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 아난다
  • 조회 수 1458
  • 댓글 수 2
  • 추천 수 0
2021년 9월 28일 07시 42분 등록

'항상 초보'라는 정신적 각성이 되어있는 사람들은

어제의 자신과 경쟁할 준비가 되어 있는 좋은 학생이다.

불가에서는 초심을 강조하고

언제나 초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 자세를 높이 산다. '

처음처럼' 이것을 발심(發心)이라 한다.

늘어지고 관성화한 자신을 채찍질하고

처음 출가했을 때의 마음으로 돌아가는 것이다.

구본형의 < 나에게서 구하라 > 중에서

그대가 무언가를 기다리고 있을 때마다 빨간 깃발을 들어 올려라.

오직 '지금'만이 존재한다.

미래의 특정한 순간을 기다리지 말아라.

'이완하는 것'과 '기다리는 것'의 차이를 구별하는 법을 배워라.

기다리는 것은 그대의 주의집중을 흐트러뜨린다.

마음이 분란이 일 때마다 주의집중의 끈을 바짝 조이려 하지 말라.

왜냐하면 마음은 강압적인 힘에 저항하기 때문이다.

단지 '지금 여기'에서 그대에게 다가오는 것에 '호기심'을 가지고,

그 선물을 받아들이는 것만으로 충분하다.

그것만으로도 그대는

그대의 삶에서 필요한 변화를 만들어낼 수 있게 될 것이다.

리사 카파로의 <소마지성을 깨워라> 중에서

마치 읽어나간 책장을 세듯이 지나온 시간을 세고 있을 때,

마치 목적지까지 남은 거리를 가늠하듯 남은 시간을 계산하고 있을 때와 같이

자연스럽게 평화에서 멀어집니다.

책을 펼쳐들었을 때, 여행을 시작했을 때의 설렘과 기쁨은 온 데 간 데 없고

온통 이 모든 것이 끝났을 때 나를 기다릴 혜택들만이 중요해집니다.

'이 정도 했는데 좀 대충 한다고 별일 있겠어?'하는 오만과 나태,

'이 고생을 하고도 원하는 결과를 얻지 못하면 어쩌나?' 하는 불안과 초조로

지금 여기는 순식간에 꽉 차버리고 맙니다.

소마명상은 바로 이런 상태에 빠진 자신을 구해내

'지금 여기'에 다시 '첫 마음'으로 돌아오는 수련입니다.

이는 불가에서 말하는 '발심'과 정확히 궤를 같이 합니다.

다 알겠지만, 세속인인 우리가 꼭 스님들처럼 살 필요는 없는 거 아니냐구요?

맞습니다.

우리는 우리의 욕망에 충실한 삶을 살면 됩니다.

문제는 바로 그것이 만만치 않다는 것이겠죠?

생활인의 자기혁명을 평생의 화두로 삼으셨던 구본형선생님께서

마침내 구도자의 삶을 사신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닐 겁니다.

아이들과 함께 하는 일상을 소재로 글을 써서 무지무지 유명해지고 말겠다는,

그러니까 엄마로서, 사회인으로서의 성공을 둘 다 완벽하게 이뤄내겠다는

대놓고 세속적인 욕망에서 이 모든 여정을 시작했던

제가 결국은 '소마명상'에 이르게 된 것 역시 마찬가지일테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내가 하고 싶은 것은 '수련'이 아니라 '성공'이라고!!

내가 열심히 사는 이유는 오로지 '성공'하고 마는 것이라고!!"

하는 당신이 계신다면 부디 꼭 그리 되시라고 온 마음을 다해 응원을 보냅니다.

그렇게 '지금 여기'에 충실한 수련을 통하지 않고도

'욕망'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길을 열어보여 주신다면

저도 미련없이 보따리를 싸서 그 길에 합류할지도 모르구요.

하지만 당신의 성공이 완전히 검증될 때까지는

(좀 더 솔직하자면, 설사 그리 된다고 해도)

'지금 여기'에 '처음처럼' 머무는 수련을 게을리 할 수 없을 겁니다.

지금 여기에 발 딛고 있는 길 자체가 목적지가 되는

이 황홀한 여행을 포기할 이유가 없기 때문입니다.

IP *.70.30.151

프로필 이미지
2021.10.02 06:15:10 *.52.254.242

미래는 오늘의 결과이고,   미래의 원인은 오늘이지만 

그 오늘은 아무것도 결정되어 있지 않다. 

'바라보는 자의 마음'에 있다. '라고 어떤 불경에서 그랬던 것 같은 디....


프로필 이미지
2021.10.05 07:20:08 *.70.30.151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36 못 생겨서 감사합니다! 한 명석 2015.10.21 1440
2635 [용기충전소] 한계가 가능성이 되는 순간 [1] 김글리 2021.10.22 1440
2634 나의 기준 [1] 어니언 2021.11.04 1440
2633 인문 고전 읽기를 위한 7가지 조언 file 연지원 2016.08.22 1441
2632 여든아홉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커리어 로드맵 [6] 재키제동 2017.02.10 1441
2631 나도 내가 마음에 안 드는데... [2] -창- 2017.03.11 1441
2630 당신들의 사랑에 보내는 태클 김용규 2016.03.10 1442
2629 불황시대의 리더십이란 차칸양(양재우) 2015.10.13 1443
2628 이름에 하늘을 담은 자 [1] 장재용 2021.05.25 1443
2627 인공지능의 시대, 창의성이란?(3편) 차칸양(양재우) 2016.09.06 1446
2626 부모교육: 모든 것이 고이 접혀 있으니... 김용규 2015.10.01 1447
2625 크리스마스 운제 2020.12.24 1447
2624 예순일곱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시 선물 재키제동 2016.08.19 1448
2623 마흔아홉, 넥타이를 풀다 1 [2] 書元 2016.01.09 1449
2622 멀리 본 것을 기억할 것 [1] 장재용 2021.03.30 1449
2621 난생처음 크루즈 file 한 명석 2015.05.13 1450
2620 목표 추구는 삶의 질을 높이는가 연지원 2016.02.01 1450
2619 [용기충전소] 싫은 사람과 함께 하는 방법 [6] 김글리 2021.12.10 1450
2618 이천십오 년 세밑 書元 2015.12.26 1451
2617 일상에 스민 문학 - 왕의 연설 file [14] 정재엽 2017.03.01 14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