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정재엽
  • 조회 수 5902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0년 5월 8일 01시 20분 등록

구름이 무겁게 드리운 어느 쓸쓸한 가을날 황혼 무렵, 주인공인는 황량한 시골의 어셔가()를 찾아간다. 늪에 비친 집의 모습은, 눈처럼 뻥 뚫린 창문과 황폐한 담, 잿빛 잡초와 죽은 나무들, 그리고 독기를 품은 대기와 불가사의한 수증기 등이 어우러져 기괴한 분위기를 연출한다. 그것은 마치 아편 중독자가 몽환에서 깨어나 쓰라린 현실 속으로 무섭게 추락하는 느낌이다.

 

‘나’는 친구인 로더릭 어셔의 긴급한 편지로 그 집에 초대된 것이다. 죽마고우인 어셔는 말이 별로 없는 조용한 아이였다. 오랜만에 만난 어셔는 몰라볼 만큼 무섭게 변해있었는데, 시체처럼 보이는 창백한 피부와 늘어진 머리는 그가 극심한 신경증에 시달리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에게는 쌍둥이 여동생이 있다. 그러나 불행히도, 그녀 또한 비슷한 중병에 걸려 죽어가고 있다고 했다. 그는 자신과 일체감을 느끼는 죽음을 견딜 수 없어했다.

 

그러던 어느 날, 어셔는 누이동생이 죽었다며 당분간 그녀를 지하실에 가매장 하려고 한다고 한다. ‘와 어셔는 함께 마델린의 시신을 지하실에 매장한다. 마치 <검은 고양이>에서 부인을 지하실에 생매장하고, <아몬틸라도의 술통>에서 복수의 시체를 지하에 묻어버린 것과 같이. 그들에게 어떠한 죄책감은 없다. 단지, 그들은 죽은 자에 대한 예의인 냥, 덤덤하게 시체를 묻는다.

 

그녀가 죽은 후 일주일 정도 지난날 밤, 어셔는 알지 못할 공포에 시달리게 된다. 알 수 없는 두려움과 폭풍우를 벗어나고자 책을 읽는 동안, 갑자기 문이 깨지는 소리와 함께 비명소리와 천둥 치는 소리가 혼란스럽게 들린다.

 

우리 앞에 나타난 것은 매장했던 쌍둥이 여동생. 피투성이 된 그녀가 갑자기 나타나 오빠 앞에 쓰러진다. 그 순간, 공포에 사로잡힌 어셔 남매는 그 자리에서 함께 숨진다. 이 무서운 사건을 목격한 나는 겁에 질려 밖으로 달아나온다. 폭풍우가 치고 기괴한 빛이 그 사이를 스쳐지나간다. 핏빛처럼 물든 빛을 상대로 뒤돌아보니 어셔가의 저택은 두 동강이 나며 속으로 침몰하고 있었다.

 

그 빛은 막 넘어가고 있는 핏빛처럼 붉은 보름달의 빛이었다. 그 빛은 저택 지붕에서부터 주춧돌까지 겨우 눈이 띄는 정도의 틈 사이로 선명히 비치고 있었다. 바라보고 있는 동안 그 틈은 순식간에 넓어졌으며 날카로운 회오리바람이 지나가자 그 둥근 달이 한눈에 들어왔다.
(<
어셔가의 몰락>, 홍성영 역
)

 연인들.jpg

              르네 마그리트 <연인들 The lovers (1928)>

엉뚱하게도, 방안에서 침대보 같은 흰 천을 뒤집어 쓴 두 남녀가 입을 맞추고 있는 르네 마그리트의 <연인들>, <어셔가의 몰락>을 생각나게 했다. 열렬히 사랑을 나누고자 하지만, 서로를 볼 수가 없는 연인. 부드럽게 물결치는 천을 통해 그들이 서로의 얼굴에 대해 짐작 할 수 있는 것은 서로의 실루엣뿐 이다. 아마도 이 그림이 소설을 읽는 내내 생각났던 것은, 이들이 쌍둥이인 로드릭 어셔와 마들린 어셔 남매일지도 모른다는 괴기스런 상상 때문이었다. 그들은 진정으로 사랑하고 싶지만, 사랑할 수 없고, 같은 몸이 되고 싶지만, 될 수 없다. 그들은 하나의 존재이면서도, 각자 다른 존재이다. 그들은 얼굴을 뒤덮은 천 때문에 숨이 막히겠지만 그들이 굳이 억지로 그 천을 벗겨내려하지 않을 것이다. 그들은 굳이 이야기하지 않아도 느낄 수 있고, 소리치지 않아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소설 속 실제 주인공인 로도릭 어셔를 우리는 포우의 자화상으로 볼 수 있을까? 자신의 힘으로 통제 할 수 없는 어떤 힘에 이끌려 살고 있고, 벗어나고자 하는 인물인 로드릭을, 포우는 자기의 또 다른 모습으로 그려내려 한 것일까. 매들린과 로더릭이 쌍둥이로 묘사되고 같이 죽는 장면 역시, 완벽한 친구이자 반려자로서의 여인인 아내 버지니아를 잃은 심정을 잘 드러내 주고 있는 것은 아닐까.

 

어셔가를 덮고 있는 곰팡이와 기체의 분출은 괴기스럽고 공포감을 불러일으킨다. 주인공이 어셔에게 책을 읽어줄 때마다 멀리서 책 내용과 같은 소리가 들려오고, 그 소리가 점차 가까워지고 살아있는 시체가 등장하는 과정은 히치콕의 영화 한 장면을 연상시킨다.

 
크리스티나의 세계.jpg
   앤드류 와이어스 <크리스티나의 세계 Christina's World (1948)> 

이제, 나는 또 다른 상상을 한다. 미국 메인주 광활한 풀밭에 분홍색 원피스를 입은 가녀린 여인이 손을 땅에 짚은 채로 널브러지듯 앉아 있는 이 그림을 보며, 나는 <어셔가의 몰락>의 마지막 장면을 기억했다. <크리스티나의 세계>라는 제목의 이 작품 속 크리스티나는 세계를 응시한다. 그녀 앞 지평선 너머에 무언가가 있다. 그것은 오직 그녀만이 알고 있는 미지의 세계이다. 세계와 교류하는 여자의 주위에 고요한 바람이 분다. 검은 머리를 하나로 묶은 여자, 바람에 여자의 앞머리가 흩날린다. 앞으로 뻗어 짚은 외손과 애써 뒤를 지탱하는 오른팔에서 세상에 대한 갈구와 갈망의 떨림이 느껴진다. 여인은 멀리보이는 집으로 가고 싶은 것일까. 바닥에 털썩 놓인 그녀의 두 다리는 그곳으로 이끌고 가주기에는 무기력해 보인다. 아마도, 이것은 <어셔가의 몰락>에서 그려진 신비스럽고 사악한 어떤 힘에 의해 짓눌려진 인간의 무력함을 공통적으로 드러내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악으로 대별되는 괴기스러운 고딕풍의 궁궐과 햇볕이 들지 않는 어셔가과 무기력하게 펼쳐져 있는 크리스티나의 세계. 원초적인 힘을 운명처럼 받아들이고 묵인하는 쌍둥이 남매와 크리스티나는 각자 자기의 세계에 살고 있는박제가 되어버린 천재’, 포우를 그리워하는 우리의 모습일 것이다. 끝.

 

 

IP *.166.98.75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5.09 08:23:37 *.53.82.120
좋은 책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는 것 같습니다.
'참 좋은 책이군'하면서도 미련없이 덮어 책꽂이에 꽂을 수 있는 책과
도저히 손에서 떼어 놓을 수가 없어 틈만나면 빠져들게 될 뿐만 아니라
책에서 소개받은 또 다른 세계로의 여행을 참을 수 없게 하며
이런 공간을 만들어낸 작가의 정신세계가 한없이 궁금해지는 책.

선배의 책은 말할 것도 없이 후자가 될 듯합니다.
어제 첫 오프수업이 있었는데..
정기적인 연구원 전체모임도 하나 있음 참 좋겠다..생각했습니다.   ^^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5.10 17:28:39 *.237.107.142
묙!  아, 유끼 첫번째 수업이 있구만요~!
정말 그때가 그리워요. 특히 지금처럼 초고쓸때는말이에요..
정말 가감없이 아무거나 물어볼 수도 있고, 좌충우돌 할 수 있는 여력이 있으니까요.
부럽기도하고 수업 어땠는지 궁금하기도 하네요.
암튼, 늘.. 따스한 시선으로 글을 읽어주어서 감솨~ 나도 수업에 함 놀러갔으면... ^^
프로필 이미지
2010.05.09 23:14:00 *.68.125.86
밤에 읽으니까 어째 으스으스한데요 ㅋㅋ

근데요 선배. 그림하고 섞어 설명하니까 더 짱이에요.
핑크색 원피스 입은 여인에 대한 선배 묘사 탁월해요.
특히 손에 대한 묘사요. 심미+심리적 묘사능력 좋은신듯^^

담 작가가 누구일지 벌써 기대되는 독자가 드립니당~ ^^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5.10 17:31:05 *.237.107.142
으흐흐흐. 정말 으스스한 밤에 <어셔가의 몰락>을 함 읽어보시길..
게다가 그 소설 중간에 나오는 시가 한편 나오는데 정말 으시시시~~

담 작가를 위한 글쓰기 중에 있어용~ 그때까지 비밀~ :(
(알고보면 별거 없을꺼에요~^^)ㅋㅋㅋ땡큐!!
프로필 이미지
여해
2010.05.11 09:51:01 *.93.112.125
문학과 그림의 만남이라.
적절한 조화에 탄성이 절로 나온다.
글로만 만나기에는 아쉬우니
다시 만나 긴 대화를 가져보세.
프로필 이미지
재엽
2010.05.11 11:32:45 *.216.38.10
네- 글로만 만나니까 아무래도 거리감이 좀 느껴지죠?
조만간 연구원 컴백홈으로 모이던지 아님,
번개를 한번 해서 함께 만나요! ^^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12 6기 오프수업 첫 과제 <나의 신화> -'카시파괴의 전설'과 '샘을 찾은 소녀' [13] 이선형 2010.05.11 2558
1611 나의 신화 file [10] 이은주 2010.05.10 2146
1610 [패러독스경영 3] 쓸 게 없어요. [6] 송창용 2010.05.10 2273
1609 응애 10 - 축제 [1] 범해 좌경숙 2010.05.10 2242
1608 라뽀(rapport) 11 - 100명의 아줌마 군단 [1] 書元 2010.05.09 2463
»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5. file [6] 정재엽 2010.05.08 5902
1606 감성플러스(+) 잃어버린 신발을 찾아서 file [2] 자산 오병곤 2010.05.07 5301
1605 #3. 강사가 지녀야 할 중요한 역량 하나 [2] 이희석 2010.05.07 2580
1604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3) - 1단계 [8] 차칸양 2010.05.07 2152
1603 <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 애드거 앨런 포우 > 4. file [6] 정재엽 2010.05.06 3895
160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0 : 물처럼 적절한 행동의 습득은? [2] 백산 2010.05.06 2674
1601 도서 추천 부탁드립니다 [5] 양파 2010.05.06 2312
1600 컬럼2-4 : 프롤로그 – 자연, 선비, IT, 그 따뜻한 어울림을 위하여 [4] 희산 2010.05.06 2233
1599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9 : 아프니? [3] 백산 2010.05.05 2409
1598 응애 9 - 천의 얼굴을 가진 호랑이 [2] 범해 2010.05.05 2464
1597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8 : 얼마나 노력해야 합니까? [2] 백산 2010.05.05 2111
1596 [먼별2] - 필살기수련3 <먼별샤먼, 마크툽!- 단군신화를 준비하며> [13] 수희향 2010.05.05 2750
1595 심스홈 이야기 1 - 지금 바로 여기에서 file [6] 불확 2010.05.05 2440
1594 <박제가 되어 버린 천재- 애드거 앨런 포우> 3. [9] 정재엽 2010.05.04 3127
1593 응애 8 - 따귀 맞은 영혼 [14] 범해 좌경숙 2010.05.04 24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