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본형 변화경영연구소

연구원

칼럼

연구원들이

  • 미선
  • 조회 수 2041
  • 댓글 수 13
  • 추천 수 0
2011년 7월 24일 19시 29분 등록

 ~하면 행복할 텐데, ~만 있다면 행복할 텐데... 이렇게 행복이 조건에 의해 느낄 수 있고 가질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한 적이 있었다. 그러했기에 행복의 조건을 맞추기 위해 노력을 기울였지만 그 조건이 내 손에 쥐어져도 행복의 순간은 짧게 지나가버리거나, 행복감조차 느끼지 못할 때도 있었다. 내 눈에는 또 다른 조건들이 보였고, 그로인해 내가 가진 것이 만족스럽게 느껴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다시 새로운 것을 얻기 위한 여정이 시작되었다. 행복을 채워가는 과정에서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으려면 혼자서 잘할 자신이 없었다.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했다. 나보다 아니 나와는 달리 행복을 잘 찾아가는 사람으로부터의 도움이... 주위를 둘러보아도 어떤 조언을 구할 사람들이 보이지 않았다. 이젠 한탄이 시작된다. 왜 내 주위에는 생기발랄한 사람이 없는 걸까? 에너지가 팡팡 터지는 사람도 없고... 이렇게 나와는 반대되는 성격을 가진 사람들이 행복에 대해서 잘 알고 있을 것 같았다. 사실 나는 그런 사람들을 가벼워 보인다며 별로 좋아하지 않았다. 어느 카페에 들어설 때 양손을 흔들며 손님을 맞이하는 종업원들을 볼 때면 ‘뭐 저런 걸 하고 있나.’ 이런 생각을 하던 나였다. 그러다보니 주위에 생기발랄한 사람들이 없는 건 어찌 보면 당연한 일이었다. 나보다 나은 사람이 ‘짠’ 하고 나타나 나를 이 상황에서 벗어나게 해 주기를 바랐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혹시 이 사람이 그 사람인가 하고 다시 보면 역시 나와 별반 다르지 않은 사람이었다. 내 안의 자석이 나와 비슷한 색깔을 가진 사람을 끌어당기는 것은 당연한 일이었음에도 나는 내 안의 자석은 보지 않고 그저 신세한탄만 하며 주위에 내가 원하는 사람이 많이 모이는 친구들을 부러워 할 따름이었다. 내가 어떤 색깔의 자석을 가지고 있는지는 보지 않고 있었던 것이다. 이렇게 행복을 내가 가진 것에서 부터가 아니라 내가 갖지 못한 것에서부터 찾으려고 했었고, 같은 조건에서도 다른 결과가 나오는 것은 각자 안에 있는 다른 색깔의 자석 때문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생각해 보지 않았다. 또한 내가 가진 것은 대단치 않게 느껴졌고 행복의 조건은 거기서는 찾을 수 없다고, 작은 조건에서가 아니라 어떤 큰 조건 아래서만 얻을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이런 내 눈에 가벼운 것은 경박한 것으로 보였고, 행복의 조건에는 어울리지 않는 것이었다. 그럴수록 점점 다른 이들이 가진 것만이 부러워 보일 뿐이었다.

 프랑스 작가 모파상의 ‘목걸이’에서 주인공 마틸드는 자신이 잃어버린 친구에게서 빌린 목걸이가 가짜인지 모르고 빚을 내어 진짜를 사서 친구에게 돌려주고 그 빚을 갚기 위해 10년의 세월을 온갖 굳은 일을 하며 보낸다. 빚을 다 갚고 나서 우연히 마주친 친구를 통해서 그것이 값이 얼마 나가지 않는 가짜였음을 알게 된다. 그때 마틸드의 심정이 어땠을까? 그리고 그 10년의 세월은 어디에서 어떻게 보상받을 수 있단 말인가? 상상만 해도 너무 끔찍한 일이다. 만약 그녀가 다른 부유층 여자들과 자신을 비교하고 그들의 삶을 동경하는 대신에 자기가 가지고 있는 것 안에서 행복을 찾고자 했다면 목걸이를 빌리는 일도 10년의 세월을 빚을 갚기 위해 노동으로 채우는 일도 없었을 것이다. 이렇듯 내 마음의 행복에 대한 기준이 잘못되어 있다면 10년이 아니라 평생을 거기에 매여 살 수도 있는 일이다.
며칠 전 노르웨이에서 발생한 총기난사 사건을 일으킨 노르웨이 청년은 잘못된 이데올로기에 사로잡혀 그렇게 끔찍한 만행을 저질러 놓고도 누군가는 했어야 하는 일이라고 서슴없이 말한다. 그의 이데올로기를 추구하기위해 그런 참사를 일으키면서까지 그가 얻고자 했던 것은 과연 무엇이었을까? 그 이데올로기가 현실화되면 그는 무엇을 얻을 것이라고 기대했던 것일까? 어쩌면 그것 역시도 행복의 또 다른 모습이 아니었을까 하는 생각이 든다. 그도 이 세상을 악한 쪽으로 바꾸려는 목적으로 그런 일을 저지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의 잘못된 생각의 틀 안에서는 그것이 좋은 쪽으로 바꾸는 방법 중에 하나라고 생각했기에 즉흥적인 결정이 아닌 오랜 시간에 걸쳐 계획을 세우고 그것이 잔혹한 일이라 생각하면서도 실행에 옮겼을 것이다.

 행복은 조건에 의해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주어지는 것이고 선택하는 것이라고 누군가 말했다. ‘어떻게 아무것도 없는 가운데서 행복할 수 있어?’ 과연 정말 아무것도 없었던 것일까? 아니다. 그렇지 않았다. 나에게 없는 것은 도처에 널린 행복을 알아보지 못하는 시선이었다. 시선을 달리하니 아이들의 까르르 거리는 웃음소리에서, 자기만 봐달라고 칭얼대는 갓난아이의 모습에서, “엄마 나랑 같이 가야지.” 하고 조금 앞서가는 엄마를 부르는 아이의 모습에서, 아빠 품에서 불편한지 찌푸리면서도 잠을 자는 아이의 모습에서도 미소 지을 수 있으며 그로인해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렇게 행복은 어떤 조건에 의해서가 아니라 자연스럽게 그리고 모두에게 주어지는 것이었다. 이런 시선을 처음부터 지니고 있었다면 좋았겠지만 시행착오가 있었기에 이런 순간들이 더 소중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내 마음의 결정권을 지니고 있는 것은 어떤 외부적 조건도 타인의 시선도 아닌 바로 나 자신이므로, 어떤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볼지 정하는 것도 내가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모든 것은 내가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때론 내 앞에 주어진 삶의 무게가 너무 벅차 감당하기 어려운 순간들도 있을 것이다. 한 없이 아래로만 내려가고 있다고 느껴질 때도 행복은 주어진 거라며 주위에 행복이 널려있다고 생각하면서, 행복을 찾으려 하지만 보이지도 않고, 마음을 다 잡기 어려운 순간들도 있을 것이다. 하지만 그럴 때는 섣불리 어떤 행동을 결정하려고 하기 보다는 자신의 인생을 저 창공 위에서 내려다보듯 바라보는 것은 어떨까? 지나간 과거도 내가 어떻게 보느냐에 따라 같은 사건도 다르게 보이듯이 우리 인생도 바라보는 방향에 따라 달리 보일 것이므로 위에서, 아래서, 옆에서, 뒤에서 이렇게 방향을 달리하여 바라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지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마틸드처럼 10년의 세월을 헛되게 보내지 않으려면 말이다. 한 드라마에서 이런 대사가 나왔다. “세상은 웬만하면 아름다운데, 사람들이 그걸 몰라. 가끔은 멈춰 서서 하늘도 보고 나무도 보면서 쉴 줄도 알아야지.” 바쁜 일상이지만 잠깐 하늘을 올려다보거나, 내 옆에 서있는 나무를 볼 시간은 누구에게나 있을 것이다. 그 순간이 바로 행복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다. 하늘은 누구에게나 열려있다. 지금 하늘을 한번 올려다보는 것은 어떨까?

그림..jpg
코끼리도 하늘 아래서 이처럼 웃고 있지 않은가.

IP *.139.110.78

프로필 이미지
유재경
2011.07.24 20:25:40 *.143.156.74
미선이가 정말 하루에 100번씩 웃고 있나보다.
글에서 미소가 보인다.
미선아, 나 이사간 집에 걸게 그림 하나 그려주라.
현관에 딱 들어왔을때 걸만한 그림이 없다. (사실 집에 그림은 단 한개도 없다.)
너처럼 아주 밝고 예쁘고 화사한 걸로. ^ ^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21:50:50 *.76.248.166
우리 대장의 부탁이라면^^ 원하는 스타일을 한 번 말해보시와요.
하지만 기대에 부흥할지는 모르겠네...
프로필 이미지
루미
2011.07.25 00:07:00 *.23.188.173
언니의 글을 읽고 있다보면 나는 노혼혼이 된 기분이다.
차안의 노혼혼 처럼 연신 고개를 끄덕이고 있거든
참 비슷한 생각을 하는 구나. 하면서도
어쩌면 이렇게 표현이 다른지에 감탄한다.
공저하자. ㅋㅋㅋㅋ
언니한테 묻혀 가야겠다~~~~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23:09:05 *.166.205.132
오호라~ 저놈이구나~
고맙다. 친절한 미선아~ 루미는 어디간겨?ㅋ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21:58:24 *.76.248.166
이게 노혼혼이야 저 인형이 고개를 일정한 간격으로 끄덕끄덕거려노혼혼.jpg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7.25 01:13:12 *.111.51.110
노혼혼? 뭔말이냐.
더이상 양갱오빠를 소외시키지 마라!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7.25 01:11:56 *.111.51.110
'내가 가진 자석'이란 표현이 확 와닿는다.
난 무슨 자석을 가지고, 어떤것을 끌어당기고 어떤것을 밀치고 있는 걸까?
내가 원하는 것을 밀치고, 내가 싫어하는 것을 당기고 있는 것은 아닐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구나.
모파상의 '목걸이'란 소설도 공감이 많이된다. 불쌍한 '마틸다' 아이고 어쩌누. 나는 어쩌누.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21:54:08 *.76.248.166
끼리끼리 모인다는 말에서 나는 예외이길 바라며 살았지.
내가 싫어하는 사람들은 나의 또 다른 모습일 뿐이라는 것도 참 인정하기 어려웠던 것 같아요.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09:54:58 *.45.10.22
미선아 살아나는구나
글에서 미선이의 미소가 보인다 
재경언니만 주지말고 나에게도 하나 주라 ㅎㅎㅎ
우리 7기 들에게 미선이 그림 하나씩 나눠주는건 어때? 
기대할게~~ (여러분 저 잘했죠? ㅎㅎ)
emoticon
프로필 이미지
양갱
2011.07.25 11:12:02 *.111.51.110
emoticon잘했다!!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21:55:17 *.76.248.166
기대할 수준이 아니라서 말이야.... 이건 우리끼리 따로 얘기하자공^^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10:40:46 *.124.233.1
오래 전에 나온 "그래 가끔 하늘을 보자" 라는 영화가 떠오른다.

“세상은 웬만하면 아름다운데, 사람들이 그걸 몰라.
가끔은 멈춰 서서 하늘도 보고 나무도 보면서 쉴 줄도 알아야지.”


점점 화사해지고 밝아져서 보기 좋네.
나 투명수채화 무지 좋아하는데.
나도 하나만 그려줘요. ^^
프로필 이미지
2011.07.25 11:35:09 *.45.10.22
경인아 안 그래도 내가 위에 7기 전체에 달라고 간곡히 적어두었다 ㅎㅎㅎ
설마 외면할까? ㅎㅎㅎ
덧글 입력박스
유동형 덧글모듈

VR Left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572 장마가 지나고.. 신진철 2011.08.04 1829
2571 [Sasha] 컬럼18. 인생의 수수께끼 file [6] 사샤 2011.08.01 3227
2570 18. 신치님은 올바르게 ‘일’하고 계신가요? [4] 미나 2011.08.01 1893
2569 돌아보기 [4] 루미 2011.08.01 1810
2568 18. 당신에게 있어 최선이란 file [4] 미선 2011.08.01 3174
2567 나비 No.18 – 나는 왜 워커홀릭인가? file [4] 유재경 2011.07.31 4820
2566 [늑대18] 그대의 기준은 안녕한가 [5] 강훈 2011.07.31 1855
2565 성공 키워드 아줌마를 보라 - 3. 망원경 對 현미경 書元 2011.07.31 2256
2564 단상(斷想) 75 - 삶은 계단 file [4] 書元 2011.07.31 2034
2563 [평범한 영웅 018] 여행을 떠나기 전에 [5] 김경인 2011.07.31 3932
2562 [양갱] 10만원짜리 상추 file [4] 양경수 2011.07.31 2786
2561 강은 뒤를 돌아보지 않았다. file [7] 신진철 2011.07.25 2793
2560 [늑대17] 나를 찾아 떠나는 여행을 다녀와서 [8] 강훈 2011.07.25 2664
2559 [Sasha] 컬럼17. 파랑새를 찾아서-언제 삶에 기뻐할 것인가 file [6] 사샤 2011.07.25 2890
2558 17. 나는 신의 섭리를 따르고 있는가? [4] 미나 2011.07.25 2544
2557 [양갱] 무당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file [12] 양경수 2011.07.25 5534
2556 신이 되고 싶나요? [6] 루미 2011.07.24 2888
2555 나비 No.17 – 절망의 끝에서 희망의 싹을 틔워라 file [4] 유재경 2011.07.24 3542
» 17. 행복철학 file [13] 미선 2011.07.24 2041
2553 [평범한 영웅 017] 자기계발에서 자기실현으로, 자기실현에서 가치실현으로 file [9] 김경인 2011.07.24 4250