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찰나
  • 조회 수 1670
  • 댓글 수 8
  • 추천 수 0
2014년 7월 7일 08시 25분 등록

데카메론을 통한 나의 숨은 그림 찾기

 

2014.07.05

10기 찰나 연구원

 

 


  어릴 때 누구나 한번쯤 해봤을 숨은 그림 찾기

난 어렸을 때 이것을 무척이나 즐겨서 신문이나 책에 있는 숨은 그림 찾기를 봤다하면 그냥 지나치지 않고 다 찾아보았다. 어떨 때는 그림이 너무 어렵게 숨겨져 있어서 한참을 걸려서 찾는 경우도 있다. 이 그림을 만든 사람의 숨은 의도를 파악해야 하기에, 이리 돌려보고 저리 돌려보고 한참을 뚫어지게 보고나서야 간신히 찾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다 찾고 나서의 뿌듯함이란 마치 미지의 신세계에서 내가 보물을 찾은 기분이었다.

 

    조반니 보카치오의 데카메론을 읽다보면 마치 숨은 그림 찾기를 하는 기분이다. 데카메론1384년 페스트가 창궐하는 피렌체를 피해 빈 별장에 모인 젊은 부인 7명과 세 명의 젊은 남자가 매일 한편씩 열흘간 나누는 100편의 이야기이다.

   100편의 이야기 속에서 인간 본연의 내적 욕구에는 과연 어떤 것이 숨어 있는 것일까를 한편의 이야기 속에서 하나씩 찾아내는 것이다.

  인간 본연의 내적 욕구 중 가장 많은 이야기를 다룬 남녀간의 사랑.

성직자, 상인, 노동자, 철학자, 정치인, 귀부인, 평민 할 것 없이 전 계층, 어느 직업이든 해당되는 얘기다. 사랑의 기저에 흐르는 의 중요성에 대해서 다음과 같이 설명되어 있다.

  ‘보카치오는 인간의 행동에 큰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의 힘을 노래했다. 성직자가 엄청난 죄를 저지른다는 내용의 이야기들도 실은 그들의 어리석음을 비판하기보다는 그 욕구가 도저히 거부하기 힘든 자연의 섭리임을 밝히는 것이었다.' - 데카메론, 813p

 

   수도사, 수녀, 수도원장, 수녀원장들을 떠올리면 어떤 생각을 하게 되는가? 인간의 욕구를 가장 잘 참으면서 많은 유혹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이 선택한 성직의 길을 조용히 걸어가는 분들이라고 생각을 하게 된다.

   하지만 데카메론에서는 유혹에 흔들리는 성직자들과 부인들을 많이 보게 된다. 기존에 성의 표현에 있어서는 소극적인 부류들이 여기서는 거칠게 적극적으로 자신을 표현한다. 어떤 직업이나 성별 이전에 인간이 갖는 기본 욕구를 가지고 있기에 그것을 발산하기를 원했던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우리안의 욕구를 잊은 지 오래다.

쳇바퀴 같은 삶속에서 우리는 우리의 욕구를 잊은 채 달려야 했다. 나의 욕구보다는 사회적 욕구가 먼저였고, 나의 속도보다는 사회적 속도에 맞추어야 했다. 자신의 욕구를 얘기하면 사회를 모르는 사회적 부적응자라 얘기하고, 달리는 속도가 늦으면 일을 못하는 사람이 되었다. 그러다 보니 우리안의 욕구는 늘 잠들어 있어야 했다. 깨워 일어나면 또 다시 혼란을 야기 시키기에 깨우면 안 되었다.

   학교에서 배운 것들이나 도덕과 종교라는 미명하에 있던 보이지 않는 규제들, 여자라는 이유로 스스로의 욕구를 표현하기 보다는 감추어야 하는 등 보이지 않는 것들이 우리의 욕구를 표현하는데 많은 제약을 주었다. 하지만 더 큰 문제는 우리가 인식하지도 못한 채 사회 곳곳에 이런 것들이 배어 있다는 것이고, 이를 통한 학습된 무기력은 스스로를 더 힘들게 만들었다.

 

   그러나 이제는 잠든 나의 욕구들을 하나둘씩 깨워 나가야 한다. 그래서 나의 잠든 욕구들을 하나씩 찾아야 하리라. 처음에는 쉽게 보이지 않을 것이다. 이리도 돌려보고 저리도 돌려보고 한참을 뚫어지게 보다보면 발견하게 되리라.

 

   내 안의 잠든 거인을 이제 깨워 보자!

 

 

 

 

 

 

 

 

 

 

IP *.113.77.122

프로필 이미지
2014.07.07 09:51:31 *.219.223.18

찰나 언니, 제목이 주는 은밀함 때문에 기대하고 봤는데....

데카메론 욕하면서 봤는데 어느새 물들었나보군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4.07.09 21:14:30 *.113.77.122

그런건 빨리 물드는것 같아 ^^

프로필 이미지
2014.07.07 13:33:05 *.196.54.42

"숨은그림찾기 => 숨은욕구찾기"로 진일보한 찰나님께 박수를!

대부분의 범죄가 욕구불만에서 시작된다니... 욕구란 찾아서 채워주든지, 아니면 승화시키든지...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4.07.09 21:15:08 *.113.77.122

저의 욕구 불만을 찾았어요. 이제 그것을 승화시키는 일만 남은것 같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4.07.07 18:15:47 *.223.15.210
거대한 찰나가 태어날 것 같아요. ^^
프로필 이미지
2014.07.09 21:39:11 *.113.77.122

맞아요 아직 태동기예요 ^^ 진통의 시간을 거쳐서 곧 태어날 예정입니다. 새로운 탄생을 축하해주실 거죠? 

프로필 이미지
2014.07.08 22:21:08 *.124.78.132

'내 안의 잠든 거인 깨우기' 라는 제목의 책을 읽고 한때 저자와 같은 일을 하는 사람이 되고 싶었더랬죠 ^^* 갑자기 기억이 나네요~


마자요. 저도 제 욕구가 뭔지를 제대로 몰라 그저 아무거나!를 외치며 살아왔던 것 같아요. 욕구를 알더라도 표현하지 못했고, 망설였고, 숨겼고요. 앞으로 더욱더 마음껏 펼쳐보아요 :)


프로필 이미지
2014.07.09 21:39:47 *.113.77.122

함께 마음껏 펼쳐서 내 안의 잠든 거인을 깨워보자고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172 #20. 일요일 오전 10시, 번데기는 무슨 생각을 할까 [5] 땟쑤나무 2013.10.21 1607
4171 12월 오프수업-현실경영(2013.12.28) file [2] 미스테리 2013.12.30 1608
4170 3월 오프수업 [2] 유형선 2014.03.25 1608
4169 [호랑이 실험 3: 실험키트- 수정본] [5] 수희향 2011.03.01 1609
4168 Climbing - 13. 아이처럼 [3] 書元 2013.07.02 1609
4167 [날팸]#1 상상 - 들어가는 글 [8] 땟쑤나무 2013.07.11 1609
4166 참고문헌을 공부하며_구달칼럼#39 [2] 구름에달가듯이 2015.01.05 1610
4165 아날로그에 취하다 세 번째 - 그녀가 말을 건넸다 書元 2013.10.13 1611
4164 데카상스 첫 수업 - 장례식 후기 [1] 희동이 2014.04.14 1611
4163 #6 - 욱면의 손에 걸린 새끼줄 - 이동희 file [12] 희동이 2014.05.19 1611
4162 #16 나의 고전 독법_정수일 [6] 정수일 2014.07.27 1613
4161 지중해, 로마, 통참치의 강력한 기억 - 타라고나 file [1] 종종 2014.08.25 1613
4160 10기 면접여행 후기 - 강종희 [20] 종종걸음 2014.03.18 1614
4159 Climbing - 12. 둘러 간다는 것 [2] 書元 2013.06.16 1615
4158 우리는 점집으로 달려간다 [7] 에움길~ 2014.05.26 1615
4157 지구별 푸른 경주 [7] 용용^^ 2013.02.26 1616
4156 김구에게 이순신은_찰나칼럼#21 [5] 찰나 2014.09.15 1616
4155 힐링이 필요하다 [3] 에움길~ 2014.12.08 1616
4154 다 버리고 떠나기 _찰나칼럼#45 [1] 찰나 2015.03.02 1616
4153 #35 - 개발자에게 인문학이 필요한 이유 불씨 2019.02.10 16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