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루미
  • 조회 수 1948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1년 5월 23일 04시 20분 등록

일요일 밤, 딸기농장에서 잼을 만들 딸기를 잔뜩 사온 엄마는 당장 딸기를 끓이기 시작했다. 이내 곧 달달한 딸기의 향이 집안 가득해졌다. 시간이 늦어질 것 같으니 내일 하는 것이 어떠하겠느냐고 말했지만 당장 딸기가 많이 물러질 것이라고 판단한 엄마는 돌아온 그 자리 그 길로 딸기잼 만들기에 착수했다. 시판에 비해 당도가 많이 떨어지고 점도도 떨어지지만 그다지 단 것을 좋아하지 않는 엄마가 매우 선호하는 정도이고, 점도가 떨어지기에 잼을 바르는 것이 수월하기도 하다. 요리하는 거 벌로 좋아하지도 않고 음식하며 손도 크지 않은 엄마가 오빠네, 인천 이모네, 내 친구, 앞집, 뒷집 등을 세어가며 제법 많은 양의 딸기잼을 만든다.

엄마는 살림에 별다른 취미가 없는 사람이다. 요리하는 것에도 별다른 취미가 없다. 지저분하지 않은 정도, 그리고 굶지 않을 정도의 살림을 한다. 반찬은 집에서 만들기도 하지만 요리는 사먹는 것이 좋다는 것이 엄마의 지론이다. 이쪽저쪽에서 김치를 사먹기에 우리 집 김치의 맛은 항상 가변적이다. 냉장고에서 야채가 썩어 나가는 적도 있고, 무언가를 사 놓고 모르는 적도 많이 있다. 때로는 김치 3종 세트만으로 식사를 구성해주시는 날도 있다. 그래도 경력으로 치자면 30년이 넘었고, 다른 일 하지 않고 항상 전업주부의 길을 걸으셨다.

연구원을 시작하면서 생각이 들었다. 엄마는 분명 살림에는 취미가 없었다. 최대한 간단한 음식을 만들어서 간단하게 끝내는 것이 좋다는 것이 엄마의 방식이다. 요리를 하면서 들뜨는 경우는 없다. 누군가 손님이 생기면 식사로 고민을 하는 것이 엄마다. 그래서 오빠는 취직을 하고는 명절에도 엄마를 위해 밥을 사주곤 했다. 엄마는 무언가 다른 것을 배우실 때 더 빛이 나고 즐거워 하셨다. 방송통신대학교에서 교육학을 전공할 때 엄마는 즐거워 했다. 한국무용도 배우러 다녔고, 음악치료도 배우러 다니셨다. 평생교육지도자 자격증도 가지고 계시고, 지금은 수묵화와 유화를 배우러 다니신다. 그래도 삼십년이 넘게 이 길을 걸어오셨다. 지금도 아침마다 나와 아이의 밥을 챙겨주시고 매일 돼지우리 같다는 내 방을 청소해 주시기도 한다. 죽어도 싫은 일은 하지 않겠다는 막무가내 딸의 뒷바라지를 묵묵히 해주시고 계시는 엄마다. 몸이 아파 칭얼대는 손녀를 딸을 대신해서 안고 어르고 달래며 재우시고 아이가 침대에서 떨어져 울어도 모르고 자는 딸 덕분에 자가다 뛰어와서 아이를 안아올리기도 하신다. 천 기저귀를 쓰겠다며 선언한 딸을 대신해서 아기의 기저귀를 빨아 주었던 것도 엄마고, 매일 방안에서 무언가를 찾아다니는 나에게 어디어디에 있는 듯 하더라는 말씀을 던지기도 하신다. 연구원 한답시고 컴퓨터 앞에 있는 딸 때문에 어린 손녀를 데리고 나가서 놀아주기도 하시고, 밤마다 책읽을 시간을 마련해 주시려고 손녀를 재워주기도 한다. 자신이 즐거워 하는 일을 부업으로 다른 이들을 챙기는 것을 본업으로 그렇게 보낸 30년은 아직 끝이나지 않았다.

그 어느 누구의 부모인들 이런 점이 없겠는가. 어떤 이라도 제 부모에 대한 애틋한 감정이드는 것은 어쩔 수 없으리라. 그 변치 않는 마음에 그 끝이 없는 사랑에. 그래서 뻔한 내용이라 할지라도 부모에 대한 영화, 연극, 책들은 여전히 우리를 울린다. 가슴 뭉클한 사랑을 느끼고 다짐하면서도 여전히 부모 앞에서 투정을 부리는 것이 또 우리다.

저녁때부터 시작된 딸기잼 만들기는 한밤이 되어서도 끝이 나지 않았다. 정해놓은 분량의 책을 다 읽고 덮자 엄마는 자라고 말한다. 아마 그 후에 엄마는 끊임없이 잼을 젓고 병을 소독하고 잼을 담을 테다. 엄마를 대신해서 잼을 저으며 시덥잖은 농담을 던진다. 깔대기가 없음을 이제야 깨닫는 엄마와 함께 맥주 피쳐병과 올리고당 병에 뜨거운 물을 가득 담아 본다. 같은 방향으로 휘어지는 병을 보고 피사의 사탑이라며 둘이 소리죽여 깔깔거린다. 결국은 제각각 국자를 하나씩 들고 하나하나 병에 담기 시작한다. 아까우니까 흘리지 마라는 잔소리를 가득 들으며 별일 아닌 것에 킥킥대가며 모든 병에 잼을 가득 담은 것이 끝나는 시간은 새벽 1시가 되어 있었다. 책읽고 글 쓸 사람을 이때까지 부려먹어서 어떻게 하냐는 걱정을 들어가며 잠자리에 눕는다. 아마 내일 단군기상시간은 못 맞출 테다. 오늘 읽은 책의 리뷰를 다 작성하지도 못하겠지. 그래도 알 수 없는 만족감이 느껴진다.

일연은 그가 지은 <삼국유사>에도 효편이라는 장을 따로이 마련해서 적고 있다. 79세의 나이에 국사의 자리를 거절하고 고향으로 내려와 96세의 노모를 모셨다. 자신 하나만을 바라보고 혼자서 오랜 세월을 사신 노모에 대한 효심이었으리라. 불교에 귀의해 승려의 신분으로 세상을 살면서 많은 업적을 남긴 일연이고 그로 인해 국사의 자리에 오른 그이지만 마음 한 구석에 부모에 대한 애틋함이 남아 있는 것은 어쩔 수 없었을 것이다. 그래서 영광된 국사의 자리를 버리고 내려와 노모를 봉양했을 것이다. 그저 매일 노모에게 자신을 보여드리고 맛난 것을 함께 나누어 먹는 것이 일연이 생각했던 효의 모습은 아니었는지 생각해 본다. 국사라는 거창한 자리가 아니라 그저 얼굴을 마주 하고 웃음을 함께 하는 것이 그가 종래에 택한 효는 아니었는지 생각해 본다. 효란 이렇듯 간단한 것 일수도 있다는 생각이 나의 마음을 편하게 한다.

아마 엄마는 내일 아침까지도 내 과제에 대해서 걱정을 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아침을 먹으면서 나 좀 잘하고 있다고 잘난 척을 해봐야 겠다. 지지 않은 입담으로 나의 잘난 척을 여지없이 깨뜨리겠지만 아직 그런 말을 할 기운이 남아 있음을 알고 안도도 하실게다.

IP *.23.188.173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08:48:18 *.45.10.22
루미의 글에서는 언제나 체온이 느껴지는 것 같다 루미 화이팅 ^^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3 09:28:48 *.23.188.173
언냐의 응원이 힘이되지요~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23 11:28:17 *.85.80.112
품안의 자식이라 했는데 품을 벗어나서도 부모님 곁에서 기쁨을 주니 그대의 효가 빛난다.
하지만 자신이 우뚝 서서 부모님이 그대에게 걱정하는 바가 없어지면 더 큰 효가 되려니
더 큰 효를 위해서
더 큰 그대의 이름을 위해서
빨리 큰 어른이 되소.
입지하였으니 출가도 하고 그래서 뜻하는 바를 이루길...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4 05:47:58 *.23.188.173
걱정하는 바가 사라지는 날이 오기는 쉽지 않겠지만
먼저 큰 고민 한덩어리는 뻬드려야 겠지요~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1:50:47 *.124.233.1
소소한 일상에서 '효(孝)'를 찾아냈네..

효(孝) 하면 떠오르는 일화가 생각난다.
동네에 소문난 효자가 있어
어떤 사람인가 보려고 마을 원님이 찾아갔데.
원님은 깜짝 놀랬지.
효자라고 한 청년은 마루에 걸터 앉아 있고
어머니가 그 아래에서 아들의 발을 닦아 주고 있었지.
그 모습을 본 원님은 청년을 혼냈다네.
어찌 효자라고 하는 사람이 노모에게 발을 닦게 하느냐고.
그러자 효자 아들 曰
"제 발을 닦아 주는 것을 어머니께서 세상에 더 없는 즐거움으로 여기십니다.
어머니께 더 없는 즐거움을 드리는 것이 진짜 효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내 멋대로 각색을 해서 볼품없어져 버렸네~ㅋㅋ

진짜 효는 부모님께 대단한 뭔가를 해 드리는 게 아니라
당신들의 마음 깊은 곳을 헤아려 그분들께서 진정으로 원하는 것을 드리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해본다.

딸기쨈 맛있겠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4 05:49:47 *.23.188.173
이 이야기를 저도 들은 적이 있는데 이걸 쓸 때는 생각이 안났어요~ㅋ
역시 활용의 문제란 어려운 것이군요....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23 15:18:53 *.142.255.23
딸기잼향이 집안 한가득이면 좋겠다... 우리집은 늘 된장냄새가 한가득..ㅋㅋ.. 요즘 집안일에 신경 안쓴다고 엄마랑 동생한테 완전 욕먹고 있는데.. 적절한 타이밍에 효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주시는 언니는 센스쟁이!!! 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4 05:51:09 *.23.188.173
나도 맨날 욕먹어ㅋㅋㅋ
그래도 지치지 않고 잔소리를 할 수 있는 건 그만큼 그들이 건강한 거 아니겠니????
우리 엄마도 엄~~~청 건강해~ㅋㅋㅋ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23 16:55:25 *.35.19.58
루미 어머님 꼭 만나봐야겠는걸. 나도 요즘 한국무용이 배우고 싶은데 아마 마샤 그레이엄 때문인가봐. ㅠㅠ
나도 살림엔 취미가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해보니 생각보다 재미있네.
루미가 어머니위해 상다리 휘어지게 밥상 한번 차려라.(처음 할 때는 반찬을 사도 된다. 특히 부침개같은건)
그럼 어머니 눈에서 눈물이 그렁그렁 하실거다.
일연스님을 어머니를 모시기 위해 일각사로 내려갔는데 루미는 무얼할까 기대된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4 05:52:15 *.23.188.173
반찬을 사도 된다~ 이 얼마나 위안이 되는 말인가요
핵심요리 한 개만 준비하지요~ㅋㅋㅋ
그래도 얼마나 좋은 세상인가요 네이버 언니가 다 가르쳐 주니.....
프로필 이미지
한명석
2011.05.23 19:49:44 *.108.80.74
맨 위의 댓글처럼 루미씨는 글을 일상에서 풀어나가는 재주가 있네요.
지금, 여기에서 아는 만큼만 쓰면 '보여주는' 글이 된다는 것을  스스로 깨우친듯.

어머니께서 살림에 임하는 자세가 저와 너무 비슷해서 급 땡기네요.
어머니께,
쉰에 글쓰기 시작해서 3년 만에 첫 책 내고 글쓰기 강좌하는 선배 있다고 소개 좀 해 줄래요?
-- 대놓고 홍보중 ^^

우선 내 블로그 http://mitan.tistory.com/와  여기 링크된 글쓰기 카페를 둘러 보시고 코드가 맞으면...

위에 소개된 어머니의 학습열을 하나로 꿸 수 있는 도구가 글쓰기라는 것은 루미씨가 잘 알 꺼구요.

이거 어머니께 직관적으로 느낀 동지애임다. ^^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4 05:59:55 *.23.188.173
제가 연구원을 하면서 최근에 느끼게 된 부분이 그거였어요
엄마한테도 정말 흥미있는 일이 되겠다는 것.
연구원을 하랄수도 없고 좋은 기회는 될 것 같고 그랬는데
이런 방법이 있었군요~
엄마께 당장 말씀드려야 겠어요~
생각을 했더니 이루어지는 신기한 날입니다.
관심있게 봐주시고 먼저 손 내밀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미선
2011.05.24 15:24:17 *.76.248.166
루미는 정말 일상의 소소함에서 따뜻함을 찾아내는 능력이 있나봐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이야기여서 더 글에 빠져드는 것 같어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2 [호랑이] chapter 2 : 1인 기업 성공요소 [1] crepio 2011.05.25 1738
2431 응애 67 - 비상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2 [4] 범해 좌경숙 2011.05.25 2248
2430 칼럼. 울타리를 벗어난 아이들 [3] 연주 2011.05.24 1735
2429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11] 이은주 2011.05.24 2731
2428 [03] 청춘의 노래 [4] 최우성 2011.05.24 2124
2427 응애 66 - 꿀맛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1 [2] 범해 좌경숙 2011.05.24 1991
2426 스마트웍의 핵심, 팀 리더십 [7] 희산 2011.05.23 3439
2425 남자의 로망, 그리고 도전 [8] 2011.05.23 1886
2424 [Sasha] 칼럼8. 사마천의 주례사 file [17] 사샤 2011.05.23 2851
» 루미유사 - 효편 [13] 루미 2011.05.23 1948
2422 "나는 작가다." [18] 미선 2011.05.23 1801
2421 칼럼 08. 반(半)백수 열전 [9] 미나 2011.05.23 1719
2420 [평범한 영웅 008] 나는 왜 국가대표가 되지 못하는가? [10] 김경인 2011.05.22 4080
2419 [늑대8] 나는 피었노라, 나는 이겼노라 [9] 강훈 2011.05.22 1603
2418 나비칼럼 No.8 – 전업주부열전 [13] 유재경 2011.05.22 3337
2417 라뽀(rapport) 52 - 너나 잘하세요 書元 2011.05.22 1607
2416 단상(斷想) 65 - Anchoring1 file [1] 書元 2011.05.22 1652
2415 감자옹심이 콧등치기 [1] 신진철 2011.05.22 2210
2414 [호랑이] chapter 2 표범(희석이 사례 전격 포함)과 호랑이 [3] crepio 2011.05.20 2100
2413 아우라지 강가에서 file [1] 신진철 2011.05.19 19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