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김용규
  • 조회 수 1168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6년 8월 11일 23시 43분 등록

 

얼마 전 주말 저녁의 일입니다. 수능을 100일도 남겨놓지 않은 고3의 딸과 그러면서도 여름방학 보충수업을 사양하고 홀로 공부를 하고 있는 그 딸을 챙겨야 하는 아내, 그리고 마음으로만 둘에게 위로를 보내고 있는 아비인 내가 마주앉아 모처럼 매운 낙지볶음을 함께 먹었습니다.

 

아내가 뉴스 하나를 풀어놓았습니다. ‘오랜 역사를 가진 유명한 여자대학교의 학생들이 본관을 점거하고 농성중이래. 이유는 이래. 고등학교만 졸업하고 직장생활을 하던 사람들을 위한 학위 과정을 열고 일정 기간 공부해서 학점을 받으면 그 대학의 학사학위를 주는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는 거야. 교육부가 세운 그 정책을 그 여자대학이 받아들여서 그렇게 뽑은 사람들에게 학위를 주기로 한 것을 철회하라고 요구하는 농성인 거야. 경찰이 투입되었고 학생들이 연행되고 교수 몇 명이 다쳤다는 보도였어.’

 

아내의 전언에 딸이 이렇게 말했습니다. ‘나라도 농성하겠다. 우리가 어떻게 공부를 하는지, 어떻게 해서 대학을 가는지 생각해 보면 당연히 분노할 만해. 그렇게 쉬운 경로를 열어 준다면 그동안 고생해서 겨우겨우 입학한 사람들에 비해 얼마나 불공평해! 당연히 분노할 만해!’ 딸의 의견은 간결하고 단호했습니다.

 

그말을 듣고 나는 딸에게 조금 실망 섞인 걱정 혹은 논쟁할 준비를 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딸은 나의 걱정과 논쟁의지를 일소시키는 말을 금방 부언했습니다. ‘물론, 저항해야 할 더 근본적 대상은 따로 있다고 생각해. 그건 그렇게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고서라도 소위 좋은 대학을 가야만 한다고 여기게 만든 세상의 체제겠지. 하지만 당장은 학교 측을 향해서라도 저항할 수밖에 없는 그 마음에는 전적으로 동감이야.’

 

딸의 말은 그런 것이었습니다. 1등이 아니면, 더 나은 대학이 아니면 막 바로 인생의 패배자로 살 가능성이 농후해지는 끔찍한 사회구조에서는 대다수의 아이들과 부모가 지옥 같은 시간을 견디고서라도 무조건 소위 좋은 대학을 갈 수 밖에 없다는 것이지요. 그래서 근본적으로는 그 끔찍한 사회구조를 향해 저항의 촛점을 맞춰야 한다는 것이지요.

 

다행스럽게도 지옥 같은 시간을 보내면서도 딸은 건강함을 잃지 않고 있었습니다. 나는 나에게 그리고 내 주변의 어른들에게 묻고 싶었습니다. ‘당신은 무엇에 저항하고 있느냐? 저항해야 할 대상에 제대로 저항하고 있느냐?’

IP *.120.7.31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056 '[수요편지 1: 운명의 뺨] [8] 수희향 2017.03.08 1179
3055 [라이프충전소] 실패를 바로잡는 기술 [4] 김글리 2023.01.20 1179
3054 장사는 한바탕 쏟아내는 쇼 [4] 이철민 2017.03.09 1180
3053 [목요편지] 사랑을 위해 죽음을 택하다 [3] 어니언 2021.01.14 1180
3052 예순한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상반기 결산 재키제동 2016.07.01 1181
3051 마흔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깨달음 재키제동 2016.03.18 1182
3050 화장실에서 겪은 자비 2 김용규 2016.11.25 1182
3049 위대한 선물 한 명석 2016.08.03 1183
3048 점심이 속도였다면 저녁엔 정성을 차려내라 이철민 2017.06.15 1183
3047 여든여섯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완벽함에 이르는 길 재키제동 2017.01.20 1184
3046 당신과 함께 ‘선운사’ 한번 목청껏 소리높여 불러 봤으면 [4] 차칸양(양재우) 2017.04.11 1184
3045 비전과 목표가 중요한가 연지원 2016.11.14 1186
3044 우리가 '흙수저'라고? - 세번째 이야기 [4] 제산 2017.03.13 1186
3043 나누는 즐거움 [2] 어니언 2021.12.09 1186
3042 [화요편지]불확실성을 푸는 유일한 열쇠 [2] 아난다 2021.11.30 1187
3041 입밖에 내지 않기 [2] -창- 2017.03.25 1189
3040 마흔아홉, 일곱 개의 사다리 [1] 書元 2016.07.08 1190
3039 딴짓, 사랑, 자유 [1] 장재용 2020.03.31 1190
3038 [월요편지 99] 육아휴직 3개월, 얻은 것과 잃은 것 습관의 완성 2022.03.13 1191
3037 [일상에 스민 문학] -바람의 빛깔 [4] 정재엽 2018.03.21 1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