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장재용
  • 조회 수 1917
  • 댓글 수 6
  • 추천 수 0
2012년 8월 27일 09시 50분 등록

누가 비극이라 하는가

 

스포츠뉴스에 골프 소식은 빠지지 않는다. 생각 없이 TV를 보는데 시원한 잔디 위에 빛나는 아이언을 잡은, 아직 소녀 티를 벗지 못한 골퍼들이 애처롭다. 이 나라 나이 어린 친구들이 LPGA 상위권을 석권했다는 뉴스는 더 이상 ‘something new’가 아니다. 박세리씨 이후 의도적이든 의도적이지 않든 그녀의 빛나는 선례를 연료로 키워진 그녀들의 운명에 대해 생각한다. 키워진다.. 키워졌다.. 이 수동태적 꿈의 현현 앞에서 2의 박세리로 뭉뚱그려지는 그녀들의 수식어가 각각의 개별성을 제거해 버리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많은 갤러리들 속에서 그녀들을 쫓아다니는 그 부모를 번갈아 보니 안타까움은 더한다. 그러나, 나쁘지 않은 것이다. 편견으로 가득 찬 내 시선 밖의 그네들의 삶은 미끈하다. 열심히 잘 사는 이들을 시칠리아 할배 같은 괜한 오지랖으로 근거 없이 앞서서는 곤란하겠다. 그럼에도 치미는 화를 눅일 수 없는 것은 나의 삶도 누군가의 꿈에 의해 길들여져 간다는 느낌, 그 지울 수 없는 운명의 익명성이다.

 

이것은 타인이 꾸는 꿈에 기꺼이 헌신하는 타자성과는 확연하게 구별되는 찝찝함이 있다. 나는 되게 기분 나쁜 이 느낌과, 나와는 떼어낼 수 없는 직장인이라는 아이덴티티를 자연스레 잇댄다. 직장인, 이건 앞서 어린 골퍼들을 빗댄 개별성이 제거 되었다느니 수동적 꿈이니 하는 말들과는 쨉이 되지 않는 시시함이다. 그러니 나는 첫 문단을 이야기할 자격이 애초에 없었던 거였다. 길을 가다 그냥 걷어차이는 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을 삶이 누군가를 롤모델로 자기 꿈을 펼쳐가는 삶들을 폄하했으니 얼굴이 붉어질 일이다.

 

개인 인생의 굴곡은 제 각각이고 모두 나름의 곡절을 겪어서 뼈아픈 그늘 몇 개씩은 보듬고 살겠으나 직장인으로 산다는 것, 나에게는 시시하다. 자본에 봉사하여 돈 버는 일, 그 삶의 모습이 젊은 사람이나 늙은 이나 다 똑같아졌다. 어느 순간 삶의 다양성이 말라버린 팍팍한 이 나라 대중의 보편적인 삶이 되었다. 그런 인생이 되기 위해 오로지 경쟁을 위한 악다구니를 내려놓지 못하게 되었고 진창에서 둘러 빠져야 하루가 가게 되었다. 그러나 돌아오는 건 한없이 익명적인 누구로 바뀌어 버린 자신의 모습이다.

 

이것이 내 운명이라면 받아들일 수 있는가. 죽을 때까지 짊어져야 할 멍에라면 기꺼이 쓰고 갈 수 있는 것인가. ‘무상한 생이기에 주어진 삶을 치열하게 살아라는 앞뒤 맞지 않는 역설을 잘 해석하여 무가치적인 일들을 덮어놓고 봉사하고 보는 삶은 아닌가. 일어나 출근하는 일은 괴롭지만 편하다. 굉장히 열심히 하고 있다. 이것이 나에게 부여된 삶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그러나 더 이상 아침에 직장에 나가지 않는 나의 모습, 그 사태를 생각하는 것 조차 불편하고 불안하지만 한편으로 그 보다 기쁠 수는 없다. 어떤 삶이 나에게 주어진 삶인지는 아무도 모른다. 아직 나조차 알지 못하니 말이다.

 

그러나, 오이디푸스가 제 아비를 죽이고 제 어미와 같은 침대를 쓰는 것이 제 운명이었다면 그 운명이라는 것의 실체를 알아차리고 제 눈을 스스로 찌른 것은 주어진 삶에 대한 강력한 외면이다. 그 외면이 생의 무상함을 잠재울 수 있었던 치열함이었음을 이제는 알 수 있다.

자신을 낳아 준 어머니, 그 어미가 제 자식 앞에서 젖을 내어 놓고 살려주기를 애원하는 빌어먹을 상황, 그 상황에서 오레스테스가 어떤 선택을 하든 그것은 운명이라는 세속적 단어로 표현하기 힘든 비극이다.

 

주위를 다시 둘러보자. 비극 아닌 것이 없다. 병원에서 2 3일을 아픈 아이와 함께 하다 월요일이 되어 출근하고 아무렇지 않게 웃으며 일해야 하는 아비, 자신의 살을 내어주마 했던 연인과 이별하고 다시 아침을 맞아야 하는 사태, 어느 날 우연한 사고로 사랑하는 사람을 느닷없이 먼저 보내야 하는 일, 그러나 무엇보다 비극적인 것은 아침에 일어나 출근하고 일하며 스트레스 받다가 눈치 보며 퇴근하고 월급에 잠시 기뻐하다 마이너스에 불평하는 삶을 사는 것, 그 특별할 것 없는 삶을 살고 있다고 자각하는 자신이다.

 

오레스테스가 미쳐가던 이유, 오이디푸스가 결국 성인(聖人)이 된 이유, 자기 앞에서 죽음을 얘기하지 마라던 아킬레우스, 운명을 극복한 자기 결정의 삶들이 3천 년을 넘나들며 인류의 정신적 원류로 추앙 받는다. 왜 그럴까? 놔두면 비극이되 건드리면 깊은 인생이 되는 지점에서 그들은 자신의 삶 전체를 날려버릴 가공할 미사일을 격발하기 때문이다. 바로 비극적 운명을 뽀개버리려는 치열한 노력이다. 그래서다. 비극적 인생의 위대한 삶, 그 삶을 함부로 살 수 있겠는가. 내가 처한 지금이 옴짝달싹하지 못하는 나의 운명으로 확정 짓고 그저 열심히 이대로 살아야 하는 것인가. 누군가와 비슷한 삶으로 살 수 있겠냐 말이다.

 

긴 여행에서 돌아온 뒤의 회사는 나에게 확신을 주었다. 잦은 회의, 질책과 함께 쏟아지는 업무, 하루 12시간의 근무. 회의를 할 때면 항상 너는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난데없는 질문에 입안은 바짝 마른다. 넘어가던 침이 목구멍을 찢어 놓는다. 이 구질구질한 삶을 어찌 할거냐는 대답은 나밖에 할 수 없겠지만 어린 골퍼의 모습과 회사에서 항상 쫄아대는 나의 모습, 오레스테스의 갈등, 오이디푸스의 아픔을 겹쳐본다. 흰 천을 두르고 끈으로 만든 신발을 신은 사람이 홀연히 나타나 얘기하기를 치열하게 산다는 것, 그것은 너의 방식으로 세상을 열어재끼는 일이다. 그럴 수 있다면 더 이상 비극은 없다.”

IP *.51.145.193

프로필 이미지
2012.08.27 16:31:48 *.118.21.179

재용아...나도 언젠가의 너를 기대한다.

너만의 방식으로 세상을 열어재끼고 나올 날을...

프로필 이미지
2012.08.27 22:11:07 *.39.134.221

그리스비극 동지가 있어서 좋네.

처음 이 책을 볼때는 썬데이 서울을 생각했다. 내 어릴적 보았던 잡지...

그 내용을 다 읽어볼수는 없었지만, 원초적인 본능과 그것이 그대로 이루어지는 현실을 보았지

도덕과 윤리는 강자를 위한 것도 약자를 위한것도 아니고 우리 모두를 위한 거겠지.

그리스극장에서 엉덩이를 보이며 뭔가를하고 있던 네 모습이 생각난다.

비극의 극장에서 재용이는 무엇을 하고 있었을까?

프로필 이미지
2012.08.28 08:55:08 *.194.37.13

너의 글을 읽고 있으면, 함께 직장 생활 하는 나의 마음을

시원하게 열어재껴 주는 것 같아~^^

문득, 나도 나의 방식으로 세상의 문을 열어재끼고 싶다!!!

프로필 이미지
2012.08.28 10:09:03 *.142.242.20

오빠, 제 후배 중 연구원에 관심을 가지고 컬럼들을 읽는 친구가 있거든요.. 

이번 주에 오빠의 글에 공감한다며, 대화의 주제로 삼더라고요. :) 

누군가에게 공감가는 글을 썼다는 것은 참 즐거운 일인듯! 


꿈틀꿈틀 오빠의 마음의 움직임들이 아주 잘 드러난 글. 

아!!! 파이팅!!! ㅎㅎ

이단옆차기는 잘 받아냈지요? (이제야 물어봄) 



프로필 이미지
2012.08.28 17:29:22 *.68.172.4

오빠, 점점 글에서 방향이 잡히는 것 같아요. 예전의 글들이 현실 인식이었다면 이제는 비전 제시에 더욱 무게를 두는 느낌? 훨씬 밝고 고무적이네요.@,@

프로필 이미지
2012.08.30 15:54:13 *.114.49.161

여기 또 하나의 선언, 너의 방식으로 세상을 열어 재낄 수 있다면 비극은 없다!

재용 태풍이 지나가고 또 태풍이 온다하는군요.

강녕하기를!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132 시칠리아 사랑이야기의 덤 [12] 콩두 2012.08.27 2374
» 누가 비극이라 하는가 [6] 장재용 2012.08.27 1917
3130 루브르 박물관전을 둘러보며 느낀 사랑이야기 [5] 학이시습 2012.08.27 1963
3129 17. 신화에 물들어 - 한젤리타 [5] 한젤리타 2012.08.27 2033
3128 쌀과자_#17 미쳤어요? [8] 서연 2012.08.27 2008
3127 수술을 마치고 file [5] 양갱 2012.08.21 6286
3126 나의 바다로 뛰어드는 곳, 체팔루 file [4] 콩두 2012.08.20 2546
3125 사랑하려거든 아르메리나로 가라 file [2] [3] 장재용 2012.08.20 5600
3124 스칼라 데이 뚜르키 (Scala Dei Turchi) - 터키인들의 계단 file [3] [2] 세린 2012.08.20 6717
3123 고대의 도시들을 품은 섬, 시간에 비껴 선 땅, 시칠리아 file [1] 샐리올리브 2012.08.20 3496
3122 살기위해 오르는도시 , 타오르미나 file [2] [8] 학이시습 2012.08.20 3086
3121 해외연수_시칠리아_에트나 서연 file [4] [1] 서연 2012.08.19 2682
3120 변경연 시칠리아 여행_시라쿠사에서_한젤리타 file [12] 한젤리타 2012.08.19 2617
3119 장미 21. 엔나(ENNA)를 지나며 [8] [1] 범해 좌경숙 2012.08.18 2195
3118 #41. 신치의 모의비행-러브매칭 프로젝트를 마치며 미나 2012.08.17 2083
3117 장미 20. 시칠리아 여행 후 .....자다 깨다 졸다 쿵! [5] 범해 좌경숙 2012.08.16 2516
3116 율리시스 읽는 시간 [4] id: 깔리여신 2012.08.15 5488
3115 나에게 쓰는 편지 file [1] 양갱 2012.08.14 2404
3114 [꿈그림] 2개의 이미지 file [1] 한정화 2012.08.08 2450
3113 [재키제동이 만난 쉼즐녀 4] 홍보회사 더 니즈앤씨즈 커뮤니케이션 랩 명성옥 대표 file [12] 재키 제동 2012.07.31 3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