럽거나 미안한 사람으로 남아있지 않도록 하루하루를 잘 사는 일입니다.   

IP *.128.229.161

프로필 이미지
2014.04.26 20:40:28 *.7.56.47
저도 하루를 충실히 살아
부끄럽지않은 사람이 되겠다는
작은 다짐을 함께 해봅니다.
응원합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736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09
1735 여든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토크쇼 재키제동 2016.12.16 1370
1734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1
1733 우리는 진짜 ‘노브랜드’를 원합니다 [2] 차칸양(양재우) 2016.12.20 1369
1732 과일을 먹다가 잘 살고 싶어지다 file 한 명석 2016.12.21 1211
1731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72
1730 다시 넥타이를 맵니다 書元 2016.12.24 1019
1729 인생의 책을 만나는 법 연지원 2016.12.26 1130
1728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65
1727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23
1726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6
1725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1
1724 내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file 한 명석 2017.01.04 1248
1723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21
1722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7
1721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4
1720 삶을 맑게 사유한 날들 연지원 2017.01.09 1054
1719 미셸 몽테뉴와 유시민의 <어떻게 살 것인가> [2] 차칸양(양재우) 2017.01.10 1627
1718 어쩌면 산다는 것은 경험이 전부인지도 모른다 file 한 명석 2017.01.11 1074
1717 할 때의 기쁨 김용규 2017.01.13 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