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오늘의

마음을

마음을

2017년 1월 3일 08시 34분 등록


아직 법적인 나이로는 만48세지만, 통상적인 나이로는 2017년 1월 1일부로 오십이 되었습니다. 50, 그야말로 생각지도 못했던 나이입니다. 살짝 아니, 많이 당황스럽네요.


누군가는 반백의 나이라고 말합니다. 오십, 많은걸까요, 아니면 아직 적당하다 할 수 있는 나이인걸까요? 솔직히 10년 전 불혹의 나이인 40세를 맞이할 때보다 더 당혹스럽네요. 불혹(不惑)을 맞으며 이런 의문이 들었습니다. 세상의 의혹이 없어지고 그럼으로써 자신의 생각을 제대로 세우게 되는 나이가 40이라고? 오히려 의혹이 더 많아지기만 하는데? 도저히 인정할 수 없었습니다. 그것은 지난 10년을 지나오면서도 마찬가지였고요. 여전히 세상은 의혹과 의문 투성이입니다. 뭐랄까요, 점점 더 안갯 속으로 들어가는 느낌이라고나 할까요?

그런데 말입니다, 오십은 불혹을 뛰어 넘어 지천명(知天命), 이제는 하늘의 뜻(命)을 알게되는 나이랍니다. 사실 내 한몸 건사하기조차 힘든데 세상에나, 하늘의 섭리까지 깨닫게 된다니요... 이런 말도 안되는 이야기가 어디 있을까요? 그렇지요?


우리가 알고 있는 불혹, 지천명, 이순과 같은 단어들은 공자(孔子, BC 551 ~ BC 479)의 『논어』 ‘위정편(爲政篇)’에 등장하는데요, 공자는 여기에서 자기 학문과 수양에 대한 발전 과정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吾十有五而 (오십유오이지우학)
나는 열다섯 살에 학문에 뜻을 두었고

三十而立 (삼십이립)
서른 살에 자립했으며

四十而不惑 (사십이불혹)
마흔 살에 미혹되지 않게 되었다

五十而知天命 (오십이지천명)
쉰 살에 천명을 알았고

六十而耳順 (육십이이순)
예순 살에 귀가 순해졌으며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칠십이종심소욕 불유구)
일흔 살에 마음 내키는 대로 했으나 법도를 넘지 않았다

사실 공자가 살던 시대에 인간의 수명은 잘해야 40~50대 정도 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아니 그보다 더 낮을 지도 모르겠네요. 이에 반해 공자는 무려 73세에 생을 마감했습니다. 정말 장수한 셈이지요. 공자는 아마도 자신의 삶에 비추어 위처럼 말한 듯 싶습니다. 15세에 학문에 뜻을 두고, 30세에 뜻을 자립했으며, 40세에 미혹되지 않게 되고, 50대에 천명까지 알게 된 것 아닐까요? 더불어 60세에는 세상의 이야기를 잘 듣게 되었으며, 마침내 70세에는 자유로운 영혼까지 가지게 되었다니 정말 대단한 삶을 살다간 것이라 할 수 있겠죠. 하지만 일반 사람들의 생은 전혀 그러지 못했을 겁니다. 일단 당시에 공자처럼 장수한 사람조차 드물었을테니까요.

공자가 세상을 떠난 지도 무려 2,600년 가까이 되어 갑니다. 이제 현대인들의 수명은 공자를 뛰어 넘어 90세 시대, 더 나아가 100세 시대를 맞이하게 되었습니다. 장수의 여건이 조성된 것이죠. 그럼에도 공자가 말한 이립, 불혹, 지천명, 이순은 여전히 우리에게 머나먼 이야기처럼 들립니다. 왜 그럴까요? 물론 우리는 공자와 같은 성인이 아니기 때문이며, 또 그렇게 되기도 힘들기 때문이겠죠. 하지만 그래도 노력은 필요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공자처럼은 될 수 없겠지만, 최소한 그의 생각이라도 쫓아가고자 하는 노력 말입니다.

가만히 스스로에 대해 돌아보면, 학문에 뜻을 두었다는 지학은 어느 정도 실천 중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독서를 통해 지속적인 공부를 하고 있으니까요. 두 번째 이립은 글쎄요... 아직 시간이 필요한 듯 싶네요. 그런 의미에서 많이 늦은 나이인 50이긴 하지만, 이제부터라도 공자가 말한 이립, 불혹, 지천명을 터득하기 위한 노력을 해보고자 합니다. 모르겠습니다. 죽을 때까지 이립조차 이루지 못할 수도 있고, 이립을 넘어 불혹의 문턱에서 생을 마감할 수도 있겠지요. 그래도 더 열심히 공부를 하다보면 지천명까진 아닐지라도 혹시 불혹의 일부라도 알게 되지 않을까요? 뭐 그도 아니라면 어떻겠습니까? 스스로 열심히 공부했다는 그 사실에 만족할 수도 있을테니 말이죠.

이렇게 배우고 스스로 익힐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아직 오십이 많은 나이는 아닌 것 같습니다. 도전하고 또 이룰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수 있으니까요. 요즘 마흔을 두 번째 스물이라 부른다지요? 그렇다면 저는 오십을 두 번째 스물다섯이라 부르고자 합니다. 마음껏 도전의 나래를 펼칠 수 있는 스물 다섯, 그 두 번째 이야기가 이제 막 제 앞에 펼쳐지기 시작했으니 더 열심히 살아봐야 하겠습니다. 진짜 스물다섯처럼 말이죠.


* 덧붙임
지난 12월 29일 새벽 제 부친이 별세하셨습니다. 상을 치르는 동안 큰 힘이 되어 주신 많은 분들에게 깊이 머리숙여 감사인사를 올립니다.



차칸양(bang_1999@naver.com) 올림




***** 구본형변화경영연구소 공지 ***** 

1. 2017년 변경연 1차 출간기념회 안내
2016년은 변화경영연구소에 있어 또 하나의 획을 그은 한해라 할 수 있습니다. 작년 한해동안 변경연분들(연구원, 꿈벗, 연구원 개별 프로그램 구성원)이 출간한 책이 무려 17권이나 된다네요. 대단하죠? 그럼에도 그 축하자리가 없어 아쉬웠는데, 올해부터 변경연의 저자분들을 모시고 정기적으로 출간기념회를 열고자 합니다. 이번은 1회로써 『파산수업』(정재엽), 『위대한 멈춤』(박승오/홍승완), 『몸여인』(오미경) 3분의 저자를 초빙, 기념회를 개최하니 많은 분들의 관심과 참여 바랍니다.

2. [출간소식] 『위대한 멈춤』 박승오, 홍승완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박승오, 홍승완 연구원의 공저 『위대한 멈춤』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삶의 방향을 고민하는 보통 사람들을 위한 책으로, 인생을 변화시킬 수 있는 9가지 도구(독서, 글쓰기, 여행, 취미, 공간, 상징, 종교, 스승, 공동체)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삶의 위기에 직면한 독자, 본질적 변화에 막연한 두려움을 가진 독자들에게 용기와 통찰을 준다하니 관심있으신 분들의 일독을 권합니다.

3. [출간소식] 『치유의 인문학』 문요한(공저) 지음
변화경영연구소 1기 연구원 문요한의 공저 『치유의 인문학』이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은 대한민국의 대표 인문학자 10인이 광주 트라우마센터에서 강의한 내용을 담았는데, 그 중에서 문 연구원은 '여행자의 삶'을 주제로 생각 과잉의 현대인이 왜 여행자의 삶을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내용을 담았다고 합니다. 평소 인문학에 많으신 분들의 일독을 권해 드립니다.
IP *.69.101.152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616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할까 書元 2017.01.07 1054
2615 여든네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원더우먼에게 재키제동 2017.01.06 1158
2614 잃어버린 바늘을 찾아서 김용규 2017.01.06 1121
2613 내가 무엇을 어떻게 왜 하는지 스스로에게 납득시킬 수 있다면 file 한 명석 2017.01.04 1249
» 오십, 두 번째 스물 다섯의 시작 차칸양(양재우) 2017.01.03 1631
2611 그러니 기꺼이 외로워야 합니다. 김용규 2016.12.29 1147
2610 새해에 바라는 단 한 가지 file 한 명석 2016.12.28 1124
2609 2016년 마음편지를 돌아보며 차칸양(양재우) 2016.12.26 1168
2608 인생의 책을 만나는 법 연지원 2016.12.26 1131
2607 다시 넥타이를 맵니다 書元 2016.12.24 1019
2606 적막의 날을 그리며 김용규 2016.12.22 1073
2605 과일을 먹다가 잘 살고 싶어지다 file 한 명석 2016.12.21 1211
2604 우리는 진짜 ‘노브랜드’를 원합니다 [2] 차칸양(양재우) 2016.12.20 1369
2603 나는 왜 책을 읽는가 [1] 연지원 2016.12.19 1161
2602 여든세번째 편지 - 1인 기업가 재키의 마지막 토크쇼 재키제동 2016.12.16 1372
2601 끝내 모면을 모색하는 당신들에게 김용규 2016.12.16 1111
2600 보통사람이 맞이할수 있는 최고의마법 file 한 명석 2016.12.14 1069
2599 여자의 젖가슴은 그 존재 자체로 아름답다 차칸양(양재우) 2016.12.13 1612
2598 다가오는 것들의 아름다움 연지원 2016.12.12 1089
2597 미리 크리스마스 書元 2016.12.10 10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