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강훈
  • 조회 수 1600
  • 댓글 수 9
  • 추천 수 0
2011년 5월 22일 21시 03분 등록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오월의 시간은 생동감이 넘친다. 계절의 여왕이라 할 만하다.

나는 늘 머뭇거림이 많다. 어떤 일을 하기에 앞서 이것 저것 생각하는 것이 많기 때문이다. 내 마음도 확인해야 하고, 나를 상대하고 있을 누군가의 마음도 짚어보아야 한다. 그래서인지 거침없이 걷고, 웃고, 말하는 사람들을 보면 대책 없는 매력에 빠진다. 작은 것 하나에도 경이의 큰 눈을 뜨거나 하얀 이를 드러내며 얼굴이 구겨지도록 웃는 사람들, 음정이 고르지 못한 노래를 열성적으로 부르거나 넘어지더라도 걱정 없이 걸음을 내 딛는 사람들, 그런 삶의 에너지를 가진 사람이 부럽다. 머뭇거리는 나는 오월의 날씨처럼 생동감 넘치는 사람들이 부럽다.

멋진 날씨엔 더 멋지게 살아야 할 것 같은 기분이다.

 

멋지게 산다는 것이 무엇일까? 멋진 삶이라는 화두를 두고 생각을 거듭해보니 두 가지 단어에 이른다.
색깔과 깊이. 자신의 길에서 자기만의 색깔로 피어있는 사람을 보면 시선이 머문다. 평범하지 않은 독자성으로 자기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을 보면 마음이 요동한다. 그렇게 살고 싶다는 바램과 여태껏 하지 못한 회한이 일으키는 화학작용이다.

색깔은 자신만의 자아로 피어나는 것이고, 깊이는 자신이 실재하는 길에서 어떤 경지에 도달하는 것이다. 어느 누군들 꽃처럼 활짝 피어나는 자아를 만나고 그곳에서 어떤 경지에 도달하고 싶지 않겠는가? 하지만 우리는 바램만큼 이런 피어남과 도달함에 다다르지 못한다. 문제는 여기에 있다. 무엇이 아름다운 색깔로 꽃피우거나 시들거나 혹은 도달하거나 꺾이게 하는 것일까?

 

생동하는 오월의 한나절, 나는 지금 마음 담고 있는 곳에서 질문의 답을 어렵지 않게 찾을 수 있다. 스승님과 동지들의 환한 웃음 속에 답이 있다. 그들은 생을 이야기하고 웃는다. 때론 울지만 그것은 낙망의 울음이 아니다. 낙망 속에서 견디어 새롭게 피어나는 씨앗을 노래하는 울음이다. 그들을 통해서 나는 본다. 새롭게 태어나는 부활과 그것을 믿고 걸어가는 견딤이 우리의 생을 가르는 어느 한 지점임을. 꽃피우거나 시들거나 도달하거나 꺾이는 어느 한 순간을 가르는 대목임을.

새롭게 태어나게 하는 것에는 나를 불사르게 하는 생의 즐거움이 감추어져 있고, 견디어 도달하게 하는 것에는 진리를 깨닫는 기쁨이 있을 것이라 생각해본다. 그림자 없이 태어나는 것은 없다.

자신만의 자아로 피어나기 위해서는 부활의 빛나는 깨달음이 필요하고, 하나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십자가의 피나는 노력이 필요하다.

나는 지금 생동하는 삶의 초입에 서 있다. 시일이 많이 소요된다 하더라도 나는 깊이 있는 색깔로 활짝 피어나고 싶다. 그래서 멋지게 살고 싶다. 내가 피어날 색을 기대해본다.

 

역사는 멋지게 산 사람들의 이야기이다. 선악(善惡)을 떠나서 자신의 삶을 살다간 이들의 명멸(明滅)이 작용과 반작용하며 역사라는 흐름을 돌리고 있다. 역사의 페이지는 생동감이 넘친다. ()의 기록에는 평범함이 없다. 하나 하나가 독자성을 가진 깊은 사연이다. 역사의 생동감에는 승리와 패배, 기쁨과 죽음이 교차하고 있다. 지면 죽음이요, 이기면 사는 것이다. 이기고 지는 이야기가 삶의 이야기이고 역사의 이야기이다.

나는 이기는 삶을 이야기하고, 이겨서 기쁜 삶을 남기고 싶다. 부자의 삶도 아니고, 명성과 영예가 있는 삶도 아니다. 나 스스로 내 안에서, 나와 싸워 이기고 싶은 그 부분에서, 나를 이겨 스스로에게 인정받는 삶을 살고 싶다.

이런 삶, 이기는 삶을 살기 위해서 제일 중요한 것 중의 하나가 '소질(素質)'에 대한 발견이라 생각한다. 소질이란 하늘이 주신 선물로 내가 타고난 무엇이다. 그 무엇이 자신의 색깔을 빚어내어 하나의 독자성을 만들어 내면 역사라는 시간 위에서 내가 이길 수 있는 확률이 높아질 것이다. 나의 색깔을 만들어 내는 재료와 같은 것이 소질이다.

 

하워즈 가드너의 책 <열정과 기질>에는 영웅들의 삶이 어떤 경지에서 자기만의 색깔로 활짝 피어있다. 각자의 소질과 개성을 가꾸어 역사의 한 대목을 화려하게 장식하고, "나는 피었노라, 나는 이겼노라." 이야기 하고 있다. 박수갈채를 받기에 부족함이 없다.

이렇듯 이기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하늘이 주신 선물을 논외하고는 불가능하다. 나의 소질, 나의 재능을 깨닫고 이것을 무기로 세상을 사는 것이 삶을 사는 가장 쉬운 방법이자 가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 소질을 찾고 그리고 그 길을 놓치지 말라는 것이 최고의 가르침이다. 그 길을 놓지 않는 것이 색깔을 깊어지게 하는 비법이다.

 

현대 무용의 혁명가 마사 그레이엄은 말한다.

"여러분을 위해서나 다른 사람을 위해서 활기찬 인생을 사는 길이 하나뿐이라면, 그 길을 택할 수밖에 없습니다. 나의 삶, 그리고 작품활동은 필연입니다. 마치 동물처럼 다른 생각 하나 없이 오직 이 길을 걸어갈 뿐입니다. 선택은 없습니다. 동물이 일체의 속임수나 야망 없이 먹고 마시고 새끼를 치는 것처럼 말이죠."

 

오월의 시간이 생동(生動)으로 내 마음을 일렁이게 한다. 머뭇거리지 말라고 한다. 기왕에 나선 길이니 힘찬 날개 짓으로 꺼져가는 소질의 불씨에 불길을 댕기라 한다.

나는 나의 색깔을 생각해본다. 나는 '파랄' 때가 좋다. 서슬 퍼런 기운, 온 몸의 기운이 한 개의 칼날처럼 곤두서서 어떤 것이라도 베어낼 수 있을 것 같을 때, 새벽 기운처럼 차가우면서도 청아한 기운이 삿된 모든 것들을 덮어 버릴 수 있을 것 같을 때, 그 때 나는 '살아있다'는 것을 어렴풋이 느낀다. 일상이 무딜 때 느낄 수 없는 감동 같은 것이 내 삶에 자리한다. 감각은 올올이 작은 털처럼 민감하고, 보는 눈은 거스름 없이 보고자 하는 곳을 응시할 수 있다. 내가 '파랄'때 나의 힘은 가라앉음 속에서도 모습을 드러낸다. 나는 무력(懋力)할 수 있다.

 

[..] 떨어지는 이런 파란 느낌이 많아지면 나는 나의 깊은 색깔을 가질 수 있을 것이다.

그래서 나만의 이야기를 가질 수 있고 나의 역사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기는 삶이 되고, 멋진 삶이 되는 것이다. 설렌다.

 

.

IP *.69.251.200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04:07:04 *.205.67.118
'파란색' 오빠랑 잘 어울려요^^ 오월의 맑고 청명한 파란 하늘위로 힘껏 도약하세요~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08:41:58 *.45.10.22
아.. 작품활동은 필수다 
살기위한 필수 조건인 것 같습니다 
오라버니 화이팅~!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5.23 09:44:34 *.23.188.173
오라버니는 책을 먹어치우는 사람 같아요....
같은 책을 읽고도 나오는 결과물이말이야....ㅋㅋㅋ
책만 먹고사는거 아냐..... 그래서 날씬한게야........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23 15:30:34 *.35.19.58
오라버니 댓글은 시같아. 사부님 댓글이랑 비슷한 느낌이 드네.
댓글에 대한 책을 써보는건 어떨까? ㅎㅎ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23 11:44:03 *.85.80.112
책이 맛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지...그렇지?
너무 두꺼운 책은 질겨서 씹는데 너무 힘들지만 먹을 맛이 나고,
적당한 분량의 책은 씹는데는 수월하지만 소화시켜서 나의 에너지로 만드는데는 같은 힘이 들어 맛이나고,

글이 맛있다는 것을 우리는 알지...그렇지?
우리의 글은 우리의 좌충우돌을 담고 있어서 맛있고,
선배들의 글은 우리가 비슷하게 걸어가야 하는 모습을 살필 수가 있어서 맛있고
싸부님의 글은 우리를 울렁거리게 해서 맛있다.

많이 먹자. 같이  
프로필 이미지
2011.05.23 10:59:26 *.124.233.1

자신의 색깔을 찾는 일, 나에게 맞는 옷을 입는 일, 나만의 한 우물을 찾는 일.
형님의 그것은 무엇인가요?
매일 하는 수련은 나만의 명징한 그것을 발견한 뒤라야 진정한 수련이 되겠지요?

성마른 아우는 어서 빨리 그것이 찾아와 
준비만 하는 일은 고만하고 앞으로 앞으로 나아가고 싶어 합니다.
그러나 성장은 자연의 법칙을 따르니
씨앗을 뿌리고 그 씨앗이 움트고 여름의 뙤약볕과 모진 비바람을 견뎌 가을에 열매 맺는 것처럼
스승과 형님의 발자취를 따라 호들갑 떨지 않고 묵묵하게 걸어가려 합니다.

형님의 푸른 색이 멋진 승리의 하늘을 수놓는 그날을 바라며..^^

 

프로필 이미지
강훈
2011.05.23 11:37:32 *.85.80.112
이제서야 색깔의 여운을, 나에게 맞는 옷의 치수를, 우물이 있을 자리의 기운을
어설프게, 아주 희미하게 느낄 수 있다. 그것을 놓치지 않을 생각이야.
너처럼 열심히 할 생각이야. 너로부터 좋은 에너지를 내가 받을 생각이야.

진보가 혁신으로 바뀌는 날은 어쩌면 생각보다 멀리 있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
희미함이 또렷함으로 바뀌는 날. 그날을 생각한다.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5.23 15:32:22 *.35.19.58
지난 번 오프 수업 이후로 오라버니가 한결 안정된 것 같아 마음이 놓이네.
사부님이 할 수 있다면 할 수 있는거야.
그냥 믿고 따라가다보면 오라버니가 '나는 피었노라, 나는 이겼노라"하는 날이 곧 올거예요.
오라버니가 활기차니 우리 땡7이들도 다 활기가 도는 듯하네.
프로필 이미지
미나
2011.05.23 15:36:40 *.142.255.23
파란색으로 에너지가 뻗치는 훈 오라버니.. 색깔과 깊이.. 훔.. 나도 기억하고 있어야지.. 설렌다는 마지막 한 마디가. 함께 하는 저도 설레게 만드네요..^^ㅋ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432 [호랑이] chapter 2 : 1인 기업 성공요소 [1] crepio 2011.05.25 1736
2431 응애 67 - 비상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2 [4] 범해 좌경숙 2011.05.25 2246
2430 칼럼. 울타리를 벗어난 아이들 [3] 연주 2011.05.24 1733
2429 변하지 않는 사랑이 있을까? [11] 이은주 2011.05.24 2726
2428 [03] 청춘의 노래 [4] 최우성 2011.05.24 2123
2427 응애 66 - 꿀맛 : 다시 쓰는 호랑이 철학 1 [2] 범해 좌경숙 2011.05.24 1987
2426 스마트웍의 핵심, 팀 리더십 [7] 희산 2011.05.23 3436
2425 남자의 로망, 그리고 도전 [8] 2011.05.23 1885
2424 [Sasha] 칼럼8. 사마천의 주례사 file [17] 사샤 2011.05.23 2851
2423 루미유사 - 효편 [13] 루미 2011.05.23 1948
2422 "나는 작가다." [18] 미선 2011.05.23 1800
2421 칼럼 08. 반(半)백수 열전 [9] 미나 2011.05.23 1714
2420 [평범한 영웅 008] 나는 왜 국가대표가 되지 못하는가? [10] 김경인 2011.05.22 4065
» [늑대8] 나는 피었노라, 나는 이겼노라 [9] 강훈 2011.05.22 1600
2418 나비칼럼 No.8 – 전업주부열전 [13] 유재경 2011.05.22 3326
2417 라뽀(rapport) 52 - 너나 잘하세요 書元 2011.05.22 1604
2416 단상(斷想) 65 - Anchoring1 file [1] 書元 2011.05.22 1650
2415 감자옹심이 콧등치기 [1] 신진철 2011.05.22 2208
2414 [호랑이] chapter 2 표범(희석이 사례 전격 포함)과 호랑이 [3] crepio 2011.05.20 2097
2413 아우라지 강가에서 file [1] 신진철 2011.05.19 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