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백산
  • 조회 수 3068
  • 댓글 수 1
  • 추천 수 0
2010년 3월 1일 18시 34분 등록

넘치지 않게, 부족하지 않게

 

이젠 더 이상 움켜지지 않는다.

손을 꽉 움켜 쥐는 것처럼

선택한다는 것은 선택하지 않은 것들을 놓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젠 더 이상 이것 저것에 손을 내밀지 않는다.

욕심나는 세상의 많은 것들을 향해 손을 뻗치는 것처럼

내미는 손이 움켜 쥐기 위한 집착으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내 사랑하는 이여,

내 움켜진 손아귀의 힘 때문에 질식하지 않고

헛된 욕망에 열어젖혀 뻗친 내 손바닥을 떠나지 않도록

 

자유와 구속의 경계선에서

그 자유와 절제가 하나 되는 곳에 머물 수 있는

자신에 대한 엄격함과 사랑하는 이에 대한 유연함이 함께 할 수 있도록

 

그렇게

내 마음 속에 그대의 기쁨이 살아 내 가슴을 뛰게 하고

그대 빛나는 눈 속에 내 기쁜 미소를 바라볼 수 있도록

 

나 그렇게

넘치지 않게, 부족하지 않게

그대를 사랑합니다.

 

***   ***

 

검이 자신의 일부가 되게 하기 위한 핵심은 검을 쥐는 손의 힘을 적절하게 하는 것이다.

검의 파지는 사랑하는 이를 향한 마음처럼 그렇게 쥐는 손의 힘이 넘치지 않아야 하고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

꽉 움켜쥐게 되면 칼 끝이 흔들리고 목표를 향한 움직임의 오차범위가 넓어진다.

또 손목과 팔꿈치 그리고 어깨의 관절들이 굳어서 검의 움직임이 딱딱하고 무디어져 동작이 커지고 방향을 전환하거나 연속된 동작을 수행할 때 속도가 느리고 동작이 커진다.

반면에 손아귀의 힘이 부족하면 검에 대한 상대의 가벼운 타격에도 대응하지 못하고 기습적인 가격을 받으면 검이 손에서 벗어나게 된다. 특히 복합적인 프리즈 드 페르(prise de fer : 검의 포착과 찌름을 동시에 수행하는 기술들에 대한 총칭)나 거칠고 강한 기습적인 아딱끄 오 페르(attaque au fer : 칼에 대한 일 차 공격 후 상대에게 공격하는 기술들에 대한 총칭) 에 적응하기 어렵다.

검을 올바로 파지하기 위해서는 가운데 손가락을 중심으로 다섯 손가락의 힘을 양분하고 앞 팔의 안 쪽 근육과 바깥쪽 근육의 힘의 균형을 유지해야 한다. 전통적으로 검의 대가들은 이를 손 안에 새를 쥐고 있듯이라고 말했다.

검을 쥘 수 있는 적절한 힘이란 정해진 물리적 수치가 아니라 손 안의 새의 움직임의 반응정도에 있다. 즉 상대의 의도에 따른 힘에 따라 자신의 손아귀 힘을 상대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능력이다. 검을 파지하는 최적의 능력은 손아귀의 최대힘(쥐는 힘)과 최소힘(손가락의 이완하는 능력)을 키우는 훈련을 바탕으로, 손 기술에 따른 힘의 상대적 강도에 적응하는 것 이다. 손 기술의 강하고 약함, 크고 작음, 느리고 빠름의 정교함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요구되는 기술과 상황에 따른 자신만의 검의 파지 상태를 자각하고 있어야 한다,

처음에는 검을 들고 있는 손과 팔의 훈련을 하지만 후에는 그 힘을 조절하는 마음을 다스릴 수 있어야 한다. 마치 사랑이 열정적이고 적극적인 행동으로 시작되지만 성실하고 지극한 정성과 상대의 마음을 헤아리는 지혜로 성숙할 수 있는 것처럼    

IP *.131.127.100

프로필 이미지
지금
2010.03.11 08:48:20 *.131.14.42
아침 선물로 받습니다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212 [33] 시련(11) 자장면 한 그릇의 기억 secret [2] 2009.01.12 205
5211 [36] 시련12. 잘못 꿴 인연 secret [6] 지희 2009.01.20 209
5210 [38] 시련 14. 당신이 사랑을 고백하는 그 사람. secret 지희 2009.02.10 258
5209 [32] 시련 10. 용맹한 투사 같은 당신 secret [2] 2008.12.29 283
5208 [37] 시련. 13. 다시 만날 이름 아빠 secret [3] 2009.01.27 283
5207 [28] 시련(7) 우리가 정말 사랑했을까 secret [8] 지희 2008.11.17 330
5206 # 나는 방송국에서 어떤 일을 하는가? (이정학) 모닝 2018.01.28 1008
5205 칼럼#9 아버지의 편지 file [1] 윤정욱 2017.06.26 1012
5204 #17. 주택이 주는 즐거움 file [6] ggumdream 2017.09.04 1015
5203 9월 오프모임 후기_느리게 걷기 [1] 뚱냥이 2017.09.24 1016
5202 #9. 나는 오늘도 도를 닦는다. [1] ggumdream 2017.06.26 1018
5201 8월 오프수업 후기 [1] 정승훈 2018.08.20 1019
5200 #31 나의 이야기는 오늘부터 시작된다_이수정 [2] 알로하 2018.01.08 1020
5199 따뜻한 만남이 있는 한 주는 어떠실까요? [1] 송의섭 2018.02.05 1020
5198 #35_망개떡 아저씨 (윤정욱) 윤정욱 2018.02.11 1021
5197 7. 사랑스런 나의 영웅 file [8] 해피맘CEO 2018.04.23 1021
5196 죽음에 대한 몇 가지 단상 file [4] 불씨 2018.07.01 1021
5195 7월 오프 수업 후기_이수정 알로하 2017.07.18 1022
5194 사랑할 수 있어서 비로소 사랑스러운 존재가 된다 [8] 송의섭 2017.05.29 1023
5193 칼럼#27 학가협, 청예단이라고 들어보셨어요?(정승훈) [2] 정승훈 2017.12.02 1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