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운제
  • 조회 수 931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20년 6월 11일 09시 03분 등록

목요 편지

참새 이야기

연일 30도를 넘어 폭염주의보가 연속 내리더니 드디어 새벽에 비가 내렸습니다.
그 동안 너무 가물어서 매일 아침저녁으로 꽃밭과 텃밭에 물주는 데 많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식물은 옮기는 것을 싫어합니다. 하다보면 어쩔 수 없이 옮겨 심어야 할 때가 있습니다.
그런 것은 제때 물을 주지 않으면 시들어 죽습니다. 가뭄에 시들어 죽은 것이 많았습니다.
주말에도 비가 온다고 하니 당분간 물 걱정은 하지 않아도 되겠습니다.

마당의 잔디가 누렇게 되어 잔디비료를 주려고 하다가 비가 안 와서 못 한 것을 아침에 뿌렸습니다. 입자 모양으로 생겨 손으로 뿌리면 되는데 반드시 비가 올 때 뿌려야 됩니다. 그래야 녹거든요.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올해 유난히 마당에 참새가 많이 날아오는데 참새가 비료를 먹이인줄 알고 먹을까 걱정이 되었습니다. 입자 비료는 물에 녹지만 금방 녹지는 않습니다. 방금 비가 그쳤기 때문입니다. 자연의 힘을 믿기로 했습니다. 동물들은 본능적으로 먼저 알기 때문입니다.

참새가 비료를 모르고 먹어 배탈이 날까요, 아니면 아예 다른 데로 떠날까요, 아니면 알아서 비료를 먹지 않고 씨앗 같은 것만 먹지 않을까요? 지켜보겠습니다. 여러분들은 어떻게 될 거라 생각하십니까?

학창시절에 시골에 있는 외갓집에서 외사촌이랑 공기총으로 새를 많이 잡았습니다. 산비둘기도 잡고 가끔 꿩도 잡았습니다. 참새구이가 정말 맛있었어요. 옛날에는 포장마차에서 참새구이를 팔았습니다. 나쁜 사람들은 병아리를 참새로 속여 팔기도 하였습니다. 그때 추억이 생각나서 새총으로 새를 잡아 참새구이를 해볼까 잠시 생각도 하였습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연의 소리가 좋아졌습니다. 새소리, 바람소리. 빗소리...
아내는 참새가 데크와 기왓장 등 아무데나 똥을 눠서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하지만 저는 그것이 자연과 함께 하는 증거라 생각하니 오히려 더 좋았습니다. 같은 것을 보고도 다 다르게 생각합니다.
오늘은 비온 뒤라 폭염은 없겠지요. 즐거운 하루를 보내시길 바랍니다.
 

이어서 읽기

변경연에서 알립니다

COPYRIGHT @ 변화경영연구소


    

 

IP *.151.165.23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616 [일상에 스민 문학] - 히가시노 게이고 <공허한 십자가> 정재엽 2018.01.17 934
3615 [금욜편지 34- 유럽 에니어그램 공부] file [2] 수희향 2018.04.27 934
3614 [금욜편지 61- 기질별 인생전환 로드맵- 1번 완벽주의자- 특성] file 수희향 2018.11.02 934
3613 아홉 빛깔 무지개 - 서천에서 온 선물 제산 2020.01.13 934
3612 강남순 제4강 <21세기 페미니즘 : 코즈모폴리턴 페미니즘과 평등세계를 향한 나/우리의 과제> 제산 2020.03.09 934
3611 [월요편지 89] 자녀 습관에 관한 부모의 흔한 착각 [1] 습관의 완성 2022.01.09 934
3610 [라이프충전소] 인생의 방향을 다시 설정하고 싶다면 [2] 김글리 2022.09.17 934
3609 [수요편지 15- 명함없는 삶] [2] 수희향 2017.10.11 935
3608 백두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1기 원더우먼들에게 재키제동 2017.05.19 936
3607 첫 경험, 많이 해보셨나요?(전편) 차칸양 2017.09.05 936
3606 새 책 <중1 독서습관>을 소개합니다. 제산 2019.12.16 936
3605 [화요편지]그렇게 엄마를 완전히 소화했다고 믿었다. file 아난다 2020.08.11 936
3604 [수요편지] 사막이 아름다운 이유 [1] 불씨 2022.08.16 936
3603 한 걸음이라도 내딛을 수 있는 현실에 감사합니다 [9] 차칸양 2018.03.06 937
3602 [금욜편지 104- 책쓰기준비 3- 경비] 수희향 2019.09.06 937
3601 [라이프충전소] 나만의 오리지널리티를 구축하는 법 1. 엉터리를 참아낼 것 [3] 김글리 2022.05.20 937
3600 [금욜편지 113- 책쓰기는 첫 문장이다] 수희향 2019.11.22 938
3599 [수요편지] 한해를 마무리하며 [1] 불씨 2022.12.28 938
3598 무엇을 왜 아끼고 있나요 [1] -창- 2017.05.27 939
3597 [금욜편지 121- 책쓰기는 강의다] 수희향 2020.01.31 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