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양경수
  • 조회 수 2718
  • 댓글 수 16
  • 추천 수 0
2011년 4월 25일 00시 30분 등록

빌 모이어스와 조셉 캠벨의 대담집인 <신화의 힘>을 세 번째 읽었다. 결국 남는 질문은 그래서 '신화의 힘이란 무엇인가?, 나에게 신화란 무엇인가?' 라는 것이다. 신화에 관한 책들을 마무리하면서 이 질문에 대한 대답을 내 나름대로 정리하고 넘어가고 싶다는 생각으로 칼럼을 시작한다.

산책2.JPG
<2011 당진, 사진/양경수>

우연히 초저녁의 초생달을 만났을 때,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신비감에 휩싸일 때가 있다. "그래, 달은 언제나 하늘 위 저기서 돌고 있었지!" 라는 생각과 함께 느끼는 묘한 일체감과 장엄함이 돌연 내 마음에 파장을 일으키는 것이다. 그때 삶의 신비함은 말로 표현되기 어려운 모습으로 일순간 드러난다. 그래서인가? 인간들이 달과 별들을 보며 느꼈을 신비함 들이 수많은 신화의 은유적 표현들로 남아 전해지고 있다. 그렇다. 신화는 언어로 표현되기 어려운 세계를 보여주는 은유적 표현이다. 신화를 대할 때, 윤리와 규범의 잣대는 아무 소용이 없고, 선과 악의 구분도 필요없다. 신화는 우리를 당황스럽게 하고 놀래 키며, 혼란스럽게 하기도 한다. 그렇기 때문에 신화를 읽고자 하는 사람은 마땅히 이러한 어리둥절함, 이해할 수 없음, 때로는 모욕마저도 받아들일 각오를 해야 한다. 그 당황스러움을 경험한 후에 우리가 체험하게 되는 것은 무엇일까?  신화학자 조셉 캠벨은 "신화는 내적 체험과 삶을 위한 메세지이며, 우리 모두의 영적 잠재력을 반영"하고 있다고 말한다. 신화를 통해 각자에게 있는 위대함을 발견하고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을 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말이나 글로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렇지만 당신이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이 가리키는 것이 관념이 아니라 '삶' 자체라는 것을 직관적으로 알 수 있다면, 이 애매한 단어들에 고개를 끄덕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런 생각들과 함께 나의 인생 속에서 떠오르는 순간이 있다. 그 날의 찬란했던 햇살, 열대의 나무들이 풍겨냈던 싱그런 푸르름, 내 어깨에 매인 가방의 무게마저도 생생히 기억이 난다. 그것은 내 인생 최초의 떳떳한 실패의 순간이었다. 학교 졸업 때까지의 나는 내가 진정 원하는 것을 물어보지 않은 채, 남들이 가는 길만을 마지못해 따라 살았었다. 그것도 열심히... 그런 내가 가슴 뛰는 것을 좇아 인도 시골마을의 요가 College로 떠나 머물 때였다. 모험을 시작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곧 시련이 닥쳐왔다. 시련은 계획에 없던 것이었다. 낡은 시설, 뒤떨어진 학사행정, 힌두어와 영어를 섞어서 하는 낯선 수업,  때마침 다가온 몬순의 습한 날씨가 그것이었다. 이 모든 것과 함께 아내가 시름시름 아프게 되었다. 기대한 것과는 차이가 있는 교육과정과 적응하기 어려운 기후와 음식이 원인이었다.  지인들의 도움으로 시내의 병원에도 가보고 가까운 휴양지에 가서 몇일 쉬기도 하며 병을 다스리려 했지만, 아내의 몸은 나아지지 않았다. 우린 이 시련을 견뎌내야 한다고 믿고 있었다. 참고 넘어가야 하는 장애물일거라고 여겼다. 무엇보다 모든 것을 정리하고 새롭게 짠 인생계획이 있었다. 그 계획에 의하면 이 요가 College를 졸업해야만  했다. 국제요가지도자 자격증이 필요했다. 지인들의 관심과 부모님과의 약속, 스승의 기대가 우리의 발목을 잡고 있었다. 무엇보다 우리 스스로 실패를 받아들일 수 가 없었다. 우리의 계획이 잘못된 것이었음을 인정하기 힘들었다. 그때 만난 책이 파올로 코엘료의 <Alchemist 연금술사>였다. 주인공 산티아고의 보물을 찾아 나선 여행이 우리를 매료시켰다.  초심자의 행운과 가혹한 시험, 자아의 신화를 이루어내는 것이 이 세상 모든 사람들에게 부과된 유일한 의무라는 메세지, 그리고 무언가를 간절히 원할 때 온 우주는 소망이 실현되도록 도와준다는 응원까지. 우리에게 필요했던 것들이 그 속에 있었다. 다시금 떠날 때가 되었다는 상징과 암시로 다가왔다. 특히 한국을 멀리 떠나왔지만 인도의 시골마을에 갖혀 지내던 우리에게 "자아의 신화를 찾는 여행"이라는 상징이 강렬한 자극으로 다가왔다. 어디로든 떠나야 했다. 실패할 수 있는 게 삶이라는 걸 받아들이게 되었다. 그렇게 떠났고 6개월간의 특별한 하루가 시작되었다. 뿌네의 오쇼 아쉬람을 시작으로 인도 남부지역을 돌기 시작했다. 가고 싶은 곳을 마음껏 찾아다녔고, 머물고 싶은 만큼 머물고, 떠나고 싶을 때 떠났다. 한나절씩 버스를 타기도 하고, 밤새 기차를 타고 가기도 하는 힘든 여정이었지만 도리어 아내의 몸은 씻은 듯이 나았다. 지금 돌아보면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이란 말이 그 시절에 딱 맞는 단어라 여겨진다. 역시 인생에 옳고 그름은 없었다. 삶은 자유를 원했다.

 

그때는 몰랐지만 파올로 코엘료의 <연금술사>는 전 세계 120여 개국에서 번역되어 지금까지 2천만부가 넘는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한다. 조셉 캠벨은, 현대인에게 필요한 신화는 개인이 속한 지역 동아리를 넘어서, 전 지구적인 큰 이야기여야 한다고 말했다. 그런 면에서 전 세계인들에게 읽혀지고 있는 소설 <연금술사>는 현대사회의 지구적 신화로 등극했다. 이 현대의 신화는 하루하루 자아의 신화를 살아내는 사람을 그려낸다. 그러면 어떤 현대인들은 그 그림 속에서 영감을 받아서,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 을 하게 된다. 내가 그랬듯이 말이다. 이렇듯 '신화의 힘'은 기존의 관념과 규칙을 넘어서 우리 내부의 살고자하는 에너지를 자극한다. 또한 살아있음의 신비를 느끼게 하는 것이 바로 '신화의 힘'이다. 현대의 신화는 소설이 될 수도 있고, 영화가 될 수도 있다. 어쩌면 서두에서 말했던 달과 별이 우리의 영원한 신화일 수도 있겠다. 그게 무엇일지언정 삶의 신비를 드러내 주는 어떤 것을 만나게 된다면, 그 순간 우주의 신비함에 빠져 내 삶을 어떻게 그 신비함에 던질까 궁리해보자. 나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 나의 삶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질문을 던져보자. 신화는 그 질문에 대한 우리의 답과 함께 우리 삶으로 살아 날 것이다.

 

IP *.166.205.132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4.25 06:27:14 *.23.188.173
사샤 언냐의 포슬린 특강에 이어 양갱 오라버니의 요가 수업도 한번....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
오라버니의 칼럼을 읽고 생각해보니
 나 또한 그런 것들을 추구하고 있었다는 생각이 드네요
지난 일을 생각하게 만든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07:46 *.166.205.132
요가 수련을 제대로 안한지 꽤 되어서 수업은 쫌 - -;;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4.25 10:09:51 *.219.84.74
요가, 여행에 대한 그런 삶의 경험이 있었다니 놀랍군, 양갱! 존경!!!!!!!
살아 있음에 대한 경험이 삶 자체다. 멋진 느낌이다.
그리고 그런 느낌을 책에서 생각에서 얻은 것이 아니라 삶의 한대목을 통해서 얻은 것이라 보는 나도 동화된다.

결국 살아가는 것의 풍요로움은 다양한 경험에 따른 일면이다라는 생각.
그대의 경험이 뭔가 모를 당신의 다양한 매력을 만들고 있었군.

앞으로도 멋진 경험이 글을 통해서 깊게 그리고 다양한 얼굴로 내보일 수 있기를
응원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10:45 *.166.205.132
회사의 우산 아래 있으면서 그 경험이 자꾸 좁아지는 느낌이라 큰일이에요.
그래도 과거의 경험들에서 자꾸자꾸 퍼올려야 겠죠.
그리고 소소한 지금의 경험들 속에서도 찾아보려구요.
고마워요!
프로필 이미지
2011.04.25 10:51:51 *.124.233.1
시간 밖에 살아본 경수 형, 그 경험이 너무 부럽게 느껴지네요.
늘 마음 속에 머무르던 생각을 형은 지체 없이 행동으로 옮기셨구요.

<연금술사> 저는 작년 가을에 이 책을 처음 읽었어요.
늦은 건 없다지만 조금만 더 빨리 만났더라면 좋았을 것을 말이죠.
근데 일찍 만나도 준비가 되어 있지 않은 사람에게는 그저 좋은 동화에 불과 했겠지요?

당진 사진 참 좋아요 형, 놀러가고 싶네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13:21 *.166.205.132
지체 없이 행동으로 옮긴건 절대 아니구,
조력자의 도움이 없었으면 절대 할 수 없었을거야.
미스토리에 슬쩍 보니 <연금술사>가 네가 꼽은 책 이더구나. 
너에게도 그저 좋은 동화 만은 아니겠지... 네 안에서 꿈틀꿈틀 살아 움직이는게 보인다!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11.04.25 11:58:04 *.108.80.74
안녕하세요?
 2기 한명석입니다.
홍성에서 20년을 살았는데 당진에 계시다니 반갑습니다.

참한 사례가 차분한 사진과 함께 진솔하게 다가오네요. 잘 읽었습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14:45 *.166.205.132
선배님! 댖글에 감사드립니다.
얼마전 카페에도 가입했었는데...
홍성에서 오랫동안 사셨네요. 지금은 어디에 계신지...
충남권 모임 한번 할까요? ㅋ
프로필 이미지
2011.04.25 14:17:29 *.45.10.22
양파같은 남자 양갱!
멋지네요 언제 인도 이야기 좀 들려주세요
근데 요가하는 남자~ 참 어울려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15:59 *.166.205.132
그려 속없는 남자. 양갱이여~^^;;
땡큐! 사샤!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4.25 14:55:03 *.35.19.58
경수의 글은 읽을때마다 나를 놀라게한다.
어리버리한 얼굴에서 눈부신 비단같은 글을 뽑아내더니만 오늘은 6개월간 인도 여행을 했단 말인가?
그래서 그런 글이 나왔구나. 나 같이 틀에 갇힌 생활만 한 건 아니였어.
실패할 수도 있는 것이 인생 맞다.
그런데 그건 실패가 아니었구나 깨닫는 순간도 만나게 되는 것이 인생인것 같다.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17:22 *.166.205.132
어디 내 얼굴이 어리버리라는 것인가!
증거를 대라!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4.26 09:57:53 *.138.118.64
기존의 관념과 규칙을 넘어서 우리 내부의 살고자하는 에너지를 자극하는 신화.
웅웅.. 정말 그런듯.. 양갱 오라버니 글은 왠지 따뜻해요~!!! ^^
나도 나중에 요가요가~~ ㅋ
프로필 이미지
2011.04.26 10:20:33 *.166.205.132
내가 글을 따뜻하게 뎁혀서 올려서 그런거야~ㅋㅋ
요가는 진짜 요가 티쳐 유끼 은주선배님이 있잖아~
나한테 자꾸 그러지마오~^^
프로필 이미지
123456
2011.04.26 16:44:40 *.214.140.6
Buy Christian Louboutins patent d'Orsay dark Craze for huge Christian Louboutin area Boots dark Christian Louboutin shoes will undoubtedly not decline. females adore to arranged on large shoes. It provides them a enormous amount of Christian Louboutins On Sale at the same time to they genuinely certainly really feel excellent. males as well adore to wrist observe females with heels on. The image to the lady placing on them and swaying her hips when she walks is typically a sight that Discount Christian Louboutins sale Pierced males adore to watch. It also adds to the ego to the lady to acquire for finding admired so visibly by implies to the men.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 [양갱칼럼1] 아름다움에 속을지라도 file [17] 양경수 2011.04.03 2479
30 [양갱2] 도깨비를 구하는 방법 file [11] 양경수 2011.04.18 3196
» [양갱3] 신화의 힘 file [16] 양경수 2011.04.25 2718
28 [양갱4] 맞선 자, 거스른 자, 비껴간 자 file [16] 양경수 2011.05.02 3416
27 [양갱5] 내가 쓴 삼국유사_보원사와 마애삼존불 file [21] 양경수 2011.05.08 2895
26 [양갱6] 나의 신화 [1] 양경수 2011.05.17 2780
25 [양갱] 쓸모없음의 쓸모 file [16] 양경수 2011.05.29 3198
24 [양갱] 무엇을 어떻게 쓸까? file [16] 양경수 2011.06.06 2555
23 [양갱] 6월오프과제_역사와 나 양경수 2011.06.13 2137
22 [양갱] 젊은 배기태의 열정 file [12] 양경수 2011.06.19 2869
21 [양갱] 나의 중학생 시절 _ 무의식과의 대화 file [10] 양경수 2011.06.26 3500
20 [양갱] 사유하라! file [11] 양경수 2011.07.03 2295
19 [양갱] 내 인생의 경험을 바탕으로 꿈꾸는 미래 모습! 양경수 2011.07.12 3459
18 [양갱] 니가 진짜로 원하는게 뭐야? file [10] 양경수 2011.07.17 3151
17 [양갱] 무당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file [12] 양경수 2011.07.25 5552
16 [양갱] 10만원짜리 상추 file [4] 양경수 2011.07.31 2795
15 옆에 있는 사람도 사랑 못하는데 누굴 사랑해? file [17] 양경수 2011.08.17 2836
14 [양갱] 9월 오프과제_너는 누구냐? & 첫 책 프로필 [4] 양경수 2011.09.06 3063
13 [Monday,String Beans-#1] 신두리 여행기 file [14] 양경수 2011.09.12 4880
12 [Monday,String Beans-#2] 몸으로 부딪쳐야 할 때 file [13] 양경수 2011.09.18 29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