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5월 20일 14시 45분 등록

얼마 전 퇴근길에서 생긴 일이다. 콩나물 시루같이 사람들이 꽉 찬 만원 지하철을 타게 되었는데 얼떨결에 경로석 앞에 서게 되었다. 경로석에는 50대로 보이는 남녀와 60대의 한 남자가 앉아 있었는데 다음 정거장에서 60대의 또 다른 남자가 탑승하면서 사단이 발생했다. 가만히 앉아 있던 60대 남자가 고래고래 소리를 지르며 요즘 젊은이들은 버릇이 없어. 나이 먹은 사람한테 자리를 양보하지를 않아.” 아마도 경로석에 앉아 있는 50대 남녀에게 왜 자리를 양보하지 않느냐고 따지는 것 같았다. 50대 여자는 듣는 둥 마는 둥 모른 체 했고 마침내 참지 못한 50대 남자가 일어났는데 다리를 저는 장애인이었다. “아니, 다리 없는 것도 서러운데 저 다리 없으니까 앉아 있으면 안돼요? 꼭 이렇게 말해야 합니까?” 자리에 앉은 60대 남자는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얼굴이 벌개졌다. 나이 든 것이 무슨 큰 벼슬이나 한 것처럼 자기가 다 옳고 남을 전혀 배려하지 않는 모습에 씁쓸했다. 나이 드신  분이 다 그런 것은 아니지만 나이가 들수록 경직되는 것은 경계해야 할 일이다.

 

찰스 다윈의 이론인 적자생존환경에 잘 적응하는 생물이 살아남는다라는 현실 적응력을 높이는 데 초점을 두고 있다. 난 변화에 대한 글을 읽을 때면 늘 등장하는 이 말이 불편했다. 변화의 원인은 외부에 있다는 대전제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은 노예근성의 발상에서 나온 것이다. 경험해본 사람은 안다. 외부에 의한 어쩔 수 없는 변화는 견디기 힘들 정도로 괴롭다. 변화에 대처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스스로 변화하는 것이다. 자율적으로 변화하지 않은 사람의 특성은 대부분 문제의 원인을 외부에서 찾는다. 자기 성찰과 타인과의 상호작용에서 해법을 찾는 것이 아니라 상대방을 교정시키는 데서 찾는다. “, 너희들 뭐 하는 거야? 그 따위밖에 일 못해? 내가 왕년에…... 에휴, 아니다, 내가 할게 그거 갖고 와.”

 

일반적으로 직장에서는 열심히 일하는 개미 직장인을 선호한다. 내가 아는 어떤 분은 약 20년을 밤낮 없이 일했다. 늘 조급한 마음과 강박관념에 긴장된 나날을 보냈다.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결국 에너지가 고갈되어 만성피로 증상을 보여 입원하게 되었고 아내와는 이혼의 후유증을 겪게 되었다. 나중에 알게 되었지만 그 분이 워크 홀릭에 빠져 있던 이유는 가족과의 불화를 회피하는 데 있었다.

 

위 세 가지 이야기는 생물학적, 사회적, 가정적인 변화가 진행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무시하거나 회피하고 외적 변화에 살아남기 위한 우리 사회의 쓸쓸한 단편이다. 나는 이런 모습의 원인을 자기 성찰의 부재에서 찾는다. 성찰을 안 하는 사람은 자기반성이 없다. 그래서 고민 없이 밀고 나가는 추진력이 엄청 강력하다. 근본 원인을 알고 싶어 하지도 않고 겉으로 드러난 현상을 중시한다. 한줌의 성찰도 없는 것은 경계하고 또 경계할 일이다.

 

성찰은 자신을 객관화시켜 볼 수 있는 힘이다. 정신적으로 건강한 사람은 아픈 상처나 감춰진 욕망을 드러내는 자기 고백이 감정의 정화를 일으키고, 그로 인해 그 감정으로부터 자유로워지면서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통찰력을 갖게 된다.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따르면 인간의 지능은 언어, 논리수학, 인간친화, 자기성찰, 공간, 음악, 신체운동, 자연지능의 8가지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 난 그 중에서 자기성찰지능이 있는 걸 보면서 약간 의아해한 적이 있었다. 자기성찰이란 지능이라기 보다는 인간이라면 누구나 다 해야 하는 행위같은 거 아닌가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살다 보니 성찰하지 않은 사람을 너무 많이 보게 되어 그것이 특정인에게만 주어지는 재능이라는 데 동의하게 된다. 그렇지만 성찰은 삶을 바라보는 기본적인 태도다. 지금은 부족할 수 있지만 채워갈 수 있는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좋은 삶이란 관조적인 삶이라고 말했다. 관조적이라는 말은 자기를 성찰한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좋은 삶이 무엇인지 끊임없이 생각하며 사는 삶이다. 성찰하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먼저 나를 둘러싼 관계 속에서 나를 바라보아야 한다. 관계의 바탕 위에서 성찰이 일어날 수 있다. 아무도 없는 무인도에 홀로 고립되면 내가 어떤 사람인지 파악할 수 없다. 관계라는 빛에 비추어서 자신을 살펴보아야 한다. 그러나 주의할 점은 자신을 역할로만 바라봐서는 안 된다. 남편과 아빠, 상사, 친구 등의 사회적 역할을 자신의 전부라고 간주하지 말자. 가면을 벗고 본래 자기의 모습을 바라보자.

 

둘째, 나를 중심에 놓고 세상을 바라보자. 자아도취적인 관점이 아니라 내가 영화의 주인공이라면, 내가 이 책의 저자라면, 내가 저 사람 입장이라면 나는 어떨까라는 시각으로 일상을 대하자.

 

셋째, 인문학을 자주 접하자. 대다수의 직장인들이 책을 거의 읽지 않거나 아니면 영어서적이나 리더십, 자기계발서 등만 읽는다. 삭막하다. 우리 삶과 관계를 들여다 볼 수 있는 시, 수필, 소설 등을 읽어보자.

 

스스로 성찰을 통해 자신의 문제에 대해 각성하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은 충분히 빛나는 사람이라고 믿는다. 그런 사람을 만날 때면 나는 마음이 푸근해진다. 오늘은 윤동주의 시 자화상에 나오는 사나이의 부끄러움이 유난히 그리운 날이다.

 

 

*** 

산모퉁이를 돌아 논가 외딴 우물을 홀로 찾아가선

가만히 들여다 봅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습니다.

 

그리고 한 사나이가 있습니다.

어쩐지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가엾어집니다.

도로 가 들여다 보니 사나이는 그대로 있습니다.

 

다시 그 사나이가 미워져 돌아갑니다.

돌아가다 생각하니 그 사나이가 그리워집니다.

 

우물 속에는 달이 밝고 구름이 흐르고 하늘이

펼치고 파아란 바람이 불고 가을이 있고

추억(追憶)처럼 사나이가 있습니다.

 

 carl1.jpg

 

로고.JPG

IP *.93.198.155

프로필 이미지
차칸양
2010.05.20 17:56:43 *.122.143.214
자기 성찰..
그래, 자기 자신을 얼마나 객관적으로 돌아볼 수 있느냐에 따라,
자신이 얼마나 이 세상을 잘 살아가고 있는지를 알 수 있겠지?

'자신의 진정한 모습은 타인의 눈으로만 관찰된다'라고 했는데,
그 타인의 눈을 자신이 만들어 갈 수 있다면 자기 성찰은 이루어 지는 것이겠지.

자기 성찰과 변화.
가슴 속에 새기며 살아갈 좋은 말이다... ^^;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5.22 01:34:11 *.154.234.32
재우는 늘 볼 때마다 신뢰가 가. 성실하고.
근데 재미는 모뗀양이 더 좋아.ㅋ
프로필 이미지
이헌
2010.05.20 21:59:09 *.180.75.224
관조적 삶...

만다라 그림이 참 편안하게 하네요 ^ ^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5.22 01:35:22 *.154.234.32
제 글에 연속으로 답글 달아주셔서 캄사~
만다라 그림 좋죠?
그래도 이것 저것 중에서 고른 것이랍니다.
편안한 연휴보내세요.
프로필 이미지
홍스
2010.05.21 11:44:24 *.222.175.33
형으로 인해 여러생각 하게되네....
고마워 형..^)^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5.22 01:36:49 *.154.234.32
이것저것 생각하면 복잡할텐데
고맙다고 하는거면 그저 인사치레는 아닐테고..ㅋㅋ
나도 고마우이.
멀리 있지만 같은 하늘 아래 있다고 생각하면 가까운 느낌...
너니까...
프로필 이미지
최정희
2010.05.21 16:58:35 *.153.252.66

오랫만입니다.
적자생존 이란 말에 불편하셨다구요.
이제 이렇게 생각해보셔요.
적자 (메모하자)그러면 생존 ( 가슴부푼 삶)하리라.

근무처를 경기도로 옮긴 후
요즈음 흙과함께하는 사람들을 만나고 있습니다.
그분들에게는 성찰이라든지 관조란  단어가 필요없더군요.
삶 자체가 성찰이고 관조며  버림과 초탈이었으니까요/
프로필 이미지
병곤
2010.05.22 01:39:41 *.154.234.32
아, 정희누님.
잊을만하면 답글 달아주시는군요.ㅋㅋ
안그래도 오늘 길상사에 갔는데 누님이 잠깐 떠올랐습니다.
초파일이라 사람들이 많았는데 그래도 편안했습니다.

적자생존은 "내 인생의 첫 책쓰기"에 내일을 향해 써라라는 문구와 함께 써먹을려고 벼르고 있던 것인데 결국 내용에는 담지 못했는데 누님이 이야기하니 참 우연이 아닐 수 없네요.

성불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0.05.22 06:50:17 *.160.33.180
적어라. 뱅곤아. 

적자 (글을 써라)
쌩쫀 ( '성불'이라는 말의 인도 구리구라 방언이다) 

그러므로 '적자쌩쫀'은   글 쓰는 자가 성불한다는 뜻이 되는구나.   성불하거라. 
프로필 이미지
뱅곤
2010.05.23 16:18:03 *.154.234.32
싸부님, 글쓰기와 성불을 연결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무리한 시도아닌가요?ㅎㅎ
지난 번에 책을 써야 사람이 된다는 말씀에 이어 강도가 더 쎄졌는데요.
그나저나 사부님의 아우라는 점점 넓어지네요.
야메 인도어 전문가로 환생?ㅋㅋ
'적자쌩쫀' 가슴에 잘 담아두겠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희산
2010.05.23 20:42:25 *.176.68.156
병곤, 글 좋다.

근데 한 가지...참된 '성찰'이라는 것은 말이 많아질수록, 설명하려 할수록 그 본질에서 더 멀어지는 것 같은 느낌이 들 때가 있다는 것. 말 없이 깨닫고 실행하는 그 행위 하나 하나에 성찰의 본질이 있는 것 같다는 것.... 아이러니인 것 같애.

그래도 선생님 말씀처럼 자꾸 써야겠지. 써야 생각하고, 생각이 많아야 결국 말 없는 깨달음이 올테니. 홧팅^^.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72 심스홈 이야기 3 - 봄날의 발견, 나의 집 그리기 file [5] 불확 2010.05.19 3251
3571 컬럼2-6: IT와 친해지기 [10] 희산 2010.05.19 2021
3570 [먼별2] 필살기 수련5 <단군의 후예들: 출사표를 준비하며..> [10] 수희향 2010.05.19 2215
3569 죽돌이 [4] 홍스 2010.05.19 2391
3568 골세앙바드레1. 일어날 거야 [12] 뽕공주 2010.05.19 2672
3567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5) - 1단계 [3] 차칸양 2010.05.20 2531
» 감성플러스(+) 14호 - 진정한 변화는 자기성찰에서 시작된다 file [11] 자산 오병곤 2010.05.20 3817
3565 칼럼 11. 자로형 만나다. 외식업과 기질. file [9] 맑은 김인건 2010.05.21 2850
3564 #5. 훌륭한 자기계발 메시지의 5가지 조건 (1) [1] 이희석 2010.05.21 2636
3563 [킹핀] 3. 두 번의 죽음 [6] 송창용 2010.05.22 2416
3562 라뽀(rapport) 12 - 부부의 날의 단상 [6] 書元 2010.05.22 2794
3561 군대간 아들에게 쓰는 편지 file [4] 소은 2010.05.23 17158
3560 그와의 극적인 만남 file [21] 이은주 2010.05.23 3098
3559 [컬럼] 창조의 비밀은 '재미'에 있다. [15] 최우성 2010.05.24 2727
3558 컬럼 11. 파블로 피카소, 그 마지막 날에 [15] 박상현 2010.05.24 2783
3557 칼럼 11. 슬기로운 교사의 길 [7] 낭만 연주 2010.05.24 2528
3556 <꿈을 실천하는 힘 5> 잊어버린 유년시절과 가족여행 [14] 이선형 2010.05.25 3210
3555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5 : 두려움은 머리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다 [3] 백산 2010.05.25 2913
3554 칼럼12. 정철형을 만나다. file [7] 맑은 김인건 2010.05.26 2990
3553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6) - 2단계 차칸양 2010.05.26 25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