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제산
  • 조회 수 11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7년 11월 6일 10시 11분 등록
딸이 아빠에게 권한 소설, <자유의 문>


“아빠! <자유의 문>이라는 소설 읽어보셨어요? 이 책 읽었는데, 아빠 생각 났어요!”

9시가 넘어 퇴근한 저에게 초등학교 6학년 큰 딸이 학교 도서관에서 빌려온 책을 보여주었습니다. 한국을 대표하는 소설가 이청준 선생님의<자유의 문> (이청준 지음, 휴이넘 펴냄) 이었습니다.

“와! 이런 소설을 수민이가 읽었다고? 놀라운데!”“

"학교 도서관에서 우연히 이 책을 읽었는데, 끝까지 다 읽었어요. 철학적인 이야기도 나오고 종교적인 이야기도 나오고 그래요. 하느님의 이야기를 하면서 사실은 자기자신의 욕망을 이야기하는 사람의 이야기에요. 아빠가 읽어보면 좋을 것 같아요.”

학교 도서관에서 읽어볼 책을 찾던 큰 딸은 ‘자유의 문’이라는 제목에 이끌려서 이 책을 뽑아 들었는데, 어찌나 흥미진진 하던지 끝까지 읽었다고 합니다. 어린 아이로만 생각해 왔는데 벌써 이렇게 커버렸구나 싶어서 내심 놀랐습니다. <자유의 문>이라는 철학적인 제목이 주는 느낌에 이끌렸다는 것도 놀라왔지만, 소설가 이청준 선생님의 작품세계가 만만치 않은 깊이가 있음을 막연하게나마 알고 있기에, 공부하지 않으면 앞으로 딸과 대화도 어렵겠구나 싶어서 주말 동안 딸이 빌려온 소설책을 열심히 읽었습니다.

역시나 이청준 선생님의 작품세계는 놀라왔습니다. 현실과 피나는 싸움을 벌일 때 소설은 삶의 본질을 보여 줄 수 있다는 이청준 선생님의 머리말은 허언이 아니었습니다. 소설 <자유의 문>은 신앙과 구원이라는 묵직한 주제를 전면에 내세우면서도 실종사건을 쫓는 추리소설 형식으로 짜여서 지루할 틈 없이 전개됩니다.

지리산 깊은 산중에 홀로 살면서 석청을 따는 노인이 있습니다. 그 노인을 찾아 산을 오르는 소설가가 나옵니다. 두 주인공은 소설 초반부터 만나 자신의 신념을 걸고 논쟁을 주고받으며 팽팽한 겨루기를 합니다. 저는 글을 읽으며 두 주인공의 신념과 열정이 맞부딪칠 때마다 마치 칼날이 부딪칠 때 나는 파열음이 들리는 것 같았습니다.

소설을 읽으실 분들을 위해 이정도까지만 이야기 하겠습니다. 어쨌거나 소설은 일관되게 신념의 힘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신념을 향한 열정이 지나쳐 인간에 대한 사랑이 희생될 때 빚어지는 파멸도 분명하게 보여줍니다.

반복되는 현실 속 삶의 투쟁은 우리의 영혼에게 이분법이라는 안경을 씌웁니다. 내 편과 내 편 아닌 것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이분법은 가슴 속 분노의 에너지와 자기 인정의 욕망을 분출시킬 방향을 보여주는 것 같지만, 결국 파멸의 굴레도 함께 씌웁니다.

진정한 문학은 이분법의 안경을 깨트립니다. 딱딱하게 굳어가기 쉬운 우리네 영혼에게 변화의 계기를 주는 게 문학의 힘일 것입니다. 소설가 이청준 선생님은 이 작품의 결말부분에서 소설의 사회적 역할을 분명하게 제시하십니다. '끊임없는 변화를 통해 늘 살아 숨쉬는 우리의 삶과 정신의 자유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입니다.

작품을 읽으면서 저도 모르게 지난 삶을 뒤돌아 봅니다. 훌륭한 문학작품은 독자의 가슴에 균열을 일으킵니다. 세상에 지치고 자기자신에게 지쳐가는 영혼에게 다가와 이분법의 안경을 벗기고서 통찰의 시야를 보여줍니다. 탁 트인 하늘과 땅이 눈 앞에 있음을 알려줍니다. 가슴이 꽉 차오르는 에너지를 느껴보라고 말입니다.

소설은 ‘아!’하는 탄식이 절로 나오는 반전으로 끝이 납니다. 마지막 책장을 덮으며 큰 딸을 불렀습니다.

“아빠가 방금 끝까지 다 읽었는데, 이거 결말이 참 놀랍다."

“그렇죠?저도 많이 놀랐어요. 그런데 이 소설 읽으면서 석청이 먹고 싶지 않았나요?”

“석청은 워낙 귀한 거라 아빠도 먹어본 적이 없어. 그나저나 우리 집에 양봉 꿀은 있을 텐데?”

“그렇잖아도 이 소설 읽고 집에 와서 꿀단지부터 찾았어요."

찬장 속에서 꿀단지를 찾아 따뜻한 꿀물을 탔습니다. 소설의 결말은 떨떠름했지만 딸과 함께 꿀물을 마시는 것으로 위로 삼았습니다.

지난 몇 주 동안 참 바빴습니다. 바쁘게 뛰어다니다 보면 어디가 마침표인지 어디에 쉼표를 찍어야 하는지 모를 때가 많습니다. 덕분에 입술 옆이 부르터 진물 딱지가 앉았습니다. 그래서 더더욱 좋은 문학작품을 읽을 수 있던 지난 주말이 휴식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겨울을 맞이할 용기가 납니다.


2017년 11월 6일
유형선 드림 (morningstar.yoo@gmail.com)

11월20일 월요일에 아내 김정은의 편지가 이어집니다.



***** 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안내] <신사와 숙녀의 품격> 1기 모집
4기 연구원이자 함께성장인문학연구원의 정예서 원장이 진행하는 프로그램입니다. 힘이 센 강한 남성이 신사의 예를 실천할 수 있다면 우리 사회는 훨씬 넉넉한 사회가 될 것입니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고요. 잃어버린 신사와 숙녀의 품격을 얻기 원하시는 분이라면 지원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32362

2. [안내] 글쓰기를 통한 삶의 혁명 - 책 쓰기 과정 12기 모집
2기 한명석 연구원이 진행하는 과정입니다. 글쓰기를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새로운 삶의 재미와 기쁨, 더 나아가 삶의 혁명을 꾀하고자 하는 분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http://www.bhgoo.com/2011/832265
IP *.183.177.225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96 산의 배반 [1] 장재용 2021.02.23 1113
3195 가족처방전 - 두 아이를 키우는 전문직 여성입니다. file [2] 제산 2018.01.08 1114
3194 다가가는 것들, 다가오는 것들 김용규 2016.10.13 1116
3193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16
3192 Business Tip - 이타심이라는 무기 書元 2017.07.01 1116
3191 [화요편지] 엄마를 기다리는 시간 file 아난다 2020.08.03 1116
3190 [화요편지]끌리는 대로! file 아난다 2020.08.24 1117
3189 [화요편지] 제주 세화해변 바위틈에서 만난 소라게에게 file 아난다 2020.09.22 1117
3188 여성 리포트 - 한 생각 멈추면 보이리라 [2] 書元 2017.03.04 1118
3187 여성 리포트 - 갱년기 타파 [3] 書元 2017.04.15 1119
3186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여자의 춤을 추는 남자들 file 알로하 2020.06.21 1119
3185 [변화경영연구소] [월요편지 33] 회사와 웃으며 헤어지는 날을 상상하며 습관의 완성 2020.11.08 1119
3184 [일상에 스민 문학] -76세 배우 나문희의 문학 작품 [4] 정재엽 2018.01.10 1120
3183 [알로하의 두번째 편지] 몸과의 소통 file 알로하 2020.08.09 1120
3182 머리털나고 처음 실업급여 설명회에 다녀왔습니다 [2] 차칸양 2018.01.23 1122
3181 누구와 어떻게 무엇을 위해 일할 것인가 한 명석 2016.12.07 1123
» 딸이 아빠에게 권한 소설, <자유의 문> 제산 2017.11.06 1122
3179 이제부터라도 생긴대로 살아봐야겠다 [2] 차칸양 2017.12.19 1123
3178 [월요편지 123] 최악의 물 마시는 습관 습관의 완성 2022.09.25 1123
3177 [수요편지 12- 니체식 변화경영] [6] 수희향 2017.08.23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