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34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4월 14일 17시 28분 등록

 

지난주 편지에서 나는 공부를 하는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누구를 지배하지도, 또 누구로부터 지배받지도 않기 위한 것이라 했습니다. 어느 독자로부터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느냐는 물음이 있었습니다. 공유하자면 나의 대답은 이랬습니다. ‘누구를 지배하지도, 또 누구로부터 지배받지도 않는 나를 이룬다는 것은 자기 자신의 회복을 의미합니다.

 

간명하게 언급하고자 시인의 표현을 빌리자면 삶은 상처입니다. 대부분의 우리는 그래서 훼손되고 일그러진 상태로 살아갑니다. 누군가가 세워놓은 규범과 질서를 따르며 살아가야 하는 삶의 운명 속에서, 혹은 어떤 체제가 만든 이념과 규칙을 이 땅에 태어났다는 이유로 조건 없이 받아들이도록 강요받으면서 우리의 영혼은 수많은 생채기를 입어왔습니다. 우리에게 상처를 남긴 그 누군가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 알 수 없는 이유로 누군가의 자식이 되고 그 인연으로 인해서 받는 것은 사랑만이 아닙니다. 그렇게 부모와 가족 속에서 나라는 존재가 일그러집니다. 산업과 체제의 질서 안에 박혀있는 학교의 학생으로 살면서 그 시스템과 교사와 다른 학생들을 통해 우리는 또 다시 일그러집니다. (사내의 경우 특히) 군대가, 그리고 삶을 지속하기 위한 밥벌이의 터전이 본래의 나를 가혹하리만치 무너뜨려버립니다. 때로 내가 사랑한 사람과 이룬 가정에서조차 우리는 상처를 받습니다.

 

내가 이끄는 자연스러운삶연구소의 연구원들이 공부하는 이유는 성장하고 싶어서일 것입니다. 공부를 통해 도달해야 할 성장의 중요한 지점은 바로 그 일그러진 자기 자신을 회복하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이 훼손된 존재요 일그러진 상태로 살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살아갑니다. 그들은 부모와 가족과 학교와 군대와 직장 등의 경로 위에서 자신이 얼마나 훼손되고 상처 입은 존재가 되었고 그 결과 자신 아닌 자신으로 그저 버텨내며 살고 있는지를 모릅니다. 누군가는 그림자를 보면서 그것이 실체라고 믿고 심지어 우기면서 살고, 나아가 자신의 주변 사람들에게조차 그 그림자를 추구하며 살라고 요구하고 강요하기도 합니다. 자신을 회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그래서 끔찍한 일입니다. 일그러진 채로 절뚝이며 살고 있는 자신을 본래의 자신으로 일으켜 세우지 못한다는 것은 또한 불행한 일입니다.

 

그래서 진정한 공부를 통한 성장이란 더는 누군가로부터 지배받지 않는 내가 되어간다는 것입니다. 시인 고은 선생님은 이것을 누군가의 혹은 무엇인가의 노예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으로 살아가는 것이라 했습니다. “우주에 빛나는 고독한 별 하나가 되는 것이라 했습니다. “내가 태초이고, 시작이며, 빅뱅입니다. 내가 인생을 시작하고 내가 인생을 살고, 그러다 실패하는 것 또한 나입니다라고 일러주고 계십니다. 실존의 존엄성을 그 누구로부터도 모독 받지 않는 것이라 했습니다.

결국 이 과정을 통해 자기를 회복해 가면서 그는 그 누구도 지배하려 들지 않는 삶을 추구하게 될 것입니다. 내가 그만큼 귀한 존재임을 알아채고 회복한 자는 결국 내가 마주하는 모든 타자 역시 누구도 범할 수 없는 귀한 별임을 알게 되니까요. 심지어 나를 통해 찾아온 자식조차 말입니다.

 

요컨대 성장을 꿈꾸는 이들이 만나야 할 첫 번째 대상은 일그러진 나입니다. 직면해야 하는 아픈 존재일 것입니다. 거기서 출발하여 끝없이 자기의 상처를 극복하고 자기를 회복하면서 멈추지 않고 나가는 것이 성장의 요체라는 것이 나의 대답이었습니다.

IP *.62.215.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4336 화요편지 - 오늘도 덕질로 대동단결! 종종 2022.06.07 658
4335 [내 삶의 단어장] 오늘도 내일도 제삿날 [2] 에움길~ 2023.06.12 716
4334 화요편지 - 생존을 넘어 진화하는, 냉면의 힘 종종 2022.07.12 720
4333 역할 실험 [1] 어니언 2022.08.04 724
4332 목요편지 - 거짓말 [2] 운제 2019.03.15 743
4331 목요편지 사람의 마음을 얻는 법 운제 2018.12.06 744
4330 모자라는 즐거움 [2] -창- 2017.08.26 748
4329 이상과 현실 [1] 어니언 2022.05.19 749
4328 가족처방전 – 가족은 어떻게 ‘배움의 공동체’가 되었나 [2] 제산 2018.09.10 754
4327 65세, 경제적 문제없이 잘 살고자 한다면?(9편-노년의 일과 꿈) [4] 차칸양 2018.12.04 755
4326 [수요편지] 똑똑함과 현명함 [1] 불씨 2023.11.15 755
4325 [금욜편지 48- 신화속 휴먼유형- 하데스형 1- 자기고백] [2] 수희향 2018.08.03 757
4324 목요편지 : 가을바람이 분다 운제 2018.09.06 757
4323 작아도 좋은 것이 있다면 [2] 어니언 2023.11.30 757
4322 목요편지 - 세상에서 가장 좋은 구두 운제 2019.01.18 758
4321 [자유학년제 인문독서] 22. 기쁨의 책읽기를 잃어버린 사회 제산 2019.04.14 758
4320 목요편지 - 사람평가 운제 2018.07.19 759
4319 목요편지 - 어린시절 두 장면 운제 2018.10.11 759
4318 목요편지 - 누군가에게 꽃이 되고 싶다 [3] 운제 2019.01.03 759
4317 뭐든지는 아니어도 하고 싶은 것 정도는 할 수 있다는 마음 [2] 어니언 2023.11.23 7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