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2010년 5월 24일 12시 04분 등록

칼럼 11. 슬기로운 교사의 길?

<세계적으로 교과 과정이 비슷해져 가고, 교육자들이 사용하는 용어도 거의 유사하다(”세계일류수준“, ”학제적 교육과정“, ”지식경제“ 등). 그럼에도 나는 현재의 공교육이 미래에 예견되는 세계-처칠이 말한 ‘마음의 제국’-를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기본적으로 학생들에게 여전히 과거 세계에 대비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미래 마인드」, 하워드 가드너

 

나는 항상 내가 추구해야할 최고의 가치를 “자유”라고 생각했다. 아마도 의식, 무의식적으로 어린 시절 많은 부분 억압 받았던 것에 대한 보상심리일 것이다. 집에서 4명의 형제 중 첫째였던 나는 맏언니로서 모범을 보여야했기에 해서는 안 될 것이 너무나 많았다. 그리고 그런 것을 당연하다 여겼다. 학교에서도 학생으로 지켜야할 규범이 많았는데, 주로 수동적이고 내성적이었던 나는 그런 규범들이 당연하게 생각되었다. 그리고 오히려 엄마나 선생님의 적극적인 관리를 받고 싶어 했고 내가 나의 의지대로 뭔가를 하는 것이 항상 두려웠다. 그런데 고등학교 시절 월드컵경기 한일전을 학교에서 시청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을 허락해달라는 안건으로 수업거부를 했던 적이 있다. 그 시절 학생의 입장에서 학교에서 조금만 융통성을 발휘하면 한일전으로 보고 점심시간을 줄이고 더 늦게까지 수업을 하면 충분히 가능한 문제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학교의 높으신 분들에게는 어림없는 소리였다. 당시 기억에 절반이 넘는 선생님들은 우리를 응원해주고 더운데 수고한다고 물을 떠다주었던 것이 떠오른다. 그 안건이 완전히 묵살되자 우리는 운동장으로 나갔고 더불어 우리가 목소리 내고 싶던 다른 문제들 두발자유, 쉬는 시간과 점심시간에 운동장 사용(수업이외에 운동장에서 뛰어노는 것은 학생들을 피곤하게 하여 학습능력을 떨어뜨린다는 생각에서 나온 방침이었다.) 등을 요구했다. 그러한 우리의 요구는 전혀 반영되지 않고 회장과 부회장에게 선동을 했다며 책임을 물었다. 그것이 고등학교 2학년 때의 일이었다. 이런 일을 겪어서 일까? 고등학교에 다니면서부터 내가 너무나 수동적으로 살아왔다는 인식을 하게 되었다. 학교에서 수업을 듣고 친구들과 노는 것은 참 재미있는 일이다. 그런데 학교는 답답했다. 고등학생의 생각으로 학교는 상식이 통하는 곳이 아니었다. 융통성이 없이 꽉 막힌 공간이었다. 자율이라는 이름으로 타율이 행해지는 겉과 속이 다른 공간이었다. 그런 것을 인지하는 순간, 그 때부터 나는 ‘자유’롭고 싶다는 생각을 했는지도 모르겠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10년이 훌쩍 넘은 지금 나는 여전히 학교에 있다. 이제는 학생의 입장이 아닌 교사의 입장으로 생활한다. 수업을 듣고 친구들과 노는 것이 좋았던 나는 수업을 하고 학생들과 노는 것을 여전히 좋아한다. 하지만 학교는 여전히 답답하다. 왜 일까? 시간이 흐르고 공간이 달라졌는데, 여전히 틀을 벗어나지 못한 나는 본다. 그 시절 ‘자유’에 대한 갈망 때문이었을까. 나는 일부동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들에게 많은 자유를 허락하는 것 같다. 내가 생각하는 큰 기준인 거친 언어와 폭력, 예의 없음 등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허용하는 편이다. 그래서인지 아이들은 나는 편하게 대하는 편이다. 물론 선생님과 학생과의 관계라는 한계가 있긴 하지만, 자기들끼리의 이야기나 자신의 이야기를 나와 함께 나누어 주는 경우가 많다. 나를 스스럼이 없이 대하는 아이들이 고맙고 나는 그런 편안한 관계가 좋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다. 상대적으로 많은 자유가 허락되었던 나와 1년 동안 생활했던 아이들이 다음해에 다른 선생님 반이 되면 문제아가 되는 경우가 생긴 것이다. 나도 물론 그 아이의 단점을 알고 있지만 그 단점이 그리 크게 문제될 것이 없었다. 그런데 몇몇 아이들이 그 단점이 극대화되면서 담임선생님을 힘들게 하는 아이가 된 것이다. 다른 반이 된 아이들이 지금 담임선생님이 아닌 나에게 전화를 걸어서 학교 일정을 물어보는 경우가 종종 있기도 했다. 이런 아이들이 다른 선생님에게 적응하지 못하고 있었다. 나나 그 선생님이나 모두 아이들을 위한다고 하는 교육활동일 텐데, 뭐가 문제일까? 순간 심각하게 고민이 되었다. 내가 내 가치관으로 자유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사회화의 학습이라는 중요한 점을 가르치지 못한 것이 아닌가 하여 아이들에게 미안한 생각이 들었다. 내가 하는 교육이라는 것은 교사의 가치관에 따라 아이들의 가치관 형성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기에 교사의 올바른 가치관 형성이 중요하다. 그런데 올바른 가치관의 기준이라는 것이 무엇일까하는 근본적인 물음을 던져볼 수밖에 없다. 이런 고민을 하는 내게 한 친구는 ‘내가 학생의 입장으로 생각하면 학생은 너와 같은 스타일의 선생님도 너와 다른 스타일의 선생님도 모두 경험해 보아야 하고 그런 다양한 경험을 통해서 자신의 가치관을 선택하고 형성해 나가게 될 것이야. 네가 아이들이 선택할 부분까지 관여하려는 것은 지나친 관심이라고 생각해’라고 말했다. 그 친구의 말을 들으니 다양성을 접하게 하는 측면에서 안심이 되기도 한다. 확실하게 인식되는 것은 교사는 보편타당한 기준에 근거한 가치관을 형성하여 교육활동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여전히 나는 명확한 그 보편타당한 기준이 궁금하다.

그나마 노자의 도덕경에 나오는 배움에 관한 다음 구절을 읽으니 위안이 된다.

“슬기로운 교사는 자기 일을 하고 거기서 멈춘다. 그는 세상이 대부분 자기 통제권 밖에 있음을 안다. 그리고 모든 것을 통제하려 하는 것이 배움의 도(道)를 거스르는 짓임을 안다. - 「배움의 도」, 파멜라 메츠 (도덕경 81장을 풀어씀), 자족(自足) 중 ”

 

IP *.203.200.146

프로필 이미지
박상현
2010.05.24 13:56:10 *.236.3.241
친구의 말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친구의 생각이 곧 노자의 생각이구나~
스스로 배우는 게 학생의 본분이니까.

훌륭한 주제를 끌어내고 잘 풀어주어 잘 배웠다.
프로필 이미지
백산
2010.05.24 17:16:31 *.45.41.184
보편타당한 기준?
내가 생각하는 큰 기준인 거친 언어와 폭력, 예의 없음 등을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학생들이 원하는 것을 허용하는 편이다


내가 선수들과 함께 하는 원칙은 2가지 뿐이었습니다
자기 삶을 위한 '훈련'과 관계를 위한 '약속 이행' 배우는 것이었습니다.

보편타당한 기준? => 부처님 팔고를 이해시키는 거 !?   ^^
옛날 생각나는 데...  늘 말했었죠
8[八苦 : ()()()()
원증회고
(怨憎會苦), 원치 않는 만남 : 제일 강조한 것이지요 
 
애별리고(愛別離苦),원하는 것과의 이별  ; 큰 하나를 얻기위해서 선택과 집중을 가르쳤죠
 
구부득고(求不得苦), 구을 얻을 수 없는 것 : 이기는 것이 전부는 아니다. 지면 아무것도 아니지만...
오음성고(五陰盛苦육신 감각, 지각 의식, 의지에 집착하는 것즉 훈련과 노력없이 하는 과도한 욕망
프로필 이미지
미옥
2010.05.25 07:59:28 *.53.82.120
내가 아이를 키우면서 아마츄어로서 하는 고민을
연주는 프로페셔널답게 하는구나..  ^^

어떤 엄마가 되어줘야 할까?
갑자기 떠안게 된 역할이 버거웠던지
한때는 밤잠을 설쳐가며 몰입했던 고민거리였다.
근데..그게..
어느 순간 별 고민거리가 안된다는 생각이 들더라..
그러니까 특별히 따로 고민할 문제는 아니더란 말이지.. ^^

만약 '어떤' 엄마가 정답인지가 정해져있다면
나는 그런 엄마가 되어줄 수 있을까?
어차피 나는 주어진 '나'로서 엄마 역할을 해낼 수 밖에 없지 않을까?
그렇다면 최적의 '나'를 찾아 구현해내면 자연스럽게 최적의 '엄마'도 될 수 있는 거잖아?
아무리 좋은 옷도 나와 맞지 않으면 어색하기 마련이고
아이들에게도 편안한 느낌을 주지 못할테니까..말야.

참..아침부터 말이 넘 긴가?  ㅋㅋ
그러니까 요약하면, 자연스러운 '연주'의 모습, 그대로가 가장 좋은 모델이 아닐까 한다는 거지.. ^^

동으로 가까이 가면 서에서는 더 멀어지고
서로 치우치면 동과는 더 떨어져야하고
그렇다고 중간을 지키자니 이도저도 아니게 되고
결국엔 마음 끌리는 대로 가는 것이 정답이 아니겠니?
프로필 이미지
은주
2010.05.25 09:55:46 *.219.109.113
나는 항상 내가 추구해야할 최고의 가치를 “자유”라고 생각했다

미 말에 나도 한표 던져. 나도 자유라고 생각해 한 때는 '자유를 위한 변명'      아무거나 할 수 있는 자유와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자유' 이론 책만 골라 읽었지.

언행일치가 되는 선생님. 존경 할 수 밖게 없지 않을까?
프로필 이미지
2010.05.25 09:58:22 *.106.7.10
이 글을 읽는 분들 모두 현명한 답들을 달아놓았네.
훌륭한 교사와 훌륭한 부모는 새로운 세상이 있음을 보여주고 자신의 길을 걷는 모습을 몸으로 보여주는 것뿐,
또한 간섭하고 참견하고 싶은 욕망을 꾹 누르고 때로는 직접 부딪쳐 깨지질 수 있도록 도전의 가치를 보여줄 뿐.
마지막 노자의 말이 참 인상깊다. 
프로필 이미지
우성
2010.05.25 11:54:40 *.30.254.28
돌이켜 보면, 학교에서 배우지 못해서 아쉬운 것.

1. 연애와 사랑
2. 결혼
3. 사람과의 관계맺기
4. 돈과 경제
5. 인생의 우선순위 결정하는 법 

노자의 말은 위안을 주지만, 그럼 결국
세상은 그대로 인거 아닌가? ㅎㅎ
프로필 이미지
범해
2010.05.26 02:15:30 *.67.223.107
자유는" 자기만의 이유로 길을 가는 것" 이랍니다.
김낭만, 연주의
자유를 향한 북소리가 들려오는 것 같아요.

첫 발자욱은 이미 내 디딘 것 같고...
계속 그대가 나아가는 길을 흥미진진하게 따라가보려고 해요.
낭만 연주를  위하여  ~ 술 한잔에 시한수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672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8 준비가 됐소? 그렇다면 당신에게... [7] 백산 2010.05.31 2405
1671 [컬럼] 리더십의 북극성 V 3.0.[최종] [6] 최우성 2010.05.31 2717
1670 <꿈을 실천하는 힘6> 절이 싫으면 절을 바꾸자 [6] 이선형 2010.05.31 2728
1669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7 중요한 것은 '이기는 것'이 아니라 '왜 이기려고 했는가'이다. [2] 백산 2010.05.31 2367
1668 컬럼 12. 李舜臣, 마흔 세 살에 다시 시작하는 힘 [17] 박상현 2010.05.31 2943
1667 나도 할 말이 있어요. file [15] 이은주 2010.05.30 3137
1666 칼럼13. 생업에서 최고가 되다. [10] 맑은 김인건 2010.05.29 2410
1665 심스홈 이야기 4 - 집 꾸밈에 필요한 '품' 3가지 (1) file [6] 불확 2010.05.28 2890
1664 골세앙바드레 2. 바지를 걷어야겠어 [2] 뽕공주 2010.05.28 2932
1663 네 삶을 살아라 [3] 소은 2010.05.27 2528
1662 [진.심. 이야기] 우리는 왜 그렇게 행동하는가? file [2] 박승오 2010.05.26 6480
1661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6 행동하기 위해서 생각을 멈추다 [2] [2] 백산 2010.05.26 2788
1660 소심인으로 사는 3단계 방법 (6) - 2단계 차칸양 2010.05.26 2513
1659 칼럼12. 정철형을 만나다. file [7] 맑은 김인건 2010.05.26 2988
1658 마에스트로의 길을 찾아서 15 : 두려움은 머리로 극복되는 것이 아니다 [3] 백산 2010.05.25 2909
1657 <꿈을 실천하는 힘 5> 잊어버린 유년시절과 가족여행 [14] 이선형 2010.05.25 3207
» 칼럼 11. 슬기로운 교사의 길 [7] 낭만 연주 2010.05.24 2522
1655 컬럼 11. 파블로 피카소, 그 마지막 날에 [15] 박상현 2010.05.24 2782
1654 [컬럼] 창조의 비밀은 '재미'에 있다. [15] 최우성 2010.05.24 2722
1653 그와의 극적인 만남 file [21] 이은주 2010.05.23 30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