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커뮤니티

살다

여러분이

  • id: 문윤정
  • 조회 수 2122
  • 댓글 수 0
  • 추천 수 0
2012년 2월 20일 08시 22분 등록
 

나에게 있어 역사란 무엇인가

                                        

위인과 개인 

                                   

    ‘역사’란 교과서 혹은 책 속에 박제되어 있는 그 무엇으로 항상 느껴왔고 그렇게 이해했다.

  역사가 나와 숨 쉬고 소통하는 것이라는 것을 한 번도 생각하지 못했다. 그 배경에는 ‘역사’라는 이름을 달고 있는 텍스트에 있다. 역사책을 통해서 느낀 것이 있다면 “역사란 위인의 전기” 혹은 “제왕들의 사실적 기록”이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이런저런 책들을 집필하면서 인도의 역사서와 중국의 역사서와 오스만투르크의 역사서를 읽어보았다. 거기엔 제왕들의 탄생과 성장. 그들의 정치적인 철학 혹은 치정(治定)에 관한 것, 왕들의 여성편력과 왕의 여자들의 견제와 투쟁, 이러한 것들로 채워져 있다. 그 어디에도 개인의 삶과 관련된 것들이 많지 않았다. 역사책에는 개인의 삶, 서민의 삶에 관한 기록이 별로 없기에 나와는 동떨어진 기록으로 생각되었다. 지극히 소박한 서민의 삶, 한 개인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나로서는 당연할지도 모른다. 역사에 대한 인식이 별로 없는 것에 대해 어떤 책임의식을 가지는 것은 아니지만,  ‘역사의식이 없으면 지성인이 아니라’는 그 말에 대해서는 부정하지 않는다.

  정기문 역사학자는 “과거는 잠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의 생활 속에 숨쉬고 있고 현존하는 사람들의 이해관계가 첨예하게 대립하는 투쟁의 장소”라고 했다. 나는 내 육체에 관한 ‘생물학적 역사’에 대해서라면  정기문씨의 말에 동의할 수 있다.

  내 호흡에는 고대의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 주몽, 이성계 등등의 인물들이 들이쉬고 내뱉은 숨 일부를 내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지금 내 육체를 구성하고 있는 살과 뼈와 피는 두껍고도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기에 내 육체는 역사적인 산물임에 틀림없다.

  이런 논리로 따지고 보면 내 개인적인 삶에도 생물학적 역사와 맥을 같이 하는 길고 긴 역사를 내포하고 있다. 나의 생활방식과 생각과 행위 등 지금 현재 나를 규정하고 있는 모든 것은 사회로부터 획득한 것이며 그 사회란 역사의 흐름 속에서 만들어지고 축적되어져 온 그런 것이다. 내 삶 또한 역사적인 산물임에 틀림없다.

  그런데 왜 역사를 의식하고 인식하는데 무관심했을까? 역사책의 터무니없는 위인숭배에 그 원인이 있을 지도 모른다. 사실적인 것만 기록된 것이 아니라 과장되고 미화되고 조작된 그런 내용에 관해 인정하고 싶지 않은 것이다. 내가 알고 있는, 인식하고 있는 모든 것은 약간의 굴절과 왜곡이 있음을 알고 있으면서도 역사에 관해서는 그렇게 편협한지 모르겠다.

  E.H.카는 <역사란 무엇인가>에서 위인에 대해  “위인이란 역사적 과정의 산물이면서 대행자이고 동시에 세계의 양상과 인간의 사상을 바꾸는 사회적 여러 힘의 대표자이며 창조자인 뛰어난 개인”이라고 정의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이러한 “위인을 인정하는 것은 중요한 일”이라고 했다. 왜냐하면 역사란 “하나의 사회과정이며 개인은 사회적 존재로서 이 과정에 참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란다.

  시대의 대표자이자 창조자인 위인이 역사를 만들어가는 그 과정에 익명으로 불리는 ‘개인’들은 사회적 존재이기에 역사만들기에 참여할 수밖에 없는 것이다. 위인 혹은 왕들의 역사만들기에 개인은 하나의 도구로 쓰여진다는 것에 화가 나는 것이다. 이때의 개인이란 나와 동일시되면서 비천하고 무지한 그런 존재로 해석되어지기에 화가 난다.

   톨스토이는 일찍이 “인간은 의식적으로 자기 자신을 위해서 살면서 인류의 역사적이고 보편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한 도구로 쓰이고 있다.” 고 간파했다. 톨스토이의 ‘인류의 역사적이고 보편적인 목적’이 무엇인지는 모르겠지만, 이제 나는 혹은 개인은 인류의 역사만들기에 이미 참여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지구에 존재하는 것 자체가 이미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한 국가의 구성원으로서 하나의 도구가 되어버리기 때문이다.

 이제 나는 개인의 ‘역사만들기’가 곧 인류의 역사와 국가의 역사와 사회의 역사를 만드는데 일조를 하고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앞으로 나는 변화경영연구소를 통해서 보다 나은 나의 ‘역사 만들기’를 시도할 것이다. 그리고 노력할 것이다. 


IP *.85.249.18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540 [8기 지적레이스 1주차/ 정나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2] 터닝포인트 2012.02.20 1896
3539 [8기예비연구원 1주차 이길수]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길수 2012.02.20 2166
3538 [8기예비연구원1주차]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file [2] 레몬 2012.02.20 2073
» 8기 지적레이스-나에게 있어 역사란 무엇인가 칼럼 id: 문윤정 2012.02.20 2122
3536 [8기 레이스, 장재용] 왜 (사)냐고 물어라. [1] 장재용 2012.02.20 2150
3535 8기 예비연구원[1주차 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안지수 안지수 2012.02.19 2059
3534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학이시습 학이시습 2012.02.19 3355
3533 8기 예비연구원[1주차 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한승욱 한젤리타 2012.02.19 1930
3532 8기 레이스 1주차 컬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 진성희 샐리올리브 2012.02.19 1906
3531 [8기 연구원지원] 1주차칼럼 –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펄펄 2012.02.19 2070
3530 [8기 레이스 - 1주차 칼럼] 나에게 역사란 무엇인가 [2] 이준혁 2012.02.18 2049
3529 New 인맥론 - 종족의 시대가 온다 (3) - 관계채널의 종류와 진화 재능세공사 2012.02.15 2037
3528 New 인맥론 - 종족의 시대가 온다 (2) - 인맥에 대한 다양한 관점 재능세공사 2012.02.07 2036
3527 New 인맥론 - 종족의 시대가 온다 : 서문 + (1) 재능세공사 2012.02.07 1782
3526 [진영이의 단군이야기 3] 나의 연금술사 [2] 진영 2012.02.05 2144
3525 [먼별4-2:트리스탄과 이졸데] 사랑은 비극적이어야 영원하다 수희향 2012.02.04 3144
3524 [무채색광채]잊을수 없는 질문 [2] 자람속행복 2012.02.01 2017
3523 [진영이의 단군이야기2] 5분 지각 [5] 진영 2012.01.22 2254
3522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희망빛인희 2012.01.22 2099
3521 [먼별 4-1] <버킷리스트: 죽기 전에 꼭 봐야 할 영화^^> [1] [1] 수희향 2012.01.21 26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